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문화5 타인을 안아주는 방법과 의미 (feat. 허그(Hug) 문화와 감정의 분석) 요즘 스킨십 '허그문화'가 자리 잡고 있습니다. 안아주는 것은 '미움'이 아닌 '사랑'입니다. 안아주는 것은 '배척'이 아닌 '포용'입니다. 안아주는 것은 '질책'이 아닌 '격려'입니다. 안아주는 것은 '오해'가 아닌 '이해'입니다. 안아주는 것은 '욕심'이 아닌 '나눔'입니다. 상대방을 안아줄 때 무의식적으로 줄 수 있는 감정을 분석해 보겠습니다. 1. 가볍게 어깨정도만 감싸 안고 몸은 간격을 유지하는 허그. 안는 것이 어색하거나 마음의 거리가 조금 있거나 이성 간의 오해를 방지하기 위한 허그입니다. 상대방에 대한 예우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2. 완전히 깊이 안으며 힘이 들어간 허그. 아주 친밀한 관계이거나 가족 관계 또는 연인 관계 등이 하는 허그. 상대방에 대한 믿음이 바탕이 됩니다. 3. 안은채.. 2023. 12. 18. 개천절, 홍익인간의 개국 이념과 유구한 역사와 전통을 지닌 문화민족 개천절은 홍익인간의 개국 이념을 계승하고 유구한 역사와 전통을 지닌 문화민족으로서의 자긍심을 고취며 자손만대의 무궁한 번영을 기원하기 위함이다. 개천절은 기원전 2333년 즉, 단군기원 원년 음력 10월 3일에 단군이 최초의 민족국가인 단군조선을 건국했음을 기리는 뜻에서 제정되었다. 천절은 민족국가의 건국을 경축하는 국가적 경축일인 동시에, 문화민족으로서의 새로운 탄생을 경축하며 하늘에 감사하는 우리 민족 고유의 전통적 명절이라 할 수 있다. 민족의 전통적 명절을 기리는 행사는 먼 옛날부터 제천행사를 통하여 거행되었으니, 고구려의 동맹(東盟), 부여의 영고(迎鼓), 예맥의 무천(舞天) 등의 행사는 물론이요, 마니산(摩尼山)의 제천단(祭天壇), 구월산의 삼성사(三聖祠), 평양의 숭령전(崇靈殿) 등에서 각각.. 2023. 11. 25. 대한민국(大韓民國), 세계 최고 수준의 문화국가를 지향하는 나라 '대한민국(大韓民國)'이라는 나라 이름은 무슨 뜻일까? 어디서 유래가 되었을까? 더 나아가, 어떻게 "대한민국"이 국호{國號)가 될 수 있었을까? 생각보다 많은 분들이 이에 대해 모르는 경우가 많다. 이는 어떻게 보면 당연한 결과다. 우리나라 역사 교육에서도, 대한민국 국호의 유래에 대해서는 비교적 비중 있고, 깊게 다루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모든 내용은 어쩌면 우리가 필수적으로 알아야 할 내용이지 않을까 생각해 본다. '대한민국'의 유래는 고종시대에 만들어진 국가 이름으로 '대한제국'에서부터 시작된다. 그 당시, 고종은 중국으로부터 독립을 선언하고, 새로운 황제국을 만들기 위해 노력했다. 대한제국 이전 우리나라 국호는 조선(朝鮮)이었다. 조선이라는 국호에는 사대주의(事大主義)가 포함되어 있다. .. 2023. 9. 16. 한국인에게 행복의 기준이란 무엇인가.. (feat. 과도한 타인의 의식)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연구실에서 최근 진행한 문화비교 연구에서는 미국과 한국 대학생들에게 최근 즐거웠던 경험 하나를 써보고 그것이 얼마나 행복했는지 평가하도록 했다. 그 후 이 즐거운 경험에 대해 본인이 쓴 글을 다른 사람들이 읽고 어떤 반응을 했는지를 알려주었다. 한 조건에서는 참가자들이 언급한 일(여행 등)을 다른 사람들은 그다지 즐거운 일로 여기지 않는다고 말해주었다. 다른 조건에서는 남들도 마찬가지로 여행은 아주 즐거운 경험이라 생각한다고 말해주었다. 시간이 흐른 뒤, 참가자들에게 그 여행이 얼마나 즐거웠는지 다시 한번 평가하도록 했다. 예상했던 문화 차가 나타났다. 미국 참가자들은 다른 사람의 평가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남들이 뭐라 하든 여행에 대한 원래의 자기 느낌을 고수했다. “내가 즐거웠다.. 2023. 7. 9. 황홀경을 찾는 5가지 방법 (feat. 삶에서 일어날 수 있는 아름다운 순간) 황홀경이란 삶에서 일어날 수 있는 아름다운 순간이나 경험이며, 이를 찾는 것은 삶을 더욱 풍요롭고 의미 있게 만드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황홀경을 찾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현재 순간에 집중하기 현재 순간에 집중하고, 주변 환경에 대한 관심을 높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과거나 미래에 대한 걱정이나 부정적인 생각을 내려놓고, 현재의 순간을 즐기는 것이 황홀경을 찾는 첫걸음입니다. 2. 자연과 함께하기 자연과 함께하는 것은 매우 아름다운 경험이 될 수 있습니다. 산책이나 하이킹을 하거나, 나들이를 가는 등의 방법으로 자연 속에서 황홀경을 찾을 수 있습니다. 3. 문화와 예술을 즐기기 문화와 예술은 황홀경을 찾는 또 다른 방법입니다. 공연이나 전시회를 관람하거나, 새로운 음악을 듣거나, 책을 읽는 등의.. 2023. 6. 11.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