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인성27

명심보감에서 배우는 삶의 지혜 (feat. 인생의 지혜) 1. 남을 무시하지 말라. 태공이 말하였다. 자기가 잘났다고 생각하여 남을 업신여겨서는 안 되고, 자기가 크다고 생각해서 작은 사람을 무시해서는 안 되고, 용기를 믿고 적을 가볍게 대해서는 안 된다. 2. 의심받을 일은 아예 하지 말라. 태공이 말하였다. 참외밭에서는 신을 고쳐 신지 말고, 오얏나무 밑에서는 갓끈을 바로잡지 말라. 3. 힘으로 남을 이기려 하지 말라. 맹자가 말하였다. 힘으로 남을 이기려 하면 겉으로는 복종하는 체하지만 진심으로 복종한 것이 아니라 힘이 부족해서요, 덕으로써 남을 복종시키려 하면 마음속으로 기뻐서 진심으로 복종하게 된다. 4. 아무리 화가 나도 참아야 한다. 한때의 분노를 참으면 백 일 동안의 근심을 면할 수 있다. 5. 남을 해치고자 하면 자신이 먼저 당한다. 태공이 말.. 2024. 3. 1.
돈 빌려 줘도 괜찮은 사람과 돈 빌려 주면 안되는 사람의 차이점 1. 이런 사람에겐 돈 빌려 줘도 좋다 1) 밥 한 끼 얻어먹은 걸 결코 잊지 않는 사람. 2) 물건을 사고 영수증을 받아 꼭 살펴보는 사람. 3) 쓸데없이 굽실거리지 않는 사람. 4) 아침에 일찍 일어나고 시간약속을 잘 지키는 사람. 5) 신용카드연체 경력이 전혀 없는 사람. 6) 지갑에 잔돈이 얼마 들어있는지 정확히 아는 사람. 7) 술값 먼저 내고 집으로 도망가는 사람. 명동과 역삼동에서 20여 년간 사채업을 해온 분 이런 사람에겐 돈 빌려 주지 마라고 다음과 같이 털어놓았습니다. 2. 이런 사람에겐 돈 빌려 주지 마라 1) 업체를 찾아갈 땐 화장실부터 가보라. (화장실이 지저분한 회사는 곧 망한다) 2) 대출서류가 완벽하면 의심하라. (서류가 너무 완벽하면 사기성이 농후하다) 3) 사장의 얼굴과 .. 2024. 2. 28.
스스로 격려하는 26가지 방법 (feat. 자존감 높이는 효과적인 마음자세) 1. 울고 싶으면 마음껏 운다. 2. 30분 동안 빈둥거린다. 3. 공원으로 산책하러 나간다. 4. 매일매일 운동한다. 5. 나와 남을 심판하지 않는다. 6. 마음의 어떤 공간에 나한테 소중한 것을 넣어둔다. 7. 고민되면 끝까지 고민해 본다. 8. 앞으로 일어날 것 같은 일 때문에 자신을 괴롭히지 않는다. 9. 가슴이 무엇을 원하는가를 스스로에게 묻는다. 10. 하루에 한 번은 조용한 시간을 갖는다. 11. 마음의 눈에서 두려움의 안경을 벗어던진다. 12. "난 이렇게 하지 않으면 안 돼"라는 것들로부터 자신을 해방시킨다. 13. 자신을 주장하되 부드럽게 주장하는 법을 스스로 터득한다. 14. 기다림의 기술을 배운다. 15. 자신에게 노래를 불러준다. 16. 마음에 와닿는 모든 느낌들을 거부하지 않고 .. 2024. 2. 17.
새로운 생각은 받아들이는 힘에서 나온다 (feat. 받아들이는 자세) 나무는 비가 오면 비를 받아 들고 다른 모습으로 서 있습니다. 아침에 해가 뜨면 해를 받아 들고 다른 모습으로 서 있어요. 그건 나무가 받아들이기 때문입니다. 나는 나무가 비를, 바람을, 햇살을, 달빛을 오지 말라고 거부하는 것을 보지 못했어요. 바람이 불면 바람을 받아들여 바람 속의 나무가 되고, 달빛이 들면 달빛을 받아들여 달빛 속의 나무가 됩니다. 똑같은 나무인데도 늘 자기를 새롭게 그려내는 이유는 받아들이기 때문입니다. 받아들이는 힘이 있을 때만 자기의 새로운 모습을 세상에 그려낼 수 있었습니다. 결국 창조의 힘은 받아들이는 힘에서 나옵니다. 나는 나무를 좋아합니다 강물을, 바다를, 비가 오고 눈이 오는 것을 바라보는 일을 좋아합니다. 나무는 정면이 없습니다. 경계를 하지 않습니다. 나무는 늘 완.. 2024. 2. 16.
걱정 없는 사람의 11가지 비밀 (feat. 꿈, 마음 그리고 겸손) 01. 가슴에 꿈을 품고 있는 사람은 걱정하지 않습니다. 지금은 비록 실패와 낙심으로 힘들어해도 곧 일어나 꿈을 향해 힘차게 달려갈 테니까요. 02. 그 마음에 사랑이 있는 사람은 걱정하지 않습니다. 지금은 비록 외로워도 그 마음의 사랑으로 곧 많은 사람들로부터 사랑을 받게 될 테니까요. 03. 그 마음이 진실한 사람은 걱정하지 않습니다. 지금은 비록 손해를 보고 답답할 것 같아도 그 마음의 진실로 곧 모든 사람들이 그를 신뢰하게 될 테니까요. 04. 누구 앞에서나 겸손한 사람은 걱정하지 않습니다. 지금은 비록 초라하고 부족한 것 같아도 그의 겸손이 곧 그를 높여 귀한 사람이 되게 할 테니까요. 05. 늘 얼굴이 밝고 웃음이 많은 사람은 걱정하지 않습니다. 지금은 비록 가볍게 보여도 곧 그 웃음이 사람들.. 2024. 2. 13.
