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자기개발204

비즈니스 인사이더가 정리한 우리의 인지 편향 20가지 총정리 당신은 매일매일 수천 가지 결정을 내립니다. 연구에 따르면 무엇을 먹을지 정하는 사소한 결정부터, 직장에서 내리는 중대한 결정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인지적 편향이 최선의 결정을 내리는 것을 방해합니다. 가 정리한 20가지 인지 편향을 소개합니다. 1. 기준점 편향 (anchoring bias) 사람들은 처음 접하는 정보에 지나치게 좌우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연봉 협상을 할 때, 첫 번째로 제안하는 금액에 따라 각자의 머릿속에는 그 제안 금액의 범위 내에서 사고가 이루어지게 됩니다. 2. 가용 휴리스틱 (availability heuristic) 사람들은 그들이 미리 알고 있는 정보의 중요성을 과대평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가령, 흡연을 하는 사람이 하루에 담배 세 갑씩 피면서 100세까지 산 사람을 안다.. 2023. 10. 24.
故김수환 추기경님의 인생 명언 9가지 (feat. 김수환 추기경 잠언집 '바보가 바보들에게' 중에서..) 1. 말(言) 말을 많이 할수록 필요 없는 말이 나오게 마련이다. 두 귀로 많이 들으며, 입은 세 번 생각하고 열어라. 2. 독서(讀書) 수입의 1%는 책을 사는데 투자하라. 옷이 해어지면 입을 수 없어 버려야 하지만, 책은 시간이 지나도 여전히 위대한 가치가 있다. 3. 노점상(露店商) 노점상에서 물건을 사려거든, 깎지 마라. 그냥 돈을 주고 사면 나태함을 키우지만, 부르는 대로 주고 사면 희망과 건강을 선물하는 것이다. 4. 웃음(笑) 매일 웃는 연습을 해라. 웃음은 만병의 예방약이자 치료약이다. 웃음은 노인을 젊게 하고 젊은이를 동자(童子)로 만든다. 5. TV(바보상자) 텔레비전을 보는데 많은 시간을 보내지 마라. 술에 취하면 정신을 잃고, 마약에 취하면 이성을 잃지만, 텔레비전에 취하면 생각이 .. 2023. 10. 4.
자신의 인생에서 행운을 부르는 습관 8가지 (feat. 성공하는 사람들의 특징) 1. 불행의 책임을 남에게 돌리지 마라. 자신에게 닥친 어려움이나 불행에 대해 자신의 책임을 인정하지 않는 사람들은 그들이 궁지에서 벗어나 마음 편해지기 위해 즉각 다른 사람에게 비난의 화살을 돌린다. 물론 스스로 책임을 진다는 것은 자기 잘못을 직면해야 하므로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그러나 한번 남의 탓으로 돌리고 나면 책임을 떠넘기는 건 좀처럼 떨쳐버릴 수 없는 습관으로 굳어지게 된다. 2. 진실만을 말하라. 상대의 환심을 사면서 진심으로 다른 사람을 칭찬하면 상대는 늘 기분 좋게 느끼고 당신에 대해서 좋은 감정을 갖게 된다. 어떤 사람들은 칭찬은 아부와 다름없는 것이라고, 또한 상대를 마음대로 하려는 얄팍한 술책이거나 무언가를 얻어 내려는 아첨이라고 말한다. 그러나 칭찬과 아부에는 엄청난 차이가 .. 2023. 9. 29.
멘탈갑, 엄청난 정신력을 가진 사람들의 9가지 공통적인 특징들 1. 사물을 객관적으로 본다. 셰익스피어의 유명한 대사 중 "세상에서 좋고 나쁜 것은 다 생각하기 나름이다"라고 했다. 상황을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 득이 될 수도 있고, 실이 될 수도 있다. 시련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객관적으로 사물을 보라. 2. 내려놓을 줄 안다. "언제나 원하는 것을 다 가져야 한다"는 생각은 버려라. 정신력이 강한 사람들은 삶이 계획대로 풀리지 않을 수 있다는 것 그리고 언제든 예상치 못한 일이 닥칠 수 있다는 것을 안다. 그들은 일이 잘 풀리지 않았을 떼, 운명을 탁하면서 시간을 낭비하지 않는다. 3. 냉정하고 침착한다. '멘탈'이 강하다는 것은 언제나 행복하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언제나 냉정하고 침착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할리데이는 말한다. 정서적 안정과 냉.. 2023. 9. 25.
사자신중충(獅子身中蟲), 사자 몸 속에 있는 벌레 사자신중충 (獅子身中蟲): 사자 몸속에 있는 벌레 獅(사자 사), 子(아들 자), 身(몸 신), 中(가운데 중), 蟲(벌레 충) 사자(獅子)를 죽음으로 모는 사자(獅子) 몸속에 있는 벌레라는 뜻으로, 불자(佛者)이면서 불법(佛法)을 해치는 자(者)를 비유(比喩, 譬喩)하는 말 사자는 살아있을 때의 위세 때문에 죽은 시체에도 다른 짐승들이 감히 접근을 못한다. 그렇다고 불멸은 아니니 다만 몸이 썩어 속에 생긴 벌레가 그 시체를 먹어 치움으로써 사라진다. 이같이 사자의 몸에 생긴 벌레가 끄떡하지도 않을 큰 덩치를 멸하게 할 수 있다는 이 성어는 불경에서 나왔다. 불제자이면서 불법을 해치는 사람을 가리키다 자기편에 해를 끼치는 사람이나 내부에서 재앙을 불러일으키는 사람을 뜻하게 됐다. 우리나라 불교 계율의 기.. 2023. 9. 25.
