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대인관계4 AI와의 교류가 인간의 정신 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주의할 점 인공지능(이하 AI)과의 감정적 교류는 더 이상 영화 속 이야기가 아니다. 최근 영국에서는 영국 청소년의 92.2%가 생성형 AI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중 44.4%는 생성형 AI를 실제 대화 상대로 인식하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발표되었다. 또, 미국 하버드대가 미국 청소년 건강 개선을 위한 비영리 연구단체 호프랩(Hopelab)과 함께 진행한 공동 연구에 따르면 14~22세 미 청소년들은 고민 상담 등을 위해 생성형 AI를 적극 활용하고 있다고 한다. 연구팀은 향후 “생성형 AI는 10대들이 민감한 질문을 가장 먼저 묻는 도구가 될 가능성이 크다”라고 설명했다. 국내에서도 인스타그램 AI 생성 캐릭터를 활용해 고민 상담을 하는 것이 유행이다. 말투나 성격을 지정해서 캐릭터를 만들어 친구처럼 대화하는 것.. 2025. 3. 14.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의 숨은 증상 (feat. 밤엔 활발, 낮엔 무기력) 깊은 밤이 되어서야 머리가 맑아지고 집중력이 올라가는 사람이 있다. 반대로 아침에는 침대에서 일어나기 힘들고, 낮 동안에는 피로감과 졸음이 지속된다면 단순한 생활습관의 문제가 아닐 수 있다. 이러한 패턴이 반복된다면,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를 의심해 볼 필요가 있다. 1. ADHD, 아동기만의 장애라는 오해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는 주로 아동기에 발병하지만, 60% 이상이 성인기까지 증상이 지속된다. ADHD는 집중력 부족, 과잉행동, 충동성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발달장애로, 아동기에 진단되지 못한 경우 성인이 되어서도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정신건강의학과 상담의사는 “성인 ADHD로 진단받기 위해서는 만 12세 이전부터 집중력의 저하, 산만함, 충동성 등이 충분히 관찰되었으며, 살면.. 2024. 12. 8. 행복한 대인관계를 위한 10가지 조언 1. 당신의 혀에 자물쇠를 채워라. 항상 당신이 생각하는 것보다 적게 말하라. 낮고 설득력 있는 목소리를 길러라. 때때로, 당신이 무엇을 말하는가 보다 어떻게 말하는가가 더 중요하다. 2. 약속을 쉽게 하지 말되, 한 번 한 약속은 어떤 일이 있어도 지켜라. 3. 다른 사람에게 친절한 말이나 힘을 북돋울 수 있는 말을 건넬 수 있는 기회를 절대 지나치지 말라. 대상이 누구이더라도 잘한 일에 대해 칭찬하라. 만약 비판이 필요하다면 도움이 되는 방식을 선택해야지, 절대 꾸짖는 방식이어서는 안 된다. 4. 다른 사람들에게 흥미를 가져라. 그들이 추구하는 목표, 그들의 일, 가정과 가족들에게 흥미를 가져라. 기뻐하는 사람과 흥겹게 어울려라. 슬퍼하는 사람과도 어울려라. 5. 항상 명랑하고 쾌활하라. 당신의 작은.. 2024. 2. 3. 자식에게 전해주고 싶은 7가지 이야기 1. 건강 이야기 1) 보약보다 효과가 있는 것은 운동이다. 하루 1시간 땀나게 운동해라. 2) 보약보다 효과가 있는 것은 음식 잘 먹는 것이다. 편식은 고쳐라. 3) 보약보다 효과가 있는 것은 나쁜 버릇 고치 기다. 생활 습관은 평생 간다. 2. 정신 이야기 1) 매사에 세 번 생각하고 세 번 인내하면 실수가 없다. 많은 실수와 사고를 막는 비법이다 2) 내가 남보다 잘 낫다는 망상은 버려라. 절대 잘난 게 아니다. 3) 남의 잘못을 따지기 전에 내 잘못을 돌아보자. 먼저 반성해야 한다. 3. 대인관계 이야기 1) 상대를 대접하라. 그래야 내가 대접받을 수 있다. 상대의 인격을 존중하라는 말이다. 2) 상대를 무시하면 또 하나의 적이 생긴 것과 같다. 상대에게 주는 모멸감 상대방은 절대 잊지 않는다. .. 2023. 5. 23.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