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대한민국8 대한민국의 가장 큰 문제점 (feat. 세금구조 및 공공복지에 대한 과도한 부채 문제, 비용 문제) 대한민국 상위 1% 가 종합소득세 전체의 51.3%를 납부 대한민국 상위 10%가 근로소득세 전체의 73.1%를 납부 대한민국 상위 10%가 종합소득세 전체의 86.6%를 담당 반면, 대한민국 전체 근로자들 중 37%는 소득세를 한 푼도 내지 않습니다. 그런데 이상하게도 이 대한민국에서는 국가에 돈 안내는 사람들이 목소리가 더 크다는 겁니다. "서민"이라는 단어를 외치는 순간, 그 어떠한 고통분담에 대한 논의도 하면 안 되는 이상한 분위기가 형성되어 있습니다. "당신도 소득세 좀 내야 하지 않겠습니까?"라고 말하는 순간 눈이 뒤집어지고 입에 거품이 나오면서 눈물을 질질 흘립니다. 그러면 소득세 내라고 말 꺼낸 사람이 대역죄인이 되는 이상한 분위기입니다. 대한민국에서 항상 몰매 맞는 집단이 두 집단이 있습.. 2024. 4. 9. 대한민국에서 모임이란 무엇인가 (feat. 술과 모임의 관계) 1. 대한민국에서 모임이란? 동문회 : 같은 학교 졸업자들이 모여서 술 먹는 모임 산악회 : 산에 가서 술 먹거나 하산 후 술 먹는 모임 조기축구회 : 아침에 공 차고 술 먹는 모임 향우회 : 같은 고향 출신들이 모여서 술 먹는 모임 수련회 : 무슨 훈련한다고 모여서 밤새워 술 먹는 것 번개 : 갑자기 모여서 술 먹는 것 문상 : 초상집 가서 술 먹는 것 피로연 : 결혼을 마치고 지인, 친구들하고 술 먹는 것 결혼식 : 신랑 신부 술 먹여 보내고 술 먹는 것 약혼식 : 결혼하기로 하고 술 먹는 것 연수회 : 회사에서 몇 날을 괴롭히면서 술 먹여주는 것 회식 : 회사 직원들과 술 먹는 것 신년회 : 새해에 술 먹는 것 망년회 : 한 해를 마무리하면서 술 먹는 것 송년회 : 한 해를 보내며 술 먹는 것 야유.. 2024. 3. 16. 2024년 산림복지서비스이용권 신청 및 접수 공고 (feat. 온라인 및 모바일 접수 방법) 한국산림복지진흥원에서는「산림복지 진흥에 관한 법률」제24조에 따라 산림복지소외자(기초생활수급자, 장애(아동) 수당 수급자, 장애인연금 수급자, 차상위계층, 한부모가족)를 대상으로 산림복지서비스 이용을 지원하기 위하여 2024년 산림복지서비스이용권 신청접수를 아래와 같이 공고합니다. 1. 신청대상 : 산림복지소외자 - 기초생활수급자, 장애(아동) 수당 수급자, 장애인연금 수급자, 차상위계층, 한부모가족 ※ 사회복지시설에서 산림복지소외자와 함께 생활하는 활동지원인력(기관 종사자)도 예산범위 내에서 지원 가능(기관에 재직 중인 성인에 한함) 2. 발급규모 : 산림복지서비스이용권 65,000매 ※ 단, 신청자가 발급 인원보다 많은 경우 선정기준에 따라 발급 3. 지원금액 : 1인당 10만 원(바우처 금액 지급).. 2024. 1. 14. 1.10 주택공급 확대 및 건설경기 보완방안 (feat. 핵심 내용 총정리) 1. 배경 2040년까지 가구수 증가 전망, 인허가 착공 위축 중(특히 연립/다세대). 1~2인 주거 수요에 부응하는 주택공급 정상화 필요 2. 재건축 안전진단 안전진단 통과 없이 사업 착수 가능. 다만 안 하는 게 아니고, 사업시행인가 전까지 통과 필요. 대신 안전진단 기준 개선 병행(특히 노후도). 준공 30년 초과 시 추진위 구성 가능, 정비구역지정과 조합설립 추진 병행 가능(지정과 조합설립 동시처리 허용) 3. 재개발 노후도 요건 2/3에서 60%로 완화(촉진지구 지정 시 50%로 완화). 노후도 중심으로 개선. 4. 노후계획도시(1기 신도시 등) 12조 원 미래도시펀드 조성, 자금 조달 지원. 5. 규제 폐지 및 기준 완화 도시형 생활주택 세대수 제한(300세대) 폐지. 방 설치제한 규제 폐지... 2024. 1. 13. 