상황별 필수적으로 저장해서 두고두고 봐야한다는 레전드 인생 명언 인생에서 가장 부질없는 것들 1. 남의 시선을 너무 의식하는 것 2. 지나갈 인연에 목매는 것 3. 끝난 일을 계속 생각하는 것 4. 일어나지도 않은 일을 미리 걱정하는 것 5. 휴대폰을 손에서 놓지 못한 것 6. 무작정 남들이 하는 것을 따라한 것 상황이 안 좋을 때 무조건 떠올려야 하는 말 1. 그럴 수도 있지 2. 오히려 좋아 3. 망하면 어때 괜찮아 4. 일이 망했지 내가 망했냐 절대 잊으면 안되는 사실 1. 힘들 때 누가 곁을 지켜줬는지 2. 힘들 때 누가 내 곁을 떠났는지 3. 잘 됐을 때 누가 기뻐해줬는지 4. 안 됐을 때 누가 기뻐했는지 흔들릴 때 다짐해야 하는 것 1. 무슨 일이 있더라도 나를 탓하지 않을 것. 2. 사람과 사랑을 가장 생각할 것. 3. 더는 그 무엇도 기다리지 않을 것... 2023. 9. 24.
미여관옥(美如冠玉), 아침에 눈을 떴을 때 가고 싶은 회사 그리고 좋은 글 모음 1. 미여관옥(美如冠玉) '용모(容貌)의 아름다움이 관에 달린 옥(玉)과 같다'는 뜻으로, ① 겉만 번지르르하고 알맹이가 없음을 비유해 이르는 말 ② 재주만 있고 덕(德)이 없음을 비유해 이르는 말 ③ 관에 달린 옥처럼 아름다운 미색이나 머리가 빈 여인을 이르는 말 2. 아침에 눈을 떴을 때 가고 싶은 회사를 만들어라 '가고 싶은 회사'는 그곳에서 일하는 것이 즐거운 회사다. 월급을 받기 위해 억지로 회사에 나오는 직원이 최선을 다해 일할 리 없다. 일하는 것이 즐겁지 않고 기분도 우울한 직원에게서 좋은 아이디어가 나올 리 없다. Google의 최고 경영자 에릭 슈미트(1955년생) 회장은 이런 말을 했다. 근무 시간 가운데 2시간은 구글에 대해 생각하지 마라. 그 대신 좋아하는 일이나 취미 활동에 시간.. 2023. 9. 19.
노자가 말해주는 삶이 즐거워지는 인간관계 5가지 방법 1. 진실함이 없는 아름다운 말을 늘어 놓지 말라. 남의 비위를 맞추거나 사람을 추켜 세우거나 머지 않아 밝혀 질 사실을 감언이설로 회유하면서 재주로 인생을 살아가려는 사람이 너무나 많다. 그러나 언젠가는 신뢰받지 못하여 사람위에 설 수 없게 된다 2. 말 많음을 삼가라. 말이 없는 편이 좋다. 말없이 성의를 보이는 것이 오히려 신뢰를 갖게한다. 말보다 태도로서 나타내 보여야 한다. 3. 아는체 하지 말라. 아무리 많이 알고 있더라도 너무 아는 체 하기보다는 잠자코 있는 편이 낫다. 지혜 있는 자는 지식이 있더라도 이를 남에게 나타내려 하지 않는 법이다. 4. 돈에 너무 집착하지 말라. 돈은 인생의 윤활유로써 필요한 것임에 틀림이 없다. 그러나 돈에 집착한 채 돈의 노예가 되는 것은 안타까운 노릇이다. .. 2023. 9. 19.
인생을 붙잡아 주는 20가지 지혜 (feat. 내가 알고 있는 걸 당신도 알게 된다면) 1. 좋은 취미를 가지면 삶이 즐겁지만, 나쁜 취미를 가지면 늘 불행의 불씨를 안고 살게 됩니다. 2. 오늘 하루도 좋은 날로 만들려는 사람은 행복의 주인공이 되고, `나중에`라고 미루며 시간을 놓치는 사람은 불행의 하수인이 됩니다. 3. 힘들 때 손 잡아주는 친구가 있으면 이미 행복의 당선자이고 그런 친구가 없다고 생각한다면 이미 행복낙선자입니다. 4. 사랑에는 기쁨도 슬픔도 있다는 것을 아는 사람은 행복하고, 슬픔의 순간만을 기억하는 사람은 늘 불행합니다. 5. 작은 집에 살아도 잠잘 수 있어 좋다고 생각하면 행복한 사람이고 작아서 아무것도 할 수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불행한 사람입니다. 6. 남의 마음까지 헤아려 주는 사람은 이미 행복하고, 남이 자신을 이해해주지 않는 것만 섭섭한 사람은 이미 불.. 2023. 9. 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