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일반151

일시적 2 주택 비과세 특례 총 정리 (feat. 종전주택과 일반 신규주택) 1. 종전주택과 일반 신규주택 [소득세법 시행령 155조 1항] 1) 종전 주택을 취득한 날부터 1년 이상이 지난 후 신규 주택을 취득할 것. 2) 신규 주택을 취득한 날로부터 3년 이내에 종전주택을 양도할 것. 3) 종전주택은 양도일 현재 1세대 1 주택 비과세 요건을 충족할 것. 2. 주택과 조합원입주권 종전주택과 신규 조합원입주권 승계취득 [소득세법 시행령 156조의 2 3항] 1) 종전 주택을 취득한 날부터 1년 이상이 지난 후 조합원입주권을 취득할 것. 2) 조합원입주권을 취득한 날로부터 3년 이내에 종전주택을 양도할 것. 3) 종전주택은 양도일 현재 1세대 1 주택 비과세 요건을 충족할 것. 3. 종전주택과 신규 조합원입주권 승계취득 (실수요목적 특례) [[소득세법 시행령 156조의 2 4항].. 2023. 11. 25.
한국인의 영원한 친구인 소주, 얼마나 알고 마시나요? 1. 희석식 소주는 화학주다? 화학식이란 말은 촉매제 등을 이용하여 화학반응을 통해 만들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물론 세계적으로 화학반응을 통해 술을 만들 수는 없다. 오직 효모를 통해 발효시켜 술을 만들 수 있는 것이다. 화학주로의 오해는 '희석식'이란 단어의 어감 때문에 생긴 해프닝이다. 따라서 모든 소주도 곡물+누룩으로 발효시킨 후 증류하여 빚기 때문에 화학주는 절대 아니다. 2. 소주도 유통기한이 있다? 막걸리나 약주, 맥주, 청주, 와인과 같은 발효주의 경우에는 기간이 오래되면 술이 변질되기 때문에 유통기한을 따로 정하고 있다. 하지만 소주나 위스키 브랜디의 경우는 증류주로써 도수도 높고 변질될 소재가 술 안에 없기 때문에 유통기한이 없다. 국세청 기술연구소 연구결과에 의하면 알.. 2023. 11. 5.
우리가 평상시에 모르고 썼던 일본 말 모음 (feat. 간지, 단도리 및 다대기) 우리가 평상시에 모르고 썼던 일본 말 모음 ‘가라(空)’는 ’ 비어있다’는 뜻을 지닌 일본어다. ‘간지 난다’에서 ‘간지’는 ‘느낌’을 뜻하는 일본어다. ’ 흠집이 났다’의 ‘흠집’는 ‘상처’라는 뜻 일본어 ‘기즈(きず, 傷)’에서 온 말이다. 오늘 낮 음식점에서 썼던 ‘다대기’는 ‘두들긴다’는 뜻의 일본어 ‘다타키(たたき, 叩き)’에서 왔다. 우리나라 말은 ‘다진 양념’이다. ’ 단속 잘해라 ‘라 할 때 ’ 단속(だんどり·段取り)‘는 순서, 절차의 뜻을 지닌 일본어다. 그런가 하면 흔히 내뱉던 ’땡깡 부리지 마’라는 말에서 ‘생떼’은 일본어 ‘덴칸(てんかん·癲癇)’에서 온 말. ’ 뇌전증’ 즉, 간질을 가리키는 용어다. ‘생떼’ 대신 ‘생떼’가 맞다. ‘물방울무늬 무늬’ 많이 쓰죠? 여기서 ‘땡땡’은 .. 2023. 11. 2.
