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일반상식/기술16

ChatGPT를 이용한 사업 손익분기점 조절 (feat. 원가 절감) GPT가 미치는 영향 중에 하나가 어떤 업무에 대한 '원가'를 파격적으로 낮춘다는 것인데요, 달리 말하면 사업의 손익분기점을 많이 낮춘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얼마 전에 사경인 회계사님과 대화하다가 유튜브에서 GPT를 쓰다 보니 자녀에게 사업을 잘하게 교육해야겠다는 요지의 인터뷰를 하신 얘기를 들었어요. 이유는 '손익분기점'이 너무 낮아져 오히려 위험이 적어졌다는 것이라 합니다. 저도 그 표현이 쏙 마음에 들었습니다. 예전에 사업이란 최소한 한두 명을 고용하기 때문에 월간 천만 원 이상을 반드시 벌어야 했습니다. 그 고정 비용의 존재가 바로 사업이 위험하고 부담스러운 이유였습니다. 원가를 제하고 천만 원을 벌자면 어쨌건 유의미한 고객을 확보해야 했습니다. 2천3천만 원의 매출처를 단단하게 확보하는 건 생각.. 2024. 3. 31.
기술의 발전으로 인력 감축 가속화 (feat. AI로 혼자서 20명 업무 가능) AI로 20명이 하던 일을 혼자 해내고 있다. 이렇게 얘기하면 다들 과장인 줄 아신다. 그래서 오늘은 구체적인 예를 하나 공개한다. 홀릭스는 IT 비즈니스기 때문에 데이터를 많이 다룬다. 간단하게는 매출을 추적하는 것부터 크리에이터나 상품별로 만족도는 어떻고 성과는 어떤지, 또 미래는 어떨지 인사이트를 얻어야 한다. 예전에는 이 일에 많은 인원이 투여되었다. 일단 다양한 곳에서 발생하는 수많은 데이터를 올바른 형태로 설계하고 쌓아야 했다. 데이터 간의 관계도 복잡하기 때문에 웨어하우스 개념까지도 도입했었다. 그리고 내가 원하는 정보가 생기면 개발자나 데이터 담당자가 이를 패턴으로 바꿔서 Power BI 같은 시각화 도구에 장착했다. 물론 생각의 흐름이나 외부 요청에 따라 그때그때 다른 데이터를 요구했기 .. 2024. 3. 24.
지각변동이 시작된 실리콘밸리 (feat. AI 엔지니어의 기본소양) 실리콘밸리에 지각변동이 시작되었다. 모든 큰 변화는 구성원들에게는 재앙이다. 실리콘밸리에 새로운 시대가 시작되고 있다. 실리콘밸리의 역사는 몇 번의 큰 변화를 거쳤다. 70년대 반도체로 시작된 실리콘밸리는 90년대 PC의 시장을 거쳐 2000년대 웹의 시대, 그리고 2010년대 모바일 시대를 거쳐왔다. 그리고 2023년 AI 혁명을 맞이했다. 각 시대를 거치면서 실리콘밸리는 거대한 발전을 이루었고 세계의 돈이 모이는 곳이 되었다. 지금도 모든 세계의 모든 곳이 엔비디아, 테슬라,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오픈 AI로 쏠리고 있다. 전 세계적인 저성장에도 미국은 엄청난 성장을 보이고 있고 주식시장과 코인 마켓 또한 어마어마한 성장을 보이고 있다. 분명히 엄청난 성장이고 기회이고 변화이다. 큰 지각 변동인 만.. 2024. 3. 22.
더 커밍 웨이브 (feat. 딥마인드의 창조가가 말하는 AI와 인류의 미래) 더 커밍 웨이브 읽었다. 딥마인드 창업자인 무스타파술레이만 이 쓴 책이다. 인공지능을 비롯한 첨단 기술이 얼마나 발전해 있고, 어디까지 발전할 것이며, 그로 인해 어떤 변화가 일어날 것인지에 대한 업계 인싸(무려 딥마인드를 만든 사람이다!)의 시각이 담겨 있다. 저자에 의하면 기술은 갈수록 빠르게, 그리고 어마무시하게 발전할 것이다. 인공지능, 합성생물학, 핵융합, 양자컴퓨팅, 로봇 기술은 예전에는 상상도 못 했던 것들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엄청난 물질적 풍요가 쏟아질 것이다. 그리고 새로운 시대의 기술은 엄청나게 중앙집권적일 것이다. 예를 들어 인공지능의 핵심 기술은 소수의 기업들에게만 집중될 것이다. 지난 수십 년간 인류는 엄청나게 불평등해졌지만, 앞으로 쏠릴 부에 비하면 지금의 불평등은 우스운 수.. 2024. 3. 13.