대한민국 만 65세 이상이라면 무조건 받을 수 있는 혜택 (feat. 놓치면 후회) 1. 통신비 감면 2. 틀니비용 70% 지원 3. 임플란트 2개까지 70% 지원 4. 코로나 예방접종 무료 5. 폐렴 23가 무료 6. 독감백신 무료 7. 대상포진 예방접종 지원 8.ktx/srt/등 기차 30% 할인 9. 지하철 무료 10. 버스비, 택시비지원 (지자체별로 다를 수 있음) 11. 국내선 비행기 10% 할인 12. 국내여객선 20% 할인 13. 고궁, 농원, 국, 공립공원 무료입장 14. 국립박물관, 미술관 무료입장 15. 국, 공립국악원 50% 할인 16. 정부, 지자체운영 공연장, 입장료 50% 할인 17. 공공 및 민간분양, 특별공급 우선신청 자격 18. 공공임대주택 가산점 19. 공공실버주택 고령자 매입임대 신청자격 부여 20. 상속세공제 3천만 원까지 21. 경로우대 공제 (소득.. 2023. 12. 4. 개천절, 홍익인간의 개국 이념과 유구한 역사와 전통을 지닌 문화민족 개천절은 홍익인간의 개국 이념을 계승하고 유구한 역사와 전통을 지닌 문화민족으로서의 자긍심을 고취며 자손만대의 무궁한 번영을 기원하기 위함이다. 개천절은 기원전 2333년 즉, 단군기원 원년 음력 10월 3일에 단군이 최초의 민족국가인 단군조선을 건국했음을 기리는 뜻에서 제정되었다. 천절은 민족국가의 건국을 경축하는 국가적 경축일인 동시에, 문화민족으로서의 새로운 탄생을 경축하며 하늘에 감사하는 우리 민족 고유의 전통적 명절이라 할 수 있다. 민족의 전통적 명절을 기리는 행사는 먼 옛날부터 제천행사를 통하여 거행되었으니, 고구려의 동맹(東盟), 부여의 영고(迎鼓), 예맥의 무천(舞天) 등의 행사는 물론이요, 마니산(摩尼山)의 제천단(祭天壇), 구월산의 삼성사(三聖祠), 평양의 숭령전(崇靈殿) 등에서 각각.. 2023. 11. 25. 광복절(光復節) 지니고 있는 의미 (feat. 8월 15일, 대한독립만세) 2023년 8월 15일 광복절은 우리 민족과 우리나라가 1945년 8월 15일 일본으로부터 광복된 지 78주년을 기념하는 날이다. 광복절은 우리나라(민족)가 주권(主權)을 회복한 날이다. 우리 민족은 기미년(1919) 3월 1일을 기점으로 나라의 국권 회복과 민족의 하나 됨을 위한 기나긴 시간 동안 많은 희생과 노력으로 광복의 기쁨을 맛보게 되었다. 세계 제2차 대전이 끝나고 140여 나라가 광복의 기쁨을 누리고 있다. 우리나라는 광복과 함께 분단이 되었고, 동족상잔의 전쟁이 있었고, 진정한 광복은 후대가 이루어야 할 과제로 남게 되었다. 우리나라는 광복이 된 이후 불과 80년 남짓만에 선진국 대열에 올랐다. 하지만, 진정한 광복은 아직 아니다. 민족은 둘로, 아니 셋으로 나누어져 있고, 5천 년.. 2023. 9. 19. 대한민국(大韓民國), 세계 최고 수준의 문화국가를 지향하는 나라 '대한민국(大韓民國)'이라는 나라 이름은 무슨 뜻일까? 어디서 유래가 되었을까? 더 나아가, 어떻게 "대한민국"이 국호{國號)가 될 수 있었을까? 생각보다 많은 분들이 이에 대해 모르는 경우가 많다. 이는 어떻게 보면 당연한 결과다. 우리나라 역사 교육에서도, 대한민국 국호의 유래에 대해서는 비교적 비중 있고, 깊게 다루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모든 내용은 어쩌면 우리가 필수적으로 알아야 할 내용이지 않을까 생각해 본다. '대한민국'의 유래는 고종시대에 만들어진 국가 이름으로 '대한제국'에서부터 시작된다. 그 당시, 고종은 중국으로부터 독립을 선언하고, 새로운 황제국을 만들기 위해 노력했다. 대한제국 이전 우리나라 국호는 조선(朝鮮)이었다. 조선이라는 국호에는 사대주의(事大主義)가 포함되어 있다. .. 2023. 9. 16.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