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필수78 60대 이후, 근감소증이 발생하지 않도록 사전 예방 필요 나이 들수록 근육의 중요성이 커진다. 근육량은 30세를 전후해 줄어들기 시작하는데, 이를 막지 못하면 몸에 힘이 없어지고 신체의 균형이 망가지기 시작한다. 특히 60·70대 노년기에 접어들면 근육량이 급감하면서 '근감소증(Sarcopenia)'이 발생할 위험이 커지는데, 이는 더 큰 문제를 부른다. 낙상과 함께 당뇨병, 심뇌혈관질환 등 만성질환의 위험이 높아지고, 이는 곧 수명의 감소로 이어지기 때문. 따라서 60대 이후에는 근감소증이 발생하지 않도록 사전 예방이 필요하다. 1. 근감소증 예방, 하루라도 빨리 시작해야노년기 삶의 질을 크게 떨어뜨리는 근감소증은 왜 발생할까. 내과 원장은 신경∙근육 요인, 생물학적 요인, 영양상태 세 가지 주요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고 전한다. 내과 원장에 따르면 나이.. 2025. 1. 7. 치매 예방 위해 반드시 지켜야 할 4가지 (feat. 노쇠, 치매 위험 73% 높여) '노쇠한 상태' 자체가 치매 발병 위험을 최대 73% 증가시킨다는 호주 퀸즐랜드대(University of Queensland)의 연구 결과가 나왔다. 연구팀이 3만여 명을 대상으로 노쇠 경로(Frailty Trajectories)를 평가한 결과, 치매 환자들은 진단 전 4~9년 동안 신체의 허약도가 큰 폭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인 것. 이에 대해 연구팀은 “노화를 늦춰 신체적으로 건강한 사람은 치매의 발병 위험이 낮다”라고 말하며 치매를 예방하기 위해 반드시 지켜야 하는 4가지를 제시했다. 신경과 상담의사는 “치매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신체적인 건강을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라면서 “특히나 식단과 운동, 지속적으로 사람들과 교류를 통한 사회활동, 그리고 기저질환의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라고 전했다. 신경.. 2025. 1. 2. 성인도 백신 접종 필요한 파상풍 (feat. 비위생적 상처) 녹슨 금속에 찔리거나 베여 상처가 났을 때 ‘혹시 파상풍에 걸리는 건 아닐까?’ 하는 불안감이 스쳐 지나가는 경우가 있다. 파상풍의 연간 발생 환자는 10명 내외로 흔하지는 않지만 치사율이 높아 위험한 질환으로 꼽히는데, 사실 예방접종으로 충분히 예방 가능한 질환이다. 다만 성인이 된 후에는 접종을 하지 않아 걱정스러운 마음이 드는 경우도 적지 않은데, 파상풍의 증상은 무엇인지, 예방을 위해서는 어떤 백신을 접종해야 하는지 알아보자. 1. 꼭 금속만 주의해야 하는 건 아냐… 상처 작아도 감염 가능파상풍은 파상풍균(Clostridium tetani)이 생성한 독소에 의해 발생하는 질환이다. 흔히 녹슨 금속 등에 찔렸을 때만 파상풍을 걱정하는 경우가 많은데, 사실 파상풍을 유발하는 파상풍균은 흙 속에서도 발.. 2024. 12. 26. 음주 후 반드시 챙겨야 하는 성분 (feat. 술 마시면 우리 몸에 어떤 일이?) 연말 송년회 시즌이 다가오면서 술자리가 잦아지는 시기가 되었다. 술을 마시는 즐거움도 잠시, 우리 몸 특히 간에는 어떤 일이 벌어질까. 술자리 후 간 건강이 걱정된다면, 주목해야 할 성분에 대해 복약상담 약사에게 물었다. 술의 주성분인 알코올은 90% 이상이 간에서 분해된다. 마신 술이 위와 장에서 흡수된 후 혈액을 통해 간으로 이동하면, 간 속 알코올 분해효소(ADH)가 알코올을 아세트알데히드로 분해한다. 이어 아세트알데히드는 아세트산으로, 아세트산은 다시 이산화탄소와 물로 바뀌어 몸 밖으로 배출된다. 문제는 이 과정 중간에 등장하는 아세트알데히드라는 물질이다. 약사는 “아세트알데히드는 독성이 에탄올보다 30배 강하며,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가 1군 발암물질로 지정한 성분”이.. 2024. 12. 4. 오메가 지방산, 암 예방에 효과적 (feat. 전립선암의 경우에는?) 암은 전 세계적으로 주요한 사망 원인 중 하나로, 2020년에만 약 1,810만 건의 암 발생이 보고되었다. 오메가-3 지방산 및 오메가-6 지방산 같은 다가 불포화지방산은 염증 감소와 세포 건강 개선 등의 효능으로 암 발생을 억제할 가능성이 제기되어 왔다. 최근 발표된 연구 결과에 따르면 혈중 오메가-3와 오메가-6 지방산 농도가 높을 경우 암 발생 위험이 낮아질 수 있다는 증거가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Associations of plasma omega-6 and omega-3 fatty acids with overall and 19 site-specific cancers: A population-based cohort study in UK Biobank, 혈중 오메가-6 및 오메가-3 지방산과 전.. 2024. 