상대방 목소리만 카피한 후 범죄에 악용하는 사기 범죄 조심 방금 아주 께름칙한 전화를 받았다. 두 번이나 같은 번호로 전화해서는 상대가 아무 말이 없었다. 근데 생각해 보니 요즘처럼 딥페이크가 만연한 시대에는 내 “여보세요” 두 번 답변만으로도 어설픈 카피 목소리 정도는 AI로 재연해 낼 수 있을 거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중국에서는 요즘 화상회의에 딥 페이크로 상사가 들어와 자금 이체를 지시하는 사기도 성행한다던데, 스팸 전화로 수십만 명에게 무작위로 전화해 상대방 목소리만 광범위하게 카피한 후 범죄에 악용하는 사기 범죄가 앞으로 충분히 가능하겠다 싶다. 이제는 스팸 전화도 주의해서 받아야 하는 시대가 됐다. 무심결에 하는 “여보세요” 한마디로도 내 목소리가 ‘복제’될 수 있는 시대다. 하물며 유튜브에 영상이 많이 올라가 있는 사람들은 얼마나 카피하기 쉽겠다 .. 2024. 3. 4.
열린 인공지능과 또 다른 윤리적 고민 (feat. 벵하민 라바투트의 매니악) "그것은 어느 컴퓨터도 둔 적이 없는 수였다. 인간이 고려할 법한 수도 아니었다. 새로웠고, 수천 년간 축적된 지혜와의 급진적 결별이자 전통과의 완벽한 단절이었다." 최근 화제가 되고 있는 벵하민 라바투트의 소설 에 나오는 한 대목이다. 알파고와 이세돌 기사의 대국을 묘사하고 있다. 이세돌 기사가 앞파고에 한 번 이긴 것은 알파고 인공지능에 존재했던 일종의 버그 덕분이었다고 알려졌다. 알파고 이후 한 층 더 학습을 강화한 세계 최고 수준의 오픈소스 바둑 프로그램인 카타고가 나왔다. 카타고에 서는 바둑 고수들이 이기는 것이 불가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최근에 허점이 발견됐다. 지난해 미국 캘리포니아의 AI연구소인 FAR AI의 인턴 연구원이자 미국 바둑협회 아마추어 6단인 켈리 펠린이 정석대로 두지 않고 꼼수.. 2024. 2. 25.
AI 기반 뉴스 시대 본격화 (feat. 시그널 뉴스 큐레이션 서비스)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와 세마포(Semafor)가 손잡고 ‘시그널’이란 뉴스 큐레이션 서비스를 론칭했습니다. AI를 도구로 사용해 다양한 소스로부터, 정확하고 빠르게, 인사이트 있게 전달한다는 계획입니다. 현재 시각 주요 뉴스(The News)를 피드 형태로 제공하고, 바로 밑에 해당 뉴스와 관련한 해설(Signals)을 제시한다는 점이 특징입니다. The News는 요약(시간 절약 및 그날의 주요 이슈 확인), Signals는 관점(뉴스 해석 및 전망)을 제시하는 역할입니다. 시간을 절약하되 주요 이슈 놓치기 싫고, 뉴스 이면의 의미, 인사이트까지 얻고 싶다면 세마포 시그널을 보란 얘기입니다. Signals 파트는 뉴욕타임스, BBC 등 기존 주요 미디어 기사를 인용, 요약해 제시하고 하이퍼.. 2024. 2. 25.
팀 쿡이 애플 비전 프로에 올인한 이유 (feat. 팀 쿡의 인터뷰 기사) 애플 비전 프로에 대한 팀 쿡의 인터뷰 기사가 나왔습니다. 팀쿡이 비전 프로를 쓴 모습도 처음 공개된 것 같네요. https://www.vanityfair.com/news/tim-cook-apple-vision-pro Why Tim Cook Is Going All In on the Apple Vision Pro Inside Apple Park, the tech giant’s CEO talks about the genesis of a “mind-blowing” new device that could change the way we live and work. www.vanityfair.com 1. 팀 쿡이 애플 비전 프로에 올인한 이유 팀 쿡이 애플 비전 프로를 처음 경험했을 때를 회상한다. 애플 파크가 건.. 2024. 2. 20.
유튜버 케이시 나이스탯, 비전프로를 쓰고 뉴욕을 돌아다닌 후기 하루종일 비전프로를 착용하고 뉴욕을 돌아다녔다. 그런데 어느 순간 내가 카메라와 액정을 통해 세상을 보고 있다는 사실을 잊어먹었다. 그 순간 깨달았다. 비전프로는 새로운 VR과 AR의 미래가 아니다. 이건 모두가 기다려온 새로운 컴퓨팅 인터페이스의 미래다. 장담할 수 있다. 난 이걸 4,000달러에 구입하는 걸 추천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이건 애플이 출시한 최악의 비전프로가 될 것이기 때문이다. 앞으로 더 발전할 것이기 때문이다. https://youtu.be/UvkgmyfMPks?si=iQeIKh1C00KqnQjw&t=396 케이시 나이스탯, 비전프로를 쓰고 뉴욕을 돌아다닌 후기 케이시 나이스탯, 비전프로를 쓰고 뉴욕을 돌아다닌 추가 후기 - 비전프로를 쓰고 외장배터리를 추가로 연결해 하루종일 뉴욕 시.. 2024. 2. 19.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