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관리/음식

된장의 효능과 함께 먹으면 좋은 3가지 식품 (feat. 전통 발효식품)

by MINK0903 2024. 6. 8.
반응형

된장의 효능과 함께 먹으면 좋은 3가지 식품 (feat. 전통 발효식품)
된장의 효능과 함께 먹으면 좋은 3가지 식품 (feat. 전통 발효식품)

 

된장은 한국의 전통 발효식품으로 한국인의 식탁에서는 빠질 수 없는 식품이다. 국, 찌개, 양념장 등으로 많은 곳에 활용되며, 건강에 유익한 점도 많다. 된장의 효능과 된장을 함께 먹으면 좋은 식품에 대해서도 알아보자.

 

1. 된장의 효능

1) 장 건강 개선

된장은 장 건강에 도움이 된다. 된장은 발효과정을 거치면서 유산균을 풍부하게 함유하게 된다. 이러한 유산균은 장 내 유익한 세균의 증식을 도와주어 소화가 잘되도록 하고 장 내 환경을 개선하여 변비를 개선하는 데 도움을 준다.

 

2) 다양한 영양소 공급

된장은 단백질, 아미노산, 철분, 비타민 등 다양한 영양소를 함유하고 있다. 한국 식품과학회에 따르면, 콩을 원료로 만드는 된장은 콩보다 단백질 함량은 적지만 그냥 콩으로 먹을 때보다 30%가량 단백질 흡수율이 높아진다. 그 이유는 미생물에 의해 단백질이 아미노산으로 분해되어 소화 흡수에 더욱 유리해지기 때문이다. 특히, 아미노산은 우리 몸의 조직을 구성하고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된장을 섭취하면 우리 몸에 필요한 영양소를 보충할 수 있다.

 

3) 혈압 조절

된장에 들어있는 펩타이드 중에는 혈압을 조절하는 데 도움을 주는 것도 있다. 이 펩타이드는 혈압 상승을 억제하고 혈관을 확장하는 효과가 있어 심혈관 질환 예방과 건강한 혈압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준다.

 

반응형

2. 된장과 함께 먹으면 좋은 3가지 식품

1) 곡물류

곡물은 된장에 부족한 영양소를 공급하기에 좋은 조합이다. 그 예로, 찰현미나 보리 등의 곡물은 식이섬유소와 미네랄이 풍부하며, 된장과 함께 섭취하면 곡물에 부족한 소화 흡수율이 좋은 단백질을 보충할 수 있다. 또, 곡물은 주요 에너지원인 탄수화물의 공급원으로 우리 몸에 에너지를 안정적으로 공급하고, 식사 후 포만감을 길게 유지하도록 돕는다. 그러므로 보리 비빔밥이나 쌈밥에 된장을 이용한 양념장을 이용하면 좋다.

 

2) 해산물

해산물은 된장과 매우 조합이 좋은 식품이다. 해산물은 오메가-3 지방산과 다양한 미네랄을 함유하고 있어 심혈관 건강에 유익하다. 된장 또한 심혈관 건강에 도움이 되는 식품으로 그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된장찌개에 해산물을 넣거나, 해물볶음 요리에 된장을 활용하면 단백질과 미네랄 등 영양소를 골고루 섭취할 수 있다. 된장국이나 된장찌개에 새우, 오징어, 조개류 등의 해산물을 넣으면 좋고, 해물탕에 된장을 넣어도 좋다.

 

3) 채소류

채소도 된장에 부족한 영양소를 상호 보완할 수 있는 좋은 식품이다. 다양한 채소를 이용하여 된장국이나 된장찌개를 만들면 비타민, 식이섬유, 미네랄 등의 영양소를 풍부하게 섭취할 수 있다. 특히, 녹색 채소는 비타민 C와 카로티노이드를 함유하여 면역력을 강화하고 노화를 방지하는 데 도움을 주는데, 된장의 항암, 항산화, 항노화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채소를 이용한 쌈밥에 된장 양념을 추가하거나, 된장국이나 찌개에 시금치, 근대 등 녹색 채소를 넣으면 잘 어울린다.


 

 

두드러기를 유발하는 음식과 치료에 도움이 되는 식품

두드러기는 피부나 점막의 혈관 투과성이 증가하면서 일시적으로 혈액의 혈장 성분이 바깥으로 빠져나와 피부가 붉거나 흰색으로 부풀어 오르고 심한 가려움증이 동반되는 피부 질환이다. 두

mkpark02.tistory.com

 

 

혈당 조절에 도움되는 3가지 과일 (feat. 형당 조절의 중요성과 GI 지수)

혈당 조절은 이제 당뇨병 환자뿐만 아니라 다이어트를 하는 사람에게 중요한 일이 되었다. 혈당 조절을 위해서는 올바른 식품 선택이나 식단 구성이 필요하다. 이때 도움 되는 개념이 있는데,

mkpark02.tistory.com

 

 

각종 만성질환 예방하는 식용곤충 (feat. 영양소가 풍부한 미래식량)

식용곤충은 영양소가 풍부한 미래식량으로서 각광받고 있다. 전문가들은 2050년이 되면 지구촌 전체가 식량 위기에 봉착할 것이라고 예상하며 식량난과 영양소 부족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mkpark02.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