비즈니스 인사이더가 정리한 우리의 인지 편향 20가지 총정리 당신은 매일매일 수천 가지 결정을 내립니다. 연구에 따르면 무엇을 먹을지 정하는 사소한 결정부터, 직장에서 내리는 중대한 결정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인지적 편향이 최선의 결정을 내리는 것을 방해합니다. 가 정리한 20가지 인지 편향을 소개합니다. 1. 기준점 편향 (anchoring bias) 사람들은 처음 접하는 정보에 지나치게 좌우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연봉 협상을 할 때, 첫 번째로 제안하는 금액에 따라 각자의 머릿속에는 그 제안 금액의 범위 내에서 사고가 이루어지게 됩니다. 2. 가용 휴리스틱 (availability heuristic) 사람들은 그들이 미리 알고 있는 정보의 중요성을 과대평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가령, 흡연을 하는 사람이 하루에 담배 세 갑씩 피면서 100세까지 산 사람을 안다.. 2023. 10. 24.
문화재청, 비공개 ‘서삼릉 효릉’ 9월 8일부터 일반에 최초 개방 비공개 ‘서삼릉 효릉’ 9월 8일부터 일반에 최초 개방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본부장 직무대리 신성희)는 특수환경으로 인한 일반인 접근의 어려움으로 그동안 비공개로 관리해 온 서삼릉 효릉(경기도 고양시)을 오는 9월 8일부터 일반에 최초 개방한다(무료). 고양시에 소재한 ‘서삼릉 효릉’은 조선 12대 왕으로 31세라는 젊은 나이에 승하하셨던 인종(1515~1545/재위 1544~1545)의 왕릉으로 1545년 조성되었으며, 남편을 일찍 여의고 자식 없이 외롭게 일생을 사셨던 인성왕후(1514~1577)가 1578년 모셔지면서 쌍릉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문화재청은 조선왕릉이 2009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이후 조선왕릉들을 꾸준히 정비하여 왔으며, 효릉을 끝으로 마침내 조선왕릉 40기가 전부 개방.. 2023. 9. 30.
일상생활에서 잘못 알고 있는 상식들 18가지 01. 우유를 마신 뒤 설사를 두려워 마라. 처음 마실 때 설사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계속 마시면 자연히 멎는다. 설사를 해도 영양분은 체내에 그대로 남는다. 02. 무는 뿌리보다 잎새가 더 좋다. 무잎은 뿌리보다 영양가가 훨씬 높다. 뿌리는 사람이 먹고 잎은 버리거나 소, 돼지에게 주는 것은 알고 보면 바보 같은 일이다. 03. 야채는 익혀 먹어라. 생야채를 먹어야 한다는 건 또 하나의 미신이다. 야채의 영양분은 대체로 빈약하다. 푹 익히지 않은 선에서 알맞게 조리해야 한다. 04. 블랙커피는 몸에 해롭다. 블랙커피만 마시면 위장과 심장에 좋지 않고 동맥경화에 걸리기 쉽다. 반드시 크림이나 우유를 넣어 마셔야 한다. 05. 채식만으로 오래 살진 않는다. 서양의 채식장려는 고기를 먹되 야채분량을 늘리.. 2023. 6. 27.
알아두면 쓸데 있을까 하는.. 신박한 잡학사전: 6탄 1. 세계에서 물가가 가장 비싼 도시 1위 미국 뉴욕 2위 중국 홍콩 3위 스위스 제네바 4위 영국 런던 5위 싱가포르 6위 스위스 취리히 7위 미국 샌프란시스코 8위 이스라엘 텔아비브 9위 서울 10위 도쿄 2. 자동차 포니의 놀라운 비빌 아직도 포니가 있다고? 있다. 현재 국내에 등록돼 있는 포니는 8,083대다. 이중 실제 운행하는 건 1000여 대 미만 일 거라고 한다. 포니의 시세는 관리가 잘 돼 있는 운행 가능한 차량은 8000만~1억 원 정도이며, 폐차 수준인 경우에도 수백만 원에 거래되고 있다. 3. 1년에 인공구조물에 부딪혀 죽는 새의 숫자 1년에 인공구조물에 부딪혀 죽는 새의 숫자는 7,880,000마리다. 건물 유리창에 연간 765만 마리 투명 방음벽에 연간 23만 마리가 죽는다. 대.. 2023. 6. 2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