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자기개발204

회사에서 가장 스트레스받는 순간 (feat. 고민에 도움이 되는 5가지 조언) 5년 차 직장인인 지인이 퇴사를 고민하고 있었다. 회사에서 받는 스트레스가 너무 컸고 이유를 묻자 5가지를 말했다. 첫째. 아무리 열심히 해도 아무도 몰라 준다는 점. 월급을 받고 일하기에 당연히 내가 해야 할 일이지만 평소보다 일이 많고 처리하기 어려운 일을 해냈을 때 누군가 따뜻한 말 한마디, 인정이 다시 열심히 할 수 있는 동기부여가 되는데 당연히 해야 할 일이기에 모든 노력이 당연해질 때 의욕이 나지 않는다. 둘째. 사람 관계 회사가 사람을 사구로 온 것은 아니기에 정말 마음을 놓을 수 있는 몇 명을 빼고는 상처받지 않기 위해 어느 정도 거리를 두고 인간관계를 해나가지만 일을 하면서 자신의 이익만 생각하거나 말을 할 때 불편해지는 말투를 하거나 함께 일할 때 상대방을 불편하게 하지 않기 위한 배려.. 2023. 11. 17.
우리에게 필요한 아홉 가지의 몸가짐 (feat. 인생을 올바르고 곧게) 1. 두용직(頭容直) 머리를 곧게 세워라. 지금 우리 주변엔 고개 떨어뜨린 사람이 너무 많다. 하지만 다시 고개 들어 하늘을 보라. 아직 끝이 아니다. 끝인 듯 보이는 거기가 새 출발점이다. 2. 목용단(目容端) 눈을 바르게 가져야 한다. 눈매나 눈빛은 중요한 만큼 눈매는 안정시켜 흘겨보거나 곁눈질하지 말며 좋은 인상을 줄 수 있어야 한다. 3. 기용숙(氣容肅) 기운을 엄숙히 하라. 우리는 예외 없이 세상 속에서 기싸움을 하고 있다. 기싸움은 무조건 기운을 뻗친다고 이기는 게 아니다. 4. 구용지(口容止) 입을 함부로 놀리지 말라. 물고기가 입을 잘못 놀려 미끼에 걸리듯 사람도 입을 잘못 놀려 화를 자초한 법 입구(口) 자가 셋 개가 모이면 품(品) 자가 된다. 자고로 입을 잘 단속하는 것이 품격의 기본.. 2023. 11. 17.
리더들이 꼭 알아야 할 CEO들의 명언 10가지 (feat. 리더십) 1. "회의시간 3분의 2는 듣는 시간입니다." - A.G Lafley - : 세계 최대 생활용품 업체인 P&G의 최고경영자이자 회장. 다양한 시도, 혁신을 마다하지 않았다. 2. "창조란 모든 것을 연결하는 것이다." - Steve Jobs - : 혁신의 아이콘. 가정용 PC와 스마트폰 보급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 애플사의 CEO. 3. "한 번 사람을 믿으면 모두 맡기십시오." - 구인회 - : 현 LG그룹의 창업주로 국내 최초로 라디오, 선풍기, 텔레비전 등 전기/전자기기를 생산, 수출한 인물. 4. "변화의 첫걸음은 행동에 옮기는 것이다." - Louis V. Gerstner, Jr. - : IBM 역사상 최초로 외부에서 영입된 CEO 출신으로, 남다른 실행력을 인정받은 리더. 5. "구두끈이 풀러.. 2023. 11. 15.
성공과 행복을 바라보는 10가지 덕목과 명언 (feat. 파랑새는 가까이) 1. 성공은 결과가 아니라 과정이다. 성공은 미리 설정한 가치 있는 목표를 점진적으로 실현해 가는 과정이다 – 폴 마이어 2. 성공해서 행복한 것이 아니라 행복해서 성공하는 것이다. 눈을 들어 하늘을 바라보는 사람에게는 닿을 수 없을 정도로 높은 곳이란 없다. 만족하게 살고, 때때로 웃으며, 많이 사랑한 사람이 성공한다 – A.J 스탠리 부인 3. 낮은 곳부터 시작하라. 가장 높은 곳에 올라가려면 가장 낮은 곳부터 시작하라 – 푸블릴리우스 시루스 4. 돈과 시간을 잘 관리하라. 사람의 일생은 돈과 시간을 쓰는 방법에 의하여 결정된다. 이 두 가지 사용법을 잘못하여서는 결코 성공할 수 없다 – 다케우치 히토시 5. 추구하는 과정을 좋아하라. 당신이 추구하는 것을 얻는 것은 성공이지만 추구하면서 좋아하는 것.. 2023. 11. 14.
