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이야기5

진달래 설화 (feat. 나무꾼의 성인 '진'자와 '달래'의 이름) 진달래 설화는 아래와 같습니다. 옛날 천상에서 인간 세상으로 내려온 선녀가 지상에 꽃을 심던 도중에 실수로 벼랑에 떨어져 다리를 다치게 됩니다. 때마침 그곳을 지나던 나무꾼이 선녀를 발견하여 본인의 집으로 업고 가서 정성으로 선녀를 간호하게 됩니다. 선녀는 이러한 나무꾼의 정성에 감동을 하게 되어 나무꾼과 결혼을 하게 됩니다. 행복하게 살던 선녀와 나무꾼은 예쁜 딸을 한 명 낳아 이름을 달래라고 지어주게 됩니다. ​그러나 선녀는 하늘의 부름을 받아 눈물을 흘리면서 천상으로 되돌아가게 됩니다. 나무꾼은 선녀를 그리워하며 슬픔 속에서 세월을 보내며 살았지만, 달래를 예쁘게 잘 키워냈습니다. ​그리고 세월이 흘러서 나무꾼과 달래가 살고 있던 고을에 나쁜 사또가 부임을 하게 됩니다. 그 사또는 아름다운 달래를 .. 2024. 4. 2.
수십 명의 부부를 인터뷰 (feat. 사랑을 지키는 법) 워싱턴 대학의 심리학자들은 한 연구에서 수십 명의 부부를 인터뷰하여, 그들이 3년 내에 이혼할지 아닐지를 94%나 정확하게 알아맞혔다고 한다. 그들의 재산을 조사하거나 학력을 조사한 것도 아니고, 단지 그들이 '자신의 과거를 설명하는 방식'만 듣고서 말이다. 즉, 커플이 그들의 과거를 받아들이는 태도에 따라, 그들의 미래를 예언할 수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과거'에 대해 어떤 태도를 지닌 커플들이 헤어지지 않고 좋은 관계를 유지할까? 한 마디로 말하면, 과거를 '긍정적'으로 보는 커플들이다. 여기에서 핵심은 실제로 긍정적인 과거를 산 게 아니라는 점이다. 아무리 고난과 고통어린 세월을 보냈어도, 그 시절을 긍정적으로 '볼 수 있는' 커플들은 이혼하지 않았다. 예를 들어, 어떤 커플들은 과거의 부정적인.. 2024. 1. 26.
알아두면 쓸데 있을까 하는.. 신박한 잡학사전: 7탄 1. 소방 대응시스템 소방 대응시스템 화재나 재난 규모에 따라 1~3단계로 나뉜다. 1단계는 사고 관할 소방서, 2단계는 시·도 소방본부 경계를 넘는 범위, 3단계는 전국의 소방력을 동원해야 수습 가능할 때 발령된다. 동원령은 부족한 소방력을 다른 지역에서 지원하는 조치다. 동원 규모에 따라 총 3단계로 나뉘며 1호 5%, 2호 10%, 3호 20% 로 나뉜다. 대구 서구 중리동 한 재활용 공장에서 원인을 알 수 없는 불이 났다. 대형화재로 번진 가운데 소방당국이 대응 3단계, 동원령 1호를 발령하고 진화에 나섰다. 이 땅의 모든 소방관님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아울러 경찰, 군인 여러분께도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이분들이 우리들을 지켜주는 진정한 3대 영웅이다. 물론 아닌 분들도 조금 계신다. 2... 2023. 7. 1.
내 삶을 윤택하게 만드는 소중한 이야기 5가지 1. 기린처럼 코끼리처럼 가까이서 보면 기린은 생각보다 너무 높고, 코끼리는 누가 봐도 너무 크다. 하지만 사람은 알면 알수록, 다가가면 갈수록 오히려 작아진다. 세상에서 은행과 냉장고와 장롱을 없애면 어떨까? 그러면 서로의 돈과 음식과 옷을 나눠줄까? 아무래도 그렇지는 않을 것 같다. 다시 곰곰이 생각해 본 결과 기린처럼 코끼리처럼 가까이 보면 볼수록 높고 큰 사람이 되면 된다. 꿈을 이루기 위해서는 마음이 높고 커야 한다. 다인의 '사는 게 쉽다면 아무도 꿈꾸지 않았을 거야' 중에서.. 2. 목표와 방향의 힘은 얕볼 수 없다. 목표와 방향은 넘을 수 없는 것처럼 보이는 장애물도 넘을 수 있는 길로 바꿔 놓는다. 그리고 기회의 문을 열어줄 강력한 힘을 가지고 있다. 나아갈 방향을 정해라. 목표를 정하고.. 2023. 6. 11.
자식에게 전해주고 싶은 7가지 이야기 1. 건강 이야기 1) 보약보다 효과가 있는 것은 운동이다. 하루 1시간 땀나게 운동해라. 2) 보약보다 효과가 있는 것은 음식 잘 먹는 것이다. 편식은 고쳐라. 3) 보약보다 효과가 있는 것은 나쁜 버릇 고치 기다. 생활 습관은 평생 간다. 2. 정신 이야기 1) 매사에 세 번 생각하고 세 번 인내하면 실수가 없다. 많은 실수와 사고를 막는 비법이다 2) 내가 남보다 잘 낫다는 망상은 버려라. 절대 잘난 게 아니다. 3) 남의 잘못을 따지기 전에 내 잘못을 돌아보자. 먼저 반성해야 한다. 3. 대인관계 이야기 1) 상대를 대접하라. 그래야 내가 대접받을 수 있다. 상대의 인격을 존중하라는 말이다. 2) 상대를 무시하면 또 하나의 적이 생긴 것과 같다. 상대에게 주는 모멸감 상대방은 절대 잊지 않는다. .. 2023. 5. 2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