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모기7

해외에서 치료제 없는 뎅기열의 증상과 예방법 (feat. 모기 조심) 국내 주요 뎅기열 유입국인 필리핀 등에서 뎅기열 환자가 급증하고 있어 해외여행객들의 주의가 요구된다. 31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필리핀에서는 지난 4일 기준으로 누적 26만 9,947명의 환자가 발생했으며, 이 중 702명이 사망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국내 누적 뎅기열 환자는 26일 기준 총 170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16.4%가 늘었다. 이들 대부분은 뎅기열 유행 국가에서 매개 모기에게 물려 감염된 후 입국한 사례다. 연도별 뎅기열 환자 수를 보면 2019년 273명, 2020년 43명, 2021년 3명, 2022년 103명, 2023년 206명으로 코로나19를 거치며 크게 줄었다가 다시 늘어나는 추세다. 뎅기열은 뎅기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급성 발열성 질환으로, 백신이나 치료제가 상용.. 2024. 11. 3.
모기 물림을 방지할 수 있는 방법 (feat. 습한 날씨에 급증한 모기) 이번 여름철은 장마가 이르게 찾아오면서 습한 날씨가 지속돼 모기 개체 수가 지난해에 비해 2배 이상 급격히 늘어났다. 모기는 시끄러운 소리로 여름철 밤잠을 설치게 하기도 하고, 물린 후 가려움증, 부기, 통증 등을 유발하며 불편함을 유발한다. 또한 말라리아, 뎅기열, 지카바이러스 등 다양한 질환을 매개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여름을 편안하고 안전하게 나기 위해서 모기 물림을 방지할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보자. 1. 모기가 좋아하는 사람, 피부에서 나는 ‘이런 냄새’ 때문모기는 20m 밖에서도 사람의 체취를 맡을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모기가 좋아하는 대표적인 냄새는 이산화탄소와 옥탄올(Octanol) 등이다. 이산화탄소를 많이 내뿜는 데에는 △술을 마신 사람 △어린이, 임산부 등 대사량이 많은.. 2024. 8. 5.
여름철 살충 없이 모기 쫓는 4가지 방법 (feat. 모기 퇴치) 모기에게 물리면 가렵고 붓는 것은 물론, 다양한 감염성 질환을 옮길 수 있다. 살충제를 뿌리면 모기를 쫓아내거나 죽일 수 있지만, 각종 화학 성분이 들어 있어 자주 사용하기가 꺼려진다. 살충제 없이 모기를 쫓아낼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한다. 1. 모기가 싫어하는 식물 키우기향기가 나는 허브 식물을 키우면 모기를 쫓아내는 데 도움이 된다. 모기가 싫어하는 식물로는 페퍼민트, 라벤더, 바질, 레몬 유칼립투스 등이 있다. 식물을 키우기 힘들다면 허브 향을 함유한 디퓨저나 룸 스프레이를 사용하거나, 허브 오일을 귀밑이나 손목 등에 살짝 바르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2. 계피 활용하기모기는 계피 특유의 매운 향도 싫어한다. 따라서 집에서 계피차를 끓이거나, 계피 끓인 물을 에탄올과 섞어 스프레이처럼 뿌리는 것도 모.. 2024. 7. 22.
성분별 사용제한 연령이 다른 여름철 모기기피제 여름철이 되면 모기의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야외 활동 시 모기기피제를 사용하는 일이 잦아진다. 하지만 모기기피제는 성분별로 사용 가능한 연령이 다르기 때문에 올바르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주의가 필요하다. 모기기피제에 사용되는 주요 성분과 각 성분의 농도에 따른 사용 가능 연령에 대해 알아봤다. 모기기피제의 유효성분으로는 디에틸톨루아미드, 이카리딘, 에틸부틸아세틸아미노프로피오네이트, 파라멘탄-3,8-디올 등이 있다. 1. 디에틸톨루아미드(DEET), 농도에 따라 생후 6개월 이상 또는 12세 이상DEET는 노란색을 띠며 특유의 냄새를 갖는다. 곤충이 싫어하는 냄새의 증기를 발생시켜 모기와 진드기, 벼룩 같은 곤충을 쫓아낸다. 농도가 높아질수록 효과 지속 시간이 길어지지만, 피부자극과 같은 부작용이 심해진다는 .. 2024. 7. 21.
여름철에 흔히 쓰는 모기향을 안전하게 사용하는 방법 소방청 화재 통계 정보에 따르면 최근 3년간(2020~2022년) 모기향 등 향불 화재 사고는 164건으로 적지 않게 발생한다. 여름철에 흔히 쓰는 모기향을 안전하게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본다. 1. 인화성 물질 근처는 피하고 자주 환기해야모기향은 불이 나기 충분한 온도를 지녔다. 모기향 끝부분 온도는 무려 480도에 달한다. 고무 발화점이 350도, 목재 발화점이 400도인 것을 고려하면 매우 높은 온도이다. 여기에 선풍기를 틀어 바람이 더해지면 600~700도까지 올라갈 수 있다. 따라서 모기향을 사용할 때는 기름이나 가스 등 인화성 물질 근처에서 사용하면 안 된다. 모기향 받침대도 종이(박스) 등 가연성 소재를 사용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모기향은 실내와 실외에서 모두 사용할 수 있다. 그러.. 2024. 6. 23.
모기 물렸을 때 5가지 대처법 (feat. 참을 수 없는 간지러움) 여름철만 되면 우리 귓가를 맴도는 존재가 있다. 바로 모기이다. 밤에 윙윙거리면 잠을 설칠 뿐 아니라 물리기라도 하면 하루 종일 간지러움을 참을 수 없다. 모기는 인간의 피부에 침을 꽂고 피를 빨아먹는다. 그때 모기가 흘리는 타액에는 혈액 응고를 막는 단백질이 들어 있다. 그 단백질이 우리 몸에 반응하면서 '히스타민'이 나오기 시작한다. 바로 이때 모기에 물린 자리가 붓고 가렵게 된다. 모기에 물렸을 때 가장 좋은 방법은 약을 바르는 것이지만, 그 외에 또 다른 대처법에 대해 소개한다. 1. 알코올 소독모기에 물린 곳을 '알코올'로 문지르면 간지러움이 완화된다. 알코올을 물린 곳에 직접 적시거나 알코올을 묻힌 솜으로 문지르면 된다. 알코올은 모기의 침에 든 단백질의 성질을 변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2024. 6. 16.
여름철 모기에 물렸을 때 가려움증을 줄이는 효과적인 5가지 방법 모기에 물렸을 때 가려움증을 다스리는데 도움이 되는 방법들이 있다. 모기는 인간의 피부에 가느다란 침을 꽂고 피를 빨아먹는다. 그때 모기가 흘리는 타액에는 혈액 응고를 막는 단백질이 들어있다. 재빨리 효과적으로 피를 빨기 위해서다. 모기가 떠나도 단백질은 남는다. 이에 반응해 우리 몸의 면역 시스템이 작동한다. 혈관이 확장하고 히스타민이 나오기 시작한다. 모기에 물린 자리가 붓고 가려운 까닭이다. 이와 관련해 미국 건강·의료 매체 ‘프리벤션’ 등의 자료를 토대로 모기에 물렸을 때 가려운 증상을 완화하는 방법을 알아봤다. 1. 알코올 소독 전문가들은 “물린 즉시 알코올로 문지르라” 조언한다. 모기를 연구하는 전문가들은 야외에 나갈 때면 늘 알코올에 적신 솜을 챙긴다. 알코올은 모기의 침에 든 단백질의 성질.. 2023. 8. 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