피가 되고 살이 되는 글과 영상 모음집 (feat. 괴테의 인생훈 5가지) 1. 득실재아 훼예재인(得失在我 毁譽在人) 얻고 잃음(잘 되고 잘못되는 것)은 내게 달려 있고, 헐뜯고 예찬하는 것은 남의 손에 달려 있다. ※ 출전 : 박지원(1737~1805) 연암집(燕巖集) 2. 괴테의 인생훈(人生訓) 5가지 1) 지나간 일을 쓸데없이 후회(後悔) 하지 말 것 잊어버려야 할 것은 깨끗이 잊어버려라. 과거(過去)는 잊고 미래(未來)를 바라보라. 2) 될수록 성을 내지 말 것. 분노(憤怒) 속에서 한 말이나 행동은 후회(後悔)만 남는다. 절대로 분노(憤怒)의 노예(奴隸)가 되지 말라 3) 언제나 현재를 즐길 것 인생은 현재의 연속이다. 지금 내가 하고 있는 일을 즐기고, 그 일에 정성과 정열을 다하는 것이 가장 현명(賢明)하다. 4) 특히 남을 미워하지 말 것 증오(憎惡)는 인간을 비.. 2024. 1. 1.
되는 집안, 안 되는 집안의 차이 20가지 (feat. 집안의 중요성) 1. 되는 집안은 웃음꽃이 가득하고 안 되는 집안은 근심걱정이 가득하다. 2. 되는 집안은 감사와 기쁨이 주식이고 안 되는 집안은 불평과 원망이 주식이다. 3. 되는 집안은 똘똘 뭉쳐 하나가 되고 안 되는 집안은 뿔뿔이 흩어져 콩가루 된다. 4. 되는 집안은 어른을 공경하고 안 되는 집안은 자식을 공경한다. 5. 되는 집안은 가정을 위하고 안 되는 집안은 가옥을 위한다. 6. 되는 집안은 온기가 가득하고 안 되는 집안은 냉기가 가득하다. 7. 되는 집안은 잘 될 이유를 말하고 안 되는 집안은 안될 이유만 말한다. 8. 되는 집안은 나눔의 즐거움을 알고 안 되는 집안은 돈 세는 즐거움만 안다. 9. 되는 집안은 마음을 뜯어고치고 안 되는 집안은 얼굴만 뜯어고친다. 10. 되는 집안은 자신을 위해 관리비를 .. 2023. 12. 30.
복을 부르는 25가지 삶의 지혜 (feat. 희망의 꽃과 세상의 축복) 1. 가슴에 기쁨을 가득 담아라. 담은 것만이 내 것이 된다. 2. 좋은 아침이 좋은 하루를 만든다. 하루를 멋지게 시작하라. 3. 얼굴에 웃음꽃을 피워라. 웃음꽃에는 천만 불의 가치가 있다. 4. 남이 잘되도록 도와줘라. 남이 잘되야 내가 잘된다. 5. 자신을 사랑하라. 행운의 여신은 자신을 사랑하는 사람을 사랑한다. 6. 세상을 향해 축복하라. 세상은 나를 향해 축복해 준다. 7. 기도하라. 기도는 소망성취의 열쇠다. 8. 힘들다고 고민 말라. 정상이 가까울수록 힘이 들게 마련이다. 9. 준비하고 살아가라. 준비가 안 되면 들어온 떡도 못 먹는다. 10. 그림자를 보지 말라. 몸을 돌려 태양을 바라보라. 11. 남을 기쁘게 하라. 10배의 기쁨이 나에게 돌아온다. 12. 끊임없이 베풀어라. 샘물은 퍼.. 2023. 12. 30.
아침에 일어나 읽으면 자존감이 탄탄해지는 20가지 언어 (feat. 하루의 시작) 아침의 말이 그 사람의 하루를 결정하는 거죠. 다음에 소개하는 20가지 말을 하나하나 읽어 보세요. 어제와 다른 오늘을 시작할 수 있을 겁니다. 1. 오늘 나는 소음에 마음을 빼앗기지 않는다. 2. 멈추지만 않으면 모든 방황은 아름답다. 3. 내가 원하는 소리에만 집중하며 산다. 4. 잠들기 전에 생각한 것을 오늘 확실히 실행한다. 5. 기분이 태도가 되지 않게 한다. 6. 돈으로도 바꿀 수 없는 소중한 하루를 보낸다. 7. 모든 순간이 기적인 것처럼 산다. 8. 나는 내게 주어진 일상을 지배할 줄 안다. 9.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사람은 이해하려 애쓰지 않는다. 10. 나는 침묵보다 가치 있는 말을 하는 사람이다. 11. 과정을 경험하는 것일 뿐 실패한 게 아니다. 12. 그게 뭐든 내가 시작하고 내.. 2023. 12. 3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