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大韓民國)'이라는 나라 이름은 무슨 뜻일까? 어디서 유래가 되었을까? 더 나아가, 어떻게 "대한민국"이 국호{國號)가 될 수 있었을까? 생각보다 많은 분들이 이에 대해 모르는 경우가 많다. 이는 어떻게 보면 당연한 결과다. 우리나라 역사 교육에서도, 대한민국 국호의 유래에 대해서는 비교적 비중 있고, 깊게 다루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모든 내용은 어쩌면 우리가 필수적으로 알아야 할 내용이지 않을까 생각해 본다.
'대한민국'의 유래는 고종시대에 만들어진 국가 이름으로 '대한제국'에서부터 시작된다. 그 당시, 고종은 중국으로부터 독립을 선언하고, 새로운 황제국을 만들기 위해 노력했다. 대한제국 이전 우리나라 국호는 조선(朝鮮)이었다. 조선이라는 국호에는 사대주의(事大主義)가 포함되어 있다.
조선을 세운 이성계가 명나라에게 국가 이름을 선택해 달라고 했기 때문이다. 이때 명나라는 조선(朝鮮)이라는 이름을 선택했고, 이게 결국 우리나라의 이름이 되었다. 조선이라는 이름에는 사대주의(事大主義)가 포함되어 있었기에, 고종은 국가의 이름을 바꾸고자 했다.
'대한(大韓)'에서의 '대(大)'는 대청제국, 대일본제국, 대영제국 등, 제국 앞에 관용적으로 붙이던 접사였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대'라는 접사를 이름 앞에 넣게 되었다. '민국(民國)'의 뜻은 민주 정치를 시행하는 나라, 즉 국민(國民)이 국가(國家)의 주인인 국가라는 뜻이다.
그럼 이제 마지막으로 '한(韓)'에 대해 알아보자. 사실 실질적인 국가 이름은 '한(韓)'이다. '대(大)'는 접사이고, '민국(民國)'은 민주주의(民主主義 ) 국가라는 뜻임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국호(國號)는 어떻게 '한(韓)'이 될 수 있었을까?
실질적인 국가의 이름은 한(韓)이다. 1897년 당시 만연했던 상징적 믿음은, "제국의 이름은 한 글자여야 한다"였다. 이는 중국이 국호를 붙이는 방식에서 비롯되었던 믿음이다. 중국은 대표적인 황제국이었고, 중국의 국호는 지금까지 계속 한 글자였다. (명나라, 송나라, 원나라, 청나라 등). 반면 중국 주변 국가 이름은 모두 두 글자였다. (조선, 일본, 돌궐, 흉노 등).
따라서, 당시 조선 사람들은 제국의 이름은 한 글자여야 한다고 생각했다. 마침 한국의 한(韓)과 조선의 조(朝)의 생김새가 비슷했다. 따라서 '한(韓)'이라는 국호(國號)가 탄생하게 되었다. 조선 사람들은 제국의 이름이 한 글자여야 한다고 생각했다.
'한(韓)'의 유래는 '삼한(三韓)'에서부터 온다. 조선(朝鮮)은 고조선(古朝鮮)의 정통을 이어 조선이라는 국호를 가지게 되었다. 이 고조선의 마지막 왕인 준왕(準王)은, 연나라에서 망명해 온 위만이라는 신하에게 왕위를 빼앗기게 된다. 준왕(準王)은 이후 한반도 남쪽으로 도망쳐오게 된다. 그곳에 그는 한(韓) 나라를 건국하게 된다.
이는 마한(馬韓), 변한(弁韓), 진한(辰韓)이라는 나라로 불렸고, 합쳐서 '삼한(三韓)'이라는 나라로 불렸다. 즉, 고조선(古朝鮮) 본래의 전통을 이은 국가가 바로 삼한(三韓)이다. 그리고 대한민국(大韓民國)은 이 삼한(三韓)의 전통을 계승하기 위해 탄생했다.
본래 고조선의 전통을 이은 국가가 삼한(三韓)이고, 대한민국은 이 삼한(三韓)을 계승(繼承)했다. 당시 삼한은 비록 세계의 변방에 위치해 있던 국가였지만, 문화적으로는 당대 최고 수준이었던 중국과 동등한 수준이었다. 이런 삼한을 대한민국이 계승했다.
즉 대한민국은, 세계 최고 수준의 문화를 만드는 나라, 무력이 아닌 교화로 다스리는 나라가 되기 위한 목표로 '한(韓)'이라는 국호를 가져오게 되었다. 외국인이 대한민국의 뜻이 무엇이냐고 물으면 이렇게 답하자.
"세계 최고 수준의 문화국가를 지향하는 나라"라고. 대한민국(大韓民國)은 세계 (世界) 최고(最高) 수준(水準)의 문화국가(文化國家)를 지향(指向)하는 나라이다.
경제학의 측면에서 바라본 동반성장과 소득격차의 이해
1. 소득의 증가와 변화하는 주변환경 영국이 잘 나갈 때 해로드백화점은 최고 명소였다. 다이애나비가 이 백화점 아들을 사귄 적도 있다. 그런데 신세계 강남점 매출이 연 3조 원이다. 런던의 해
mkpark02.tistory.com
한국인에게 친숙한 건강하게 매운맛 고추의 10가지 효능
음식에 매운맛을 더하기 위해 사용하는 고추에는 놀라운 효능들이 숨겨져 있다. 다양한 효능 가운데 가장 유명한 효능이 바로 스트레스 해소에 탁월하다는 점과 다이어트에도 도움이 된다는 점
mkpark02.tistory.com
한국의 대표적인 슬로푸드, 된장의 항암 효과 그리고 성인병예방
대표적인 한국의 슬로푸드 하면 된장, 간장이 있습니다. 그중 된장은 맛도 있고 여러 가지 효능이 풍부해 꾸준히 사랑받고 있는데요. 그중 가장 주목을 받는 게 항암효과와 성인병예방입니다. 1.
mkpark02.tistory.com
'일반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복절(光復節) 지니고 있는 의미 (feat. 8월 15일, 대한독립만세) (2) | 2023.09.19 |
---|---|
우리가 지구를 위해 지금 당장 할 수 있는 26가지 행동 (0) | 2023.09.18 |
일상생활에서 알아두면 유용한 민간요법 10가지 (0) | 2023.09.12 |
어릴 적 추억이 되살아나는 깔깔 유머 67가지 (1) | 2023.09.07 |
평상시에 즐겨 마시던 커피 10가지 이름에 숨은 뜻 (feat. 아메리카노) (1) | 2023.09.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