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화로 인해 감소하는 뇌척수액 배출 기능을 피부 자극만으로 회복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KAIST 고규영 교수 연구팀은 생쥐를 대상으로 뇌척수액의 배출 경로를 시각화하고, 목과 얼굴 부위의 림프관을 비침습적으로 자극한 결과 배출량이 최대 3배까지 증가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특히 이 경로는 사람에게도 존재할 가능성이 높아, 치매 등 뇌 질환 예방과 치료의 새로운 접근법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연구팀은 형광 추적자를 이용해 생쥐의 뇌척수액(CSF)이 어떤 경로로 배출되는지 면밀히 추적했다. 그 결과, 뇌 바닥의 수막 림프관에서 시작된 뇌척수액은 눈 주변, 비강, 경구개 림프관을 거쳐 목의 표재성 경부 림프관(superficial cervical lymphatics, scLVs)을 통해 턱밑샘 림프절로 이동한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전체 뇌척수액의 약 절반이 이 경로를 따라 배출되었다.
그러나 나이가 든 생쥐에서는 비강 및 경구개 림프관의 수와 기능이 현저히 감소했고, 이로 인해 뇌척수액 배출량도 30% 이상 줄어들었다. 특히 림프관 내 산화질소(NO) 신호전달에 관여하는 eNOS 단백질의 감소와 기능 이상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었다.
연구팀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저강도 기계 장치를 개발해 피부를 통해 표재성 경부 림프관을 자극했다. 그 결과, 생쥐의 뇌척수액 배출량이 2~3배 증가했고, 고령 생쥐에서도 젊은 개체 수준으로 기능이 회복되었다. 이 자극은 림프관을 직접 수축시키기보다는 외부 압력으로 유동을 촉진시키는 방식이었으며, 림프관의 자연 수축 리듬에는 영향을 주지 않아 안전성도 높았다.
연구팀은 “노화로 인해 감소하는 뇌척수액 배출 기능을 간단한 피부 자극으로 회복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했다”라며, “치매와 관련된 다양한 질환에 적용할 수 있는 치료법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Increased CSF drainage by non-invasive manipulation of cervical lymphatics’, 비침습적 경부 림프 자극을 통한 뇌척수액 배출 증가)는 2025년 6월 4일, 국제학술지 ‘네이처(Nature)’지에 게재되었다.
천둥번개가 유발하는 뇌우 천식 (feat. 여름철, 주의해야 할 천식 악화 요인)
천둥번개는 모두에게 위험하지만, 특히 천식 환자에게는 더 큰 위협이 될 수 있다. 폭풍이 몰아치는 동안 공기 중의 알레르기 유발 물질(알레르겐)이 급증하면서, 건강한 사람에게도 천식 증상
mkpark02.tistory.com
탈모에 로즈마리 정말 효과있을까? (feat. 로즈마리 오일)
한때 중년 남성만의 고민으로 여겨졌던 탈모가 이제 세대와 성별을 가리지 않는 범국민적 문제로 번지고 있다. 2024년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탈모로 병원을 찾는 환자는 2
mkpark02.tistory.com
비만 관리 원칙 5가지 (feat. 당뇨와 치매 부르는 노년기 비만)
고령화가 가속화되면서 노년층 비만 문제가 새로운 보건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대한비만학회가 발간한 ‘비만병 팩트시트 2024’에 따르면, 65세 이상 노인의 체지방률 기준 비만 유병률은 52.8%
mkpark02.tistory.com
'건강관리 > 의학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탈모의 원인, 치료 그리고 예방법 (feat. 잘못된 상식) (4) | 2025.06.29 |
---|---|
난시의 원인과 종류별 증상, 교정 방법 (feat. 젊은 나이에 백내장) (3) | 2025.06.28 |
출산하는 고통에 맞먹는 요로결석의 치료법 (5) | 2025.06.27 |
무심코 넘기면 위험한 갑상선 이상 초기 증상들 (1) | 2025.06.27 |
자궁내막증의 치료 방법과 장단점, 그리고 재발을 막기 위한 관리 전략 (3) | 2025.06.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