인생을 살면서 알아두어야 할 4가지 지혜 (feat. 지혜로운 삶) 1. 諸行無常(제행무상) 태어나는 것은 반드시 죽는다. 형태 있는 것은 반드시 소멸한다. '나도 꼭 죽는다.'라고 인정하고 세상을 살아라. 죽음을 감지하는 속도는 나이별로 다르다고 한다. 청년에게 죽음을 설파한들 자기 일 아니라고 팔짱을 끼지만 노인에게 죽음은 버스 정류장에서 차를 기다림과 같나니 종교, 부모, 남편, 아내, 누구도 그 길을 막을 수 없고, 대신 가지 못하며, 함께 가지 못한다. 하루하루, 寸陰을 아끼고 후회 없는 삶을 사는 것, 이것이 죽음의 두려움을 극복하는 유일한 길이다. 2. 會者定離(회자정리) 만나면 헤어짐이 세상사 법칙이요 진리이다. 사랑하는 사람, 일가친척, 남편, 부인, 자식, 명예, 부귀영화, 영원히 움켜쥐고 싶지만 하나 둘 모두 내 곁을 떠나간다. 인생살이는 쉼 없는 연.. 2023. 11. 14.
인생에서 꼭 필요한 5가지의 끈 (feat. 인생은 끈, 탄생하고 맺어지고 다하고..) 인생은 끈이다. 사람은 끈을 따라 태어나고 끈을 따라 맺어지고 끈이 다하면 끊어진다. 끈은 길이요. 연결망이다. 좋은 끈이 좋은 인맥 좋은 사랑을 만든다. 1. 매끈 까칠한 사람이 되지 마라. 보기 좋은 떡이 먹기 좋고, 모난 돌은 정 맞기 쉽다. 세련되게 입고 밝게 웃고 자신감 넘치는 태도로 매너 있게 행동하라. 외모가 미끈하고 성품이 매끈한 사람이 돼라. 2. 발끈 오기 있는 사람이 돼라. 실패란 넘어지는 것이 아니라. 넘어진 자리에 머무는 것이다. 동트기 전이 가장 어두운 법이니 어려운 순간일수록 오히려 발끈하라. 3. 화끈 미적지근한 사람이 되지 마라. 누군가 해야 할 일이라면 내가 하고 언젠가 해야 할 일이라면 지금하고 어차피 할 일이라면 화끈하게 하라. 눈치 보지 말고 소신껏 행동하는 사람. .. 2023. 11. 14.
탁월한 결과를 이루는 방법, 반복에 지치지 않은 사람이 성공한다. 반복은 별로 인기가 없다. 우리는 반복을 지루하고 시시한 일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아주 잘못된 인식이다. 반복은 스킬을 향상 시키는 데 이용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지렛대다. 이는 뇌의 회선을 보다 빠르고 정교하게 만드는 자체 메커니즘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일례로, ‘모 노먼’은 캐나다인으로 1960~1970년대에 프로 골프 투어에서 잠시 활동했다. 그는 역사상 가장 정확한 골프 선수로 평가받기도 한다. 노먼은 17번의 홀인원을 기록했고, 59타를 3번이나 쳤다. 타이거 우즈는 자신이 ‘스윙을 빚진’ 두 명 중 한 명이 노먼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노먼은 자폐증을 가지고 있었는데, 어린 시절 반복의 힘에 도취 되었다. 16살 이후로 노먼은 일주일에 닷새, 하루에 800개에서 1,000개의 .. 2023. 11. 13.
일상공간에 붙여 놓고 매일 실천해야 할 13가지 생활신조 1. 절제 - 배가 부르도록 먹거나 마시지 말라. 2. 침묵 - 자신과 남에게 이익이 되지 않는 말은 삼가며, 천박한 대화는 피하라. 3. 질서 - 모든 물건은 제자리에 정돈하며, 모든 일은 제 때에 하라. 4. 결심 - 성취해야 할 일은 하도록 결심을 하고 한번 결심한 것은 반드시 행하라. 5. 검소 - 낭비는 하지 말되 너와 이웃에게 선한 일을 주저 말라. 6. 근면 - 시간을 허비하지 말고 항상 유용한 일에 전념하며 필요 없는 행동은 삼가라. 7. 성실 - 속이지 말고 솔직하게 바르게 생각하고 말할 때는 경우에 맞게 하라. 8. 정의 - 남에게 해를 끼치지 말고 남에게 득이 되는 일을 무시하지 말라. 9. 중용 - 극단적인 것을 피하고 당연하다 생각되는 화풀이도 삼가라. 10. 청결 - 신체, 의복.. 2023. 11. 13.
인생을 살다 보니 공감(共感)되는 사실 7가지 (feat. 인생의 미덕) 살다 보니 나의 고집대로, 내가 의도하고 원하던 대로, 흘러가지 않는 상황들이 많습니다. 그런 와중에서 새로운 깨달음을 얻기도 하고, 나 자신이 더 성숙한 사람으로 연단되는 과정을 겪기도 하지요. 오늘을 살면서 깨닫고, 인정하게 되는 스스로 마음을 다독여 보는 시간을 가져볼까 합니다. 1. 돈이 인생의 전부는 아니지만 중요하긴 하다. ‘물질만능주의’라는 말이 있습니다. 모든 가치를 돈에 두고 생각하고, 그 기준에 부합하지 않은 것은 가차 없이 버리는 태도, 또는 ‘돈이면 뭐든지 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관념을 의미하지요. 물질만능주의가 좋은 태도는 아니지만, 그렇다고 돈을 아주 생각하지 않을 수는 없습니다. 일정 수준의 경제적 안정이 마련이 되어야 내가 원하는 것을 할 수 있고, 또 사랑하는 가족과 이.. 2023. 11. 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