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자신44

소중한 사람을 잃지 않는 7가지 방법 (feat. 주변을 소중히) 1. 그 사람을 존중하라상대방이 어떤 사람이든 그 사람을 고유의 인격체로서 존중해 주어야 마음을 열 수 있다.아주 어린아이조차도 자신을 존중하는지 아닌지를 100% 직감할 수 있다. 2. 먼저 그 사람의 입장에서 보라무엇이든 나의 마음을 전달하기 전에 그 사람이 어떻게 받아들일까를 먼저 생각해야 한다. 그러면 그 사람이 원하는 것과 내가 주고자 하는 것을 일치시킬 수 있다. 3. 관심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라일시적인 관심은 무관심보다 더 큰 상실감을 준다. 한두 번 존중하고 배려해 주다가 참지 못해 포기하거나 관심을 꺼버리는 것은 상처만 남길 뿐이다. 4. '그 사람' 자체에 감사하라그 사람이 나에게 무엇을 해주었거나 무엇이 되어주었기 때문이 아니라 단지 내 곁에 존재해 주었다는 이유만으로 내 삶은 더 풍부.. 2024. 5. 15.
인생의 빈병 (feat. 에 긍정적인 생각과 마음가짐 또는 해로운 생각) 어떤 여인이 자신의 병 목록을 적어 의사를 찾아갔다. 그러나 검진을 끝낸 의사는 그녀에게 신체적으로 아무런 이상이 없는 걸 확신했다. 단지 그녀의 병은 삶에 대한 그녀의 부정적인 자세, 이를테면 슬픔과 원통함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는 그녀의 쌓인 감정을 풀어주는 것이 해결책이 될 거라고 결론 내렸다. 잠시 뒤 의사는 자신의 진료실에 딸려 있는, 온갖 종류의 약들이 즐비한 조그만 방으로 여인을 데리고 갔다. 그리고 그녀에게 빈 병으로 가득 찬 선반을 보여 주며 이렇게 말했다. “저기 속이 텅 비어 있는 병들이 보입니까? 저것들은 제각기 서로 다르게 생겼지만, 근본적으로는 아주 흡사하지요.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저 병들이 그 안에 아무것도 가지고 있지 않다는 겁니다. 이제 제가 그중 하나를 집.. 2024. 5. 8.
5월에 소중한 사람에게 전하는 메시지 (feat. 행복과 불행) 누가 그러더라 불행도 이제 다 끝 이래. 5월의 넌 누구보다 행복할 거래. 진짜 좋은 일만 있을 거래. 네가 꼭 지켜야 할 것들은 1. 아프고 힘들었던 기억들은 전부 털어버리기.2. 우는 날보다 웃는 날이 더 많도록 행복하기.3. 사람 때문에 사랑 때문에 아파하지 않기.4. 타인을 챙기기보다 나를 위해 살기.5. 세상에서 누구보다 가장 행복하기.6. 누구보다 소중하고 아름다운 건 나 자신이라는 걸 잊지 않기. 꽃은 비가 온 뒤에 피어나는 법이니까 지금 이 힘듦도 곧 지나갈 거야. 머지않아 곧 행복이 피어날 거고. 지나간 일들은 떠올리지 말 것. 이미 벌어진 일들을 후회하지 말 것. 아닌 인연은 단호하게 끊어낼 것. 정에 약해지지 말 것. 누구보다 가장 소중한 건 나 자신이라는 걸 알 것. 누구보다 나를 .. 2024. 5. 8.
시작이 어렵지, 시작하면 얼든지 가능 (feat. 시작이 반이다.) 시작이 반이다? '시작이 반이다'라는 속담이 있다. 일단 시작하는 것이 어렵지, 시작하면 얼마든지 할 수 있다는 뜻이다. 10대들이 무한한 꿈을 키워나가는 시기로 이 시기에 자신감과 용기를 기르는 것이 매우 중요한 일이다. 자신감을 잃으면 충분히 해낼 수 있는 능력이 있음에도 시도조차 하지 못하게 된다. 누구에게나 모든 것의 시작은 어렵다 하지만 용기와 자신감만 있으면 그 어떤 일도 과감하게 시작할 수 있음을 명심하기 바란다. 시작이 반이다? 아닙니다. 시작이 전부입니다. 시작하지 않으면 아무것도 이룰 수 없습니다. 작은 것부터 시작하는 것이 먼저입니다. 먼 미래가 아니라, 오늘, 이따가, 잠시 뒤, 바로 확인할 수 있는 것부터 바로 시작하는 것입니다. 그러려면 무엇보다 '생각 관리'를 해야 합니다. 나.. 2024. 4. 20.
진심으로 성공을 원한다면 필수적으로 실행해야 하는 10가지 (feat. 성공) 1. 공부 단 하루도 새로 배운 것 없이 보내지 않는다. 책을 읽는 것만이 공부는 아니다. 다른 사 람과의 대화 속에서, 인터넷에 올라와 있는 각종 동영상에서, 다른 사람이 보낸 이메일이나 SNS(사회 적 관계망)에 올라온 글을 읽고 대답하는 과정에서도 공 부할 수 있다. 매일 잠들기 전에 오늘 새로 배운 것이 있는지 자문해 보라. 2. 목표 매일 그날 해야 할 일, 한 달간 하고 싶은 일, 1년간 원하는 일, 10년 뒤 바라는 자신의 모습을 그려보라고 기록한다. 앨리는 매일 목표를 점검하고 새로 설정해 가며 100권의 노트를 작성했다. 3. 계획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행동지침이다. 10년 뒤에 이루고 싶은 목표가 있으면 연, 월, 주, 일별로 쪼개해야 할 일을 정한다. 목표는 크고 원대해야 하지만 계획.. 2024. 4. 19.
