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부채4 중산층의 정의를 정확히 알아야 하는 이유 (feat. 기준의 차이) "월 700만 원 벌어도 나는 중산층"이라고 할 때 그 월 700만 원이 정확히 '근로소득'인지 아니면 '총소득'인지 또 '가구소득'인지 '개인소득'인지 모르겠다. 또 다른 언론사에서는 월 700만 원 벌어도 나는 하층"이라는 제목으로 기사를 내기도 한다. 기자들이 이런 식으로 제목을 애매하고 부정확하게 쓰면 곤란하다. 암튼... - 총소득이란 '근로소득+자산소득+사업소득+이전소득+비경상소득'을 뜻한다. 전체 소득에서 근로소득의 비중은 가구분 위에 따라 다른데 중산층 이상으로 올라가면 대략 근로소득은 총소득의 60~70% 정도 된다. 일반대중들의 인식과는 반대로 고소득층으로 올라갈수록 근로소득의 비중이 높아지고 저소득층으로 내려갈수록 근로소득의 비중이 낮아진다. 1분위로 내려가면 가구원이 모두 총출동해서.. 2024. 5. 14. 대한민국의 가장 큰 문제점 (feat. 세금구조 및 공공복지에 대한 과도한 부채 문제, 비용 문제) 대한민국 상위 1% 가 종합소득세 전체의 51.3%를 납부 대한민국 상위 10%가 근로소득세 전체의 73.1%를 납부 대한민국 상위 10%가 종합소득세 전체의 86.6%를 담당 반면, 대한민국 전체 근로자들 중 37%는 소득세를 한 푼도 내지 않습니다. 그런데 이상하게도 이 대한민국에서는 국가에 돈 안내는 사람들이 목소리가 더 크다는 겁니다. "서민"이라는 단어를 외치는 순간, 그 어떠한 고통분담에 대한 논의도 하면 안 되는 이상한 분위기가 형성되어 있습니다. "당신도 소득세 좀 내야 하지 않겠습니까?"라고 말하는 순간 눈이 뒤집어지고 입에 거품이 나오면서 눈물을 질질 흘립니다. 그러면 소득세 내라고 말 꺼낸 사람이 대역죄인이 되는 이상한 분위기입니다. 대한민국에서 항상 몰매 맞는 집단이 두 집단이 있습.. 2024. 4. 9. 자본으로 자본을 불리는 것의 두 가지 한계 (feat. 시간으로 자본을 불리는 방법) 자본으로 자본을 불리는 것은 두 가지 한계가 있다. 1. 꾸준히 불어나는 방법을 선택하면 급격히 불어나지 않으며, 급격히 불어나는 방법을 선택하면 급격히 쪼그라들 수 있다. (예외 케이스: 시장이 미친 급등이나 급락하는 경우 급격히 불어나는 방법으로 급격히 불릴 아주 작은 시간창이 생김 -> 바꾸어 말하면 이 시간 창을 보는 눈이 있다 하더라도 대부분의 시간을 재미없게 지루하게 자본이 급격하게 불어나지 않는 상태로 보내야 함을 의미) 2. 자본으로 자본을 불리는 것은 내 자본이 불어나는 것 외에 딱히 세상에 가치를 만들지 못한다. 열심히 공부하고 일해서 내 돈만 불리는 거 참 허무한 일이다. 그래서 시간으로 자본을 불리는 게 두 가지 측면에서 아주 재미난데, 1. 급격히 불어나는 방법을 선택해도 꽤 괜찮.. 2024. 3. 21. 부동산과 관련된 명언 14가지 (feat. 부동산은 엔드게임 최종 자산) 1 부동산은 잃어버리거나 도난당하거나 가져갈 수 없습니다. 부동산은 세상에서 거의 가장 안전한 투자이다 - 루스벨트 2 집을 소유하는 것이 곧 부의 핵심이다. 재정적 풍요와 정서적 안정 모두를 준다. - 수즈오르만 3 모든 백만장자의 90%는 부동산 소유를 통해 부자가 된다 -앤드류 카네기 4 이 땅에서 하는 최고의 투자는 땅에 대한 투자이다 - 루이스 글릭먼 5 부동산은 불멸의 자산으로 계속 가치가 상승한다. 부동산은 안전성에 기반하여 거의 유일한 파괴할 수 없는 안전성을 가진다 - 러셀세이지 6 부동산은 만질 수 있고 단단하며 아름답다. 부동산은 예술이다 그래서 사랑한다 - 도날드 트럼프 7 부동산은 주식보다 안전하고 사기꾼들이 발행하는 채권보다 안전하다 - 유진 오닐 8 부동산을 사기 위해 기다리지.. 2023. 10. 1.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