온열질환은 뜨거운 환경에 장시간 노출될 때 열로 발생하는 급성질환을 말한다. 비교적 가벼운 일사병부터 사망에 이를 수 있는 열사병까지 온열질환 종류는 다양하다. 더위가 심해질수록 스스로 대처가 어려운 노인과 아이, 만성질환자는 실외활동 시 고온에 무방비로 노출될 수 있어 유의해야 한다. 최근 코로나19가 재확산하고 있어 코로나와 온열질환 증상을 구별하기 어려운 문제도 발생한다. 온열질환은 기본적으로 폭염에 장시간 노출되어 발생한다. 폭염 속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온열질환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
1. 장시간 더위에 노출된 상황에서 수분 및 전해질 보충이 부족하다면? ‘일사병(열탈진)’
장시간 고온 환경에 있으면서 수액 보충이 원활하지 않으면 일사병이 생길 수 있다. 증상으로는 어지럼증, 피로, 오심, 무력감, 발열, 발한, 홍조, 빈맥, 구토, 혼미 등이 있다. ‘열탈진’이라고도 불리는데, 서늘한 곳에서 안정을 취하고 물과 전해질을 보충해줘야 한다. 그러나 40도 이상의 고열이나 의식 변화가 발견되면 급속냉각요법 등의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2. 더위에 오래 노출되었으나 땀이 나지 않고 오심 · 구토 · 의식 변화가 있다면? ‘열사병’
열사병은 노인이나 심장질환자, 치매 환자, 알코올중독자, 정신질환자 등에서 오랜 기간 고온다습한 환경에 노출되었을 때 발생한다. 일사병(열탈진)과 증상이 비슷해 보이지만 열사병은 땀이 나지 않는다. 대신 오심, 구토가 심하고 의식 변화가 나타난다. 심부체온은 40도가 넘어간다. 이 경우 환자를 즉시 그늘로 옮기고 옷을 풀어 시원한 물수건으로 닦으며, 빠르게 119에 신고해 병원으로 이송해야 한다. 환자에게 찬 물을 마시게 하는 건 체온을 낮추는 데는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의식이 없는 경우 질식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3. 더위 속에서 장시간 운동한 뒤 근육 경련이 났다면? ‘열경련’
한여름 더위 속에서 오랜 시간 운동을 하면 평소보다 땀을 많이 흘리는데, 이때 근육경련이 발생하기 쉽다. 원인은 확실히 알려져 있지 않으나 전해질 이상과 관련 있을 가능성이 높다. 열경련이 나타나면 시원한 그늘에서 해당 근육을 스트레칭시켜줘야 한다. 최소 몇 시간 정도는 격렬한 운동을 피한다. 안정을 취하면서 전해질이 포함된 수액을 마시거나 보충하는 것이 회복에 도움이 된다. 전해질 음료가 준비돼 있지 않으면 1리터 물에 소금 한 두 티스푼을 넣은 것으로 보충할 수 있다.
4. 몸이 극심한 더위에 적응하지 못해 실신한다면? ‘열실신’
푹푹 찌는 더위에 노출될 경우 노인이나 어린이는 외부 온도에 적응하지 못할 수 있다. 이때 가벼운 실신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혈액 용적이 감소하고 말초혈관이 확장되기 때문이다. 단순 열실신은 안정을 취하면 대부분 쉽게 회복된다. 시원한 그늘을 찾아 호흡이나 맥박에 주의하면서 머리를 낮게 해 주고 수액을 보충해 준다.
5. 피부가 달아오르고 심한 경우 물집이 생긴다면? ‘일광화상’
뜨거운 햇빛에 장시간 노출되면 피부가 빨갛게 달아오르고 통증이 발생하기 쉽다. 심하면 물집이 나거나 얼굴과 팔다리가 붓고 열이 오를 수 있다. 이를 일광화상(日光火傷)이라 한다. 글자 그대로 햇볕에 화상을 입는 것이다. 일광화상을 예방하려면 구름이 없는 맑은 여름날에는 오전 11시부터 오후 3시까지 외출을 삼간다. 직사광선이 가장 강하게 내리쬐는 시간이기 때문이다. 이외 시간에는 얇은 겉옷으로 피부 노출부위를 가리거나 외출 30분 전에 일광차단제(선크림)를 꼼꼼히 바른 뒤에 나가는 것이 좋다. 예방이 최고지만 일단 이런 증상이 발생하면 찬물로 찜질해 주자. 통증이 심하면 진통소염제로 조절할 수 있다.
아무리 쉬어도 풀리지 않는 피로 (feat. 만성피로증후군)
업무나 학업 등에 바쁘게 쫓기고, 스트레스를 많이 받을 때면 피곤하다는 느낌을 종종 받게 된다. 이렇게 피로가 쌓여 있을 때 충분히 잠을 자거나 휴식을 취하고 나면 어느 정도 회복이 되기 마
mkpark02.tistory.com
강한 자외선에 안구가 손상돼 안과 진료가 필요한 상태 (feat. 익상편)
여름철의 강한 자외선은 다양한 질환을 유발한다. 아토피, 기미, 피부암과 같은 피부 질환은 물론이고 황반변성이나 녹내장, 백내장, 익상편 등 안구 질환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
mkpark02.tistory.com
황반변성 환자에서 수면시간이 의미 있게 감소 (feat. 눈 건강엔 잠)
수면은 하루의 피로를 씻어주고 내일을 준비하는 시간인데요. 우리 몸의 조직 세포가 다시 회복되는 과정이 수면 중 일어납니다. 최근 황반변성 환자에서 수면시간이 의미 있게 감소한다는 연
mkpark02.tistory.com
'건강관리 > 의학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어근육 약한 사람의 특징 및 주의해야 할 질환 (feat. 척추) (1) | 2024.07.22 |
---|---|
자궁근종 생기면 나타나는 대표적인 증상(feat. 양성 종양) (5) | 2024.07.22 |
아무리 쉬어도 풀리지 않는 피로 (feat. 만성피로증후군) (0) | 2024.07.17 |
강한 자외선에 안구가 손상돼 안과 진료가 필요한 상태 (feat. 익상편) (0) | 2024.07.16 |
황반변성 환자에서 수면시간이 의미 있게 감소 (feat. 눈 건강엔 잠) (1) | 2024.07.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