하루를 즐겁게 살기 위한 10가지 방법 (feat. 최악의 자세, 비교) 1. 자신감을 가져라. 자신의 약점보다 장점을 바라보고 자기비판보다는 자신의 성공과 행복을 스스로에게 확신시킬 수 있는 사람만이 성공한다. 2. 남과 비교하지 말라. 세상엔 당신보다 잘난 사람도 있고, 못난 사람도 있게 마련이다. 3. 행복해지겠다고 결심하라. 사람은 자신이 작정한 만큼 행복해질 수 있다. 자신의 태도가 주위 여건보다 훨씬 중요하다. 4. 자신에 대한 불행감이나 삶에 대한 허무감을 버려라. 그런 느낌은 지나치게 자기중심적인 데서 나오는 것이다. 5. 긍정적이고 낙관적인 사람과 교제하라. 가까이 지내는 사람의 기분과 행동은 우리의 기분과 행동에 전염성이 있다. 6. 지나친 죄의식을 갖지 말라. 다른 사람의 기분과 감정이 모두 당신 책임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오만이다. 7. 모든 일에 머리를 .. 2024. 4. 19.
몸을 돌보는 것 (feat. 자신을 위한 일인 동시에 남을 위한 일) 몸은 전셋집이다. 임대기간이 다 되면 돌려줘야 한다. 그때 하자보수는 필수 몸은 무엇일까? 몸은 당신이 사는 집이다. 지식이나 영혼도, 건강한 몸 안에 있을 때 가치가 있다. 몸이 아프거나 무너지면, 별 소용이 없다. 집이 망가지면, 집은 짐이 된다. 소설가 박완서 씨는 老年에 이렇게 말했다. "젊었을 적의 내 몸은 나하고 가장 친하고, 만만한 벗이더니, 나이 들면서 차차 내 몸은 나에게 삐치기 시작했고, 늘그막의 내 몸은 내가 한평생 모시고 길들여온, 나의 가장 무서운 상전이 되었다." 정말 맞는 말이다. 몸만이 현재다. 생각은 과거와 미래를 왔다 갔다 한다. 하지만, 몸은 늘 현재에 머문다. 현재의 몸만큼 중요한 것은 없다. 그렇기 때문에 몸은 늘 모든 것에 우선한다. "몸이 곧 당신이다." 몸을 돌.. 2024. 4. 17.
인생에서 고비가 왔다고 느낄 때 보면 좋을 글 모음 (feat. 삶, 자신 그리고 행복) 1. 삶이 힘겨울 때 새벽시장에 한번 가보십시오. 밤이 낮인 듯 치열하게 살아가는 상인들을 보면 힘이 절로 생깁니다. 그래도 힘이 나질 않을 땐 뜨끈한 가락국수 한 그릇 드셔보십시오. 국물맛이 희망을 줄 것입니다. 2. 자신이 한없이 초라하고 작게 느껴질 때 산에 한번 올라가 보십시오. 산 정상에서 나려다 본 세상은 백만장자 부럽지 않습니다. 아무리 큰 빌딩도 내발 아래 있지 않습니까. 그리고 큰소리로 외쳐보십시오. 난 큰손이 될 것이다. 이상하게 쳐다보는 사람 분명 있을 것입니다. 그럴 땐, 그냥 한번 웃어주세요. 3. 죽고 싶을 때 병원에 한번 가보십시오. 죽으려 했던 내 자신, 고개를 숙이게 됩니다. 난 버리려 했던 목숨! 그들은 처절하게 지키려 애쓰고 있습니다. 흔히들 파리 목숨이라고들 하지만 쇠.. 2024. 4. 14.
겸손한 사람은 참 아름답다 (feat. 더 아픈 사랑을 위하여) 겸손(謙遜)이란 참으로 자신 있는 사람만이 갖출 수 있는 인격(人格)이다. 자신(自信)과 자부심(自負心)이 없는 사람은 열등의식(劣等意識)이나 비굴감(卑屈感)은 있을지언정 겸손한 미덕(美德)을 갖추기 어렵다. 겸손은 자기를 투시(透視)할 줄 아는 맑은 자의식(自意識)을 가진 사람의 속에 있는 것이다. 자기의 한계(限界)를 알고, 한정(限定)된 자신의 운명(運命)과 '우주의 영원무변성(永遠無變性)'과를 대비할 줄 아는 분별력(分別力)을 가진 사람만이 겸손할 수가 있다. 또한 겸손은 생명(生命) 있는 모든 것. 혹은 무생물(無生物)의 모든 것까지 애련히 여기는 마음에서 유래(由來)하는 것이며, 그들의 존재함에 대한 외경심(畏敬心)에서 비롯하는 것이다. 자연(自然)의 모든 뜻, 옆에 있는 사람이나 사물(事物).. 2024. 4. 13.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