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자본4

중산층의 정의를 정확히 알아야 하는 이유 (feat. 기준의 차이) "월 700만 원 벌어도 나는 중산층"이라고 할 때 그 월 700만 원이 정확히 '근로소득'인지 아니면 '총소득'인지 또 '가구소득'인지 '개인소득'인지 모르겠다. 또 다른 언론사에서는 월 700만 원 벌어도 나는 하층"이라는 제목으로 기사를 내기도 한다. 기자들이 이런 식으로 제목을 애매하고 부정확하게 쓰면 곤란하다. 암튼... - 총소득이란 '근로소득+자산소득+사업소득+이전소득+비경상소득'을 뜻한다. 전체 소득에서 근로소득의 비중은 가구분 위에 따라 다른데 중산층 이상으로 올라가면 대략 근로소득은 총소득의 60~70% 정도 된다. 일반대중들의 인식과는 반대로 고소득층으로 올라갈수록 근로소득의 비중이 높아지고 저소득층으로 내려갈수록 근로소득의 비중이 낮아진다. 1분위로 내려가면 가구원이 모두 총출동해서.. 2024. 5. 14.
대부분의 CEO들이 간과하는 11가지 중요한 요소들 (feat. 사업의 성공) 1. CEO로 성공하려면 2가지를 잘해야 한다. 1) 하나는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2) 다른 하나는 효율적 운영의 결과로 들어오는 현금을 적재적소에 배치하기. 2. 대다수의 CEO들은 (회사) 운영에 초점을 둔다. (물론 운영은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현금을 잘 쓰는 문제에 대해 신경을 쓰는 CEO는 많지 않다) 3. CEO가 주로 자본을 사용하는 용처에는 기본적으로 1) 기존 사업 투자, 2) 다른 사업 인수, 3) 배당금 지급, 4) 부채 상환, 5) 자사주 매입 등 5가지가 있다. 4. 자금을 조달하는 방법도 1) 내부 현금 이용, 2) 채권 발행, 3) 주식 발행 등 3가지 방안이 있다. 5. 장기적인 주주 이익은 ‘이런 다양한 도구 중에서 CEO가 무엇을 선택하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2024. 5. 14.
자본으로 자본을 불리는 것의 두 가지 한계 (feat. 시간으로 자본을 불리는 방법) 자본으로 자본을 불리는 것은 두 가지 한계가 있다. 1. 꾸준히 불어나는 방법을 선택하면 급격히 불어나지 않으며, 급격히 불어나는 방법을 선택하면 급격히 쪼그라들 수 있다. (예외 케이스: 시장이 미친 급등이나 급락하는 경우 급격히 불어나는 방법으로 급격히 불릴 아주 작은 시간창이 생김 -> 바꾸어 말하면 이 시간 창을 보는 눈이 있다 하더라도 대부분의 시간을 재미없게 지루하게 자본이 급격하게 불어나지 않는 상태로 보내야 함을 의미) 2. 자본으로 자본을 불리는 것은 내 자본이 불어나는 것 외에 딱히 세상에 가치를 만들지 못한다. 열심히 공부하고 일해서 내 돈만 불리는 거 참 허무한 일이다. 그래서 시간으로 자본을 불리는 게 두 가지 측면에서 아주 재미난데, 1. 급격히 불어나는 방법을 선택해도 꽤 괜찮.. 2024. 3. 21.
부동산과 관련된 명언 14가지 (feat. 부동산은 엔드게임 최종 자산) 1 부동산은 잃어버리거나 도난당하거나 가져갈 수 없습니다. 부동산은 세상에서 거의 가장 안전한 투자이다 - 루스벨트 2 집을 소유하는 것이 곧 부의 핵심이다. 재정적 풍요와 정서적 안정 모두를 준다. - 수즈오르만 3 모든 백만장자의 90%는 부동산 소유를 통해 부자가 된다 -앤드류 카네기 4 이 땅에서 하는 최고의 투자는 땅에 대한 투자이다 - 루이스 글릭먼 5 부동산은 불멸의 자산으로 계속 가치가 상승한다. 부동산은 안전성에 기반하여 거의 유일한 파괴할 수 없는 안전성을 가진다 - 러셀세이지 6 부동산은 만질 수 있고 단단하며 아름답다. 부동산은 예술이다 그래서 사랑한다 - 도날드 트럼프 7 부동산은 주식보다 안전하고 사기꾼들이 발행하는 채권보다 안전하다 - 유진 오닐 8 부동산을 사기 위해 기다리지.. 2023. 10. 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