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관리/의학상식

미주신경성 실신의 전조증상 (feat. 전체 실신 환자의 40% 이상을 차지)

by 트렌디한 건강 상식 2024. 11. 8.
반응형

미주신경성 실신의 전조증상 (feat. 전체 실신 환자의 40% 이상을 차지)
미주신경성 실신의 전조증상 (feat. 전체 실신 환자의 40% 이상을 차지)

 
미주신경성 실신은 일시적인 자율신경계의 불균형에 의해 뇌로 가는 혈류량이 감소하고 이로 인해 의식을 잃는 증상을 말한다. 전체 실신 환자의 4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10~20대의 젊은 연령대에서도 흔하게 나타난다.
 
질병이라기보다는 증상에 가깝고 생명이 위험해지는 것은 아니지만 의식을 잃고 쓰러지는 과정에서 신체 충격이 발생해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실신으로 쓰러지는 사람 중 20%는 외상을 입는 것으로 알려졌는데, 머리 등에 충격이 가해지면 뇌진탕 등 심각한 상황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미주신경성 실신의 원인과 전조증상, 대처법 등에 대해 살펴본다.
 

1. 뇌 혈류 감소하며 발생... 자극 요인 다양해

미주신경은 맥박을 낮추고 음식을 잘 소화할 수 있도록 위장관 운동을 증진시키는 중요한 뇌신경이다. 이 미주신경이 어떤 특정 이유로 인해 과도하게 반응하면서 혈압이 급격히 떨어지고 이로 인해 뇌 혈류량이 감소하면서 의식을 잃게 된다.
 
자극 요인은 사람에 따라 다르지만 극심한 신체적 스트레스나 감정적 긴장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본다. 장시간 서 있거나 실내 공기가 탁하고 더운 경우, 사람이 많은 식당이나 지하철 안에 있는 경우, 끔찍한 광경을 목격한 순간, 대소변을 과도하게 참거나 피를 보는 것 등 다양한 요인이 원인으로 작용한다.
 

2. 쓰러지기 전, 속 메스껍고 식은땀 나기도

실신 전에는 몇 가지 전조증상이 나타난다. 보통 가슴이 답답해지고 속이 메스꺼우며, 몸에 힘이 빠지고 식은땀이 나기 시작한다. 두통, 구토를 비롯해 안색이 창백하거나 잿빛으로 변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증상이 이어지다가 눈앞이 아득해지며 쓰러지게 된다. 대부분 특별한 조치 없이 수십 초 내에 의식을 저절로 회복할 수 있으며 정상 활동도 가능하지만 힘이 빠지고 녹초 상태인 경우가 많다.
 

반응형

3. 전조증상 나타난다면... 주저앉거나 누우면 도움 돼

미주신경성 실신은 대부분 저절로 회복되므로 특별한 치료가 필요하지 않지만 정확한 원인을 밝히고 치료하기 위해 병원을 방문해 검사를 해보는 것이 좋다. 특히 실신이 반복적으로 일어나거나 이전과 양상이 다르게 점차 심해지는 경우, 노인에게서 나타난 경우, 가슴 통증이나 마비를 동반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의료진과의 상담이 필요하다.
 
쓰러지면서 주위 환경에 의해 부상을 당할 수 있으므로 대처법도 미리 알아두면 도움이 된다. 신경과 상담의사는 "실신 증상이 나타날 것 같다면 우선 주저앉아 몸을 웅크리거나 다리를 올린 채 눕는 자세를 취해야 한다. 뇌로 가는 혈류량을 증가시키고 2차적인 외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자세이기 때문이다"라고 설명했다.
 
또한 "예방을 위해서는 꽉 끼는 옷을 피하고 평소에 금주, 규칙적인 식사, 충분한 수면, 스트레스 해소, 감정적 안정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라고 전했다.


 

 

눈썹하거상술, 후기 사진만 보고 했다간 부작용 발생

중장년층에서 흔히 고민하는 외모 문제 중 하나는 ‘처진 눈꺼풀’이다. 노화로 인해 눈꺼풀 피부가 아래로 처지면서 눈동자의 윗부분을 덮어 시야를 가리거나, 전체적으로 졸려 보이고 답답한

mkpark02.tistory.com

 

 

멈추지 않는 기침, 125만 명 목숨 앗아간 결핵

일교차가 커지면서 기침하는 이들이 늘고 있다. 면역력이 떨어져 감기에 걸린 것이 원인인 경우가 많지만, 2~3주 이상 기침이 지속된다면 결핵을 의심해 봐야 한다. 결핵은 주로 개발 도상국에서

mkpark02.tistory.com

 

 

뇌 건강에 좋은 4가지 음식 (feat. 자꾸 깜빡깜빡, 건망증일까?)

나이가 들면 겉모습이 달라지듯 두뇌도 변화를 겪는다. 뇌세포 수가 줄고 신경세포 간의 연결망이 감소하면서 최근의 일을 자주 잊어먹는 등 건망증이 발생하게 되는 것. 건망증은 심각한 질환

mkpark02.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