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최고4 교육은 실행을 위해 필요한 것 (feat. 성장을 위한 교육공학적 이론) 내가 수영을 잘하고 싶다고 해보자. 아래 두 가지 옵션 중 무엇부터 시작해야 할까? 1. 수영의 역사와 철학에 대해 공부한다. 2. 일단 물에 들어간다. 당연히 2번인데 1번부터 시작하는 경우가 부지기수다. 예를 들어 재테크를 배우고 싶다고 해보자. 1. 재테크 관련 강의를 듣고 책을 읽어 본다 2. 10만 원만 들고 일단 시작해 본다. 교육학적으로 보자면 일단 시작한 뒤 그 시행착오를 보완해 가며 학습을 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인 방법이다. 주입식이 익숙하고 편한 방법이기에 우리는 그걸 통해 성장한다고 믿고 싶어 하지만 가장 효과가 낮은 방법이다. 결핍이 가득한 사회이기에 성장에 갈증이 있는 사람들이 많다. 자격증이나 교육을 통해 성장할 것이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그것들은 수단이지 목적이 아니.. 2024. 2. 18. 인싸 되는 유머 모음집 60선 (feat. 아저씨 그리고 부장님) 1. 왕이 넘어지면 : 킹콩 2. 왕이 가면 : 바이킹 3. 높은 곳에서 아기를 낳으면 : 하이에나 4. 고기 먹을 때마다 따라오는 개는 : 이쑤시개 5. 신사가 자기소개할 때 쓰는 말은 : 신사임당 6. 추장보다 높은 사람은 : 고추장 7. 불에 타는 국사책을 세 글자로 하면 : 불국사 8. 한 입 베어 먹은 사과는 : 파인애플 9. 이상한 사람들만 가는 곳은 : 치과ㅁ 10. 할아버지가 좋아하는 돈은 : 할머니 11. 병아리가 잘 먹는 약은 : 삐약 12. 비가 자기소개할 때 하는 말은 : 나비야 13. 텔레토비에서 뽀가 떠나면 : 뽀빠이 14. 도둑이 가장 싫어하는 아이스크림은 : 누가바 15. 세상에서 가장 뜨거운 과일은 : 천도복숭아 16. 호주의 돈은 : 호주머니 17. 세상에서 가장 장사를 .. 2023. 12. 23. 최고의 나를 만드는 5가지 질문법 (feat. 자신에 대한 믿음) 우리는 가끔 누군가의 성공과 성과를 바라보며, 의심스러운 눈빛으로 이런 생각을 하곤 한다. “저 사람에게 저런 위치에 오를 자격이 있을까?” “나보다 나을 게 없는 것 같은데.” “결국 운이 좋았거나 인맥 덕분이겠지.” 누군가의 성공과 성과를 의심하는 것은, 세상에서 가장 쉬운 선택이다. 생각이 전혀 필요한 일이 아니기 때문이다. 중요한 건 타인을 향한 의심을 자르고, 자신에 대한 믿음을 기르는 일이다. 당장 자신에게 강하게 질문하라! “왜 나는 언제나 그의 성과를 의심만 하고, 내가 그럴 위치에 오를 생각은 하지 않는가?” 이렇게 남을 향한 서툰 의심이 아닌 자신을 향한 강력한 믿음을 품고 살고 싶다면, 그대가 머무는 곳이 어디든 최소한 그 공간에서 그대가 주인으로 살아야 한다. 여기, 경계를 파괴하고.. 2023. 12. 18. 대한민국(大韓民國), 세계 최고 수준의 문화국가를 지향하는 나라 '대한민국(大韓民國)'이라는 나라 이름은 무슨 뜻일까? 어디서 유래가 되었을까? 더 나아가, 어떻게 "대한민국"이 국호{國號)가 될 수 있었을까? 생각보다 많은 분들이 이에 대해 모르는 경우가 많다. 이는 어떻게 보면 당연한 결과다. 우리나라 역사 교육에서도, 대한민국 국호의 유래에 대해서는 비교적 비중 있고, 깊게 다루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모든 내용은 어쩌면 우리가 필수적으로 알아야 할 내용이지 않을까 생각해 본다. '대한민국'의 유래는 고종시대에 만들어진 국가 이름으로 '대한제국'에서부터 시작된다. 그 당시, 고종은 중국으로부터 독립을 선언하고, 새로운 황제국을 만들기 위해 노력했다. 대한제국 이전 우리나라 국호는 조선(朝鮮)이었다. 조선이라는 국호에는 사대주의(事大主義)가 포함되어 있다. .. 2023. 9. 16.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