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파리증'이라 불리는 비문증은 눈에 검은 점이나 아지랑이, 날파리 같은 이물질이 시야를 따라다니는 증상을 말한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40대 이상 성인 10명 중 7명이 경험하며 환자는 꾸준히 증가 추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은 노화에 따라 자연스럽게 나타나는 생리적 비문증이지만, 실명까지 유발할 수 있는 안질환의 전조증상인 경우도 있다. 따라서 눈앞에 이물질이 떠다닌다면 단순한 비문증으로 여겨 방치하지 말고 병원에서 정확한 검진을 받아보는 것이 중요하다.
1. 비문증, 노화로 인해 유리체 변성되며 발생
유리체는 눈 속을 채우는 무색투명한 겔 같은 물질로, 투명도가 유지되어야 선명한 시력을 확보할 수 있다. 유리체는 눈 안쪽 벽에 붙어 있는 얇은 신경막인 망막과 붙어 있는데, 노화 등 여러 가지 이유로 유리체가 망막에서 떨어져 나오면 망막에 그림자가 드리워지면서 이물질이 떠다니는 것처럼 느끼게 된다.
노화로 인한 비문증은 시야가 가려지고 불편감을 유발하지만 눈 건강에 문제를 일으키지는 않는다. 60~70대가 되면 대부분 사람에게 발생하며, 근시가 심하거나 백내장 수술과 같이 눈 수술을 한 경우, 눈 속 염증과 같은 질환을 앓았을 경우에는 20~30대에도 나타날 수 있다.
2. 부유물 떠다니고 광시증까지... 주요 증상은?
비문증의 대표적인 증상은 눈앞에 까만 점이나 실, 거미줄과 같은 모양이 떠다니는 것이다. 흰 벽이나 하얀 종이, 맑은 하늘을 볼 때 증상이 더 심해지며, 시선 방향을 바꿀 때도 이물질이 따라다닌다. 부유물질은 여러 개일 수도 있고 형태도 각각 다르다. 부유물이 한번 생기면 계속해서 늘어나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위치와 모양이 바뀌면서 증상이 호전되는 경우도 있다. 눈을 감았을 때도 이물질이 보일 수 있고 번쩍거리는 광시증을 동반하기도 한다.
3. 망막박리 등 병적 비문증, 실명으로 이어질 수도
비문증은 망막에 구멍이 생기는 망막열공, 망막 층이 찢어지는 망막박리, 고도 근시 등에 의해 발생할 수도 있다. 망막열공은 망막이 찢어져 구멍이 생기는 현상으로, 방치하면 구멍으로 유리체가 흘러들어가 실명까지 진행되기도 한다. 고도 근시가 있을 경우 망막이 얇아 망막열공 발생 위험이 상대적으로 높다.
또한 찢어진 망막을 통해 유리체가 유입되면 망막이 떨어져 나오는 열공망막박리가 생길 수 있는데, 망막이 박리되면 검은 커튼이 쳐진 것처럼 시야의 일부가 보이지 않게 된다. 이러한 증상이 나타났다면 질환이 꽤 진행된 상태로 실명의 위험이 있으므로 빠른 의료 조치가 필요하다.
이외에 포도막염과 같은 염증성 질환으로 인해 비문증이 발생할 수도 있는데, 이때는 눈의 통증이나 충혈, 두통의 증상이 동반된다. 당뇨망막병증, 망막혈관폐쇄, 망막혈관염 등에서 유리체 출혈이 발생해 나타나는 비문증은 주로 당뇨 환자나 고혈압 환자에게 발생하기 쉽다.
4. 안저검사로 망막·유리체 확인..."정확한 원인에 따라 치료"
비문증 증상이 나타나면 당뇨나 고혈압 등 과거 병력이나 외상 여부 등 문진을 비롯해 안저검사, 세극등현미경검사 등을 시행한다. 안저검사는 망막과 유리체의 상태 확인을 위해 검사 전 산동제 점안약을 넣은 후 빛을 비추어 검사하는 방법이다. 세극등현미경검사는 안구를 확대해 눈의 염증 및 망막 이상 여부 등을 판단하는 기본 검사다.
노화로 인한 생리적 비문증은 시력에 지장을 주지 않고 대부분 적응할 수 있기 때문에 망막에 별다른 이상이 없다면 과도하게 신경 쓰지 않고 적응할 것을 권한다. 안과 상담의사는 "생리적 비문증은 안구를 채우고 있는 유리체 조직의 그림자가 느껴지는 것으로 나이가 들면 비문증의 정도와 위치는 달라질 수 있지만 정상적인 현상이므로 치료할 필요가 없다"라고 전했다.
이어 "병적 비문증은 망막 열공, 출혈, 염증 등 망막의 이상에 의한 증상으로 즉시 치료가 필요하며, 원인에 맞는 망막 레이저치료나 약물치료 등을 받아야 한다. 보통 증상만으로는 병적 비문증인지 생리적 비문증인지 감별이 어려우므로 가까운 안과에 내원해 안저검사를 통해 감별 진단은 받아볼 것을 권한다"라고 강조했다.
미주신경성 실신의 전조증상 (feat. 전체 실신 환자의 40% 이상을 차지)
미주신경성 실신은 일시적인 자율신경계의 불균형에 의해 뇌로 가는 혈류량이 감소하고 이로 인해 의식을 잃는 증상을 말한다. 전체 실신 환자의 4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10~20대의 젊은 연령
mkpark02.tistory.com
UDCA, 코로나 예방 효과 재확인 (feat. 간 기능 개선에 대표)
지난달 우리나라를 찾은 외국인 관광객 수가 처음으로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관광공사에 따르면 9월 방한객 수는 146만여 명으로, 작년 대비 33.4% 늘어났다. 관광 분
mkpark02.tistory.com
당뇨 환자에게 가장 좋은 시간대 (feat. 식사 시간만 조절해도 혈당 관리 가능)
당뇨병 환자에게 식단 관리는 평생의 숙제와도 같다. 그런데, ‘무엇을 먹느냐’뿐만 아니라 ‘언제 먹느냐’도 혈당 관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 연구 결과(Co
mkpark02.tistory.com
'건강관리 > 의학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춘기 전 확인해야 할 성장 신호 (feat. 우리 아이, 성장 장애?) (4) | 2024.11.09 |
---|---|
당뇨 관리에서 가장 필요한 4가지 궁금증 (feat. “술 마셔도 될까? 운동은 어떻게?”) (5) | 2024.11.08 |
미주신경성 실신의 전조증상 (feat. 전체 실신 환자의 40% 이상을 차지) (4) | 2024.11.08 |
UDCA, 코로나 예방 효과 재확인 (feat. 간 기능 개선에 대표) (8) | 2024.11.07 |
자폐 스펙트럼 장애, ADHD 및 우울증 동반하면 자해 위험 상승 (6) | 2024.11.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