11. 18. 탈모 해결을 위한 모발이식, 필수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7가지 많은 사람들이 겪는 고민 중 하나인 탈모는 일상생활과 심리적인 부분에까지도 큰 영향을 미칩니다. 탈모를 관리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최근에는 모발이식을 고려하는 경우도 많아지고 있습니다. 모발이식은 모발을 되찾을 수 있는 유효한 방법이기는 하지만, 이를 선택하기 전에는 여러 가지 고려 사항들을 충분히 이해해야 합니다. 이번 칼럼에서는 모발이식에 대해 고민하고 있는 분들을 위해 필수적으로 고려해야 할 몇 가지 사항을 살펴보겠습니다. 모발이식 전 고려해야 하는 7가지는? 1. 모발이식의 적합성 평가모발이식 수술을 고려할 때, 첫 번째로 중요한 것은 자신의 탈모 유형과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입니다. 모든 탈모 유형이 모발이식에 적합한 것은 아닙니다. 예를 들어, 남성형 탈모(안드로겐 탈모)와 같은.. 2024. 11. 10. 사춘기 전 확인해야 할 성장 신호 (feat. 우리 아이, 성장 장애?) 소아 청소년 표준 성장도표를 살펴보면 두 차례의 성장 급진기가 있다. 첫 번째는 만 3세 이전의 1차 성장 급진기, 두 번째는 여아의 경우 11~14세, 남아의 경우 13~16세에 해당하는 2차 성장 급진기다. 최근에는 자녀 수가 적고, 부모님들이 자녀의 건강과 성장에 대해 관심이 높아지면서, 생애 중 키가 가장 많이 자라는 만 3세 이전의 성장에 대한 관심이 더욱 커지고 있다. 1. 성장 장애란?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비정상적으로 성장하는 것을 ‘성장 장애’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성장기 아이가 같은 성별과 연령대의 신장 정규분포에서 하위 3% 안에 포함된다면 성장 장애를 의심할 수 있다. 하지만 평균 키보다 작다고 해서 모두가 비정상적이거나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녀의 키가 크길.. 2024. 11. 9. 당뇨 관리에서 가장 필요한 4가지 궁금증 (feat. “술 마셔도 될까? 운동은 어떻게?”) 당뇨병은 약물 치료를 지속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에 못지않게 생활 습관 관리의 중요성이 강조된다. 전문가들은 치료와 생활 습관 관리가 병행되어야 질환이 악화되는 것을 막고, 합병증도 막을 수 있다고 입을 모은다. 그렇다면 당뇨 환자는 어떤 점에 주의해야 할까. 또 치료의 효과를 높이는 방법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전문가들과 함께 당뇨 관리법에 대한 궁금증을 풀어봤다. Q. 올가을, 당뇨 환자가 주의해야 할 점은 무엇일까요?반가운 가을을 만끽하기 위해 강가 주변이나 산책로 등에서 운동하는 분들도 이전보다 훨씬 많아진 듯한데요. 당뇨 환자는 갑자기 운동량을 늘릴 때 주의가 필요합니다. 잘못하면 당뇨발 궤양이 유발되거나 감염이 악화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내성 발톱이 있는 당뇨 환자는 활동량이 많아.. 2024. 11. 8. 건강검진 받기 전, 꼭 지켜야 하는 주의사항 건강을 유지하고 질병을 조기에 발견하는 데에 핵심이 되는 것 중 하나가 바로 ‘건강검진’이다. 건강검진을 통해 내 몸의 상태를 정확하게 알기 위해서는 검진 전 주의사항을 반드시 지켜야 한다. 이를 제대로 지키지 않으면 검사 결과가 정확하게 나오지 않거나 검진 자체가 불가능할 수도 있기 때문. 그렇다면 검진 전 꼭 지켜야 할 주의사항에는 무엇이 있는지 알아보자. 1. 검진 전에는 금식해야… 혈액·내시경 검사 등에 영향 미칠 수도건강검진을 받을 때 금식은 필수다. 최소 8~12시간 정도는 금식할 것이 권장되는데, 이는 건강검진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혈당, 콜레스테롤, 간 수치 등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서다. 보통 공복 혈당은 식후 8~10시간 정도가 지난 후에 재는 것이 가장 정확하기 때문에, 전날 .. 2024. 10. 5. 이전 1 2 3 4 ··· 9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