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10가지38

삶의 명언 추천 10가지 (feat. 멈추면, 비로소 보이는 것들) 1. 누구를 욕했는데 그 사실을 모르는 그 사람이 나에게 따뜻한 말을 전한다. 엄청 미안하다. 복수는 이렇게 하는 것이다. 사랑으로. 2. 논쟁은 무슨 일이 있어도 피하세요. 결론이 나오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상처투성이로 끝나게 돼요. 또 누구를 설득하려고 하지 마세요. 왜 좋은지 설명은 할 수 있어도 말 안에 강요가 들어가면 설득당하지 않습니다. 3. 결혼은 사랑하는 이유 말고 다른 이유가 있어서 결혼을 하게 되면 그 다른 이유 때문에 나중에 갈라선다. 장담한다! 4. 누가 내 욕을 하면 가장 현명한 처리방법은 나를 팍 낮추는 거예요. 내가 30초만 존심 버리고 낮추어서 "아이고 죄송합니다" 하면 그다음은 없어요. 그런데 왜 그러냐고 따지면 꼬리에 꼬리를 물고 싸우면서 마음 고생합니다. 5. 나의 일에 .. 2024. 3. 5.
호두기름의 10가지 효능 (feat. 혈관과 두뇌 건강에 특화) 1. 혈관건강 호두에 함유된 불포화지방산은 혈관 내 나쁜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의 수치를 낮춰 혈액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고혈압, 동맥경화 등의 혈관 관련 질환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호두에는 양질의 지방이 60~70%를 차지하고 있으며 리놀렌산과 비타민E가 풍부하여 혈관 내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춰주고 혈전 생성을 막아 동맥경화 예방에 도움을 줍니다. 2. 항암효능 호두에 함유된 엘라직산 성분은 암의 발생과 전이를 억제하는 효능이 있으며, 호두의 페놀 화합물과 항산화 성분은 암세포의 발달 속도를 늦춰주는 효능이 있습니다. 호두는 종양 성장을 막는다고 알려진 오메가 3 불포화지방산이 풍부하며 호두의 산화방지제, 피토스테로 성분은 종양의 성장을 억제하는 효능이 있습니다. 3. 뇌건강 호두에 함유된 칼슘.. 2024. 3. 4.
브로콜리의 숨겨진 엄청난 효능 10가지와 섭취 시 주의사항 1. 여성에게 좋다 브로콜리에는 철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빈혈 증상일 곧잘 겪는 여성분들에게 매우 좋습니다. 또한 엽산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는데, 이 성분은 임산부에게 꼭 필요한 성분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그 밖에도 브로콜리는 피로해소 뇌기능 향상 당뇨 등에도 효능이 있습니다. 2. 장에도 좋다 브로콜리에는 식이섬유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변비를 예방·개선하는데 좋습니다. 또한 브로콜리를 꾸준히 섭취하면 중금속과 각종 발암물질을 흡착 배출해 주면서 장을 깨끗하게 해 줍니다. (다이어트에도 도움이 됩니다.) 3. 혈관 건강 개선 브로콜리에 함유된 수용성 섬유질과 클로로필이라는 성분이 혈관 내의 유해한 콜레스테롤을 효과적으로 배출해 줄 뿐만 아니라 풍부한 칼륨이 고혈압의 원인이 되는 나트륨을 배.. 2024. 3. 3.
잘못된 건강속설 10가지 (feat. 잘못 알고 있는 건강에 대한 상식) 사람들의 최고 관심사는 '건강'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 때문인지 예로부터 건강에 관한 여러 속설들이 전해져 내려온다. 조상들은 지혜로웠지만, 그들이 믿었던 속설 중에는 틀린 것도 생각보다 훨씬 많다. 그동안 철석같이 믿고 있었던 건강 속설들의 진실을 파헤쳐 본다. 1. 바닥에 떨어진 음식도 5초 안에 주워 먹으면 괜찮다? 흔히 말하는 '5초의 규칙'은 사실이 아니다. 박테리아는 1천 분의 1초 이내에 음식을 오염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촉촉한 음식은 마른 음식보다 훨씬 더 쉽게 박테리아에 오염된다. 떨어뜨린 음식을 먹을 수 있는지 여부는 음식을 줍기까지 시간에 달린 게 아니라 떨어뜨린 곳의 표면이 깨끗한지 여부에 달려있다. 2. 몸을 따뜻하게 하면 감기를 치료할 수 있다? 바이러스​ 형태로 .. 2024. 2. 24.
의성(義星) 허준 선생의 무병장수 하는 10가지 건강 비결 (feat. 장수십결'(張壽十決) 1. 호흡법(呼吸法) 공기는 바로 기(氣)이다. 즉 우리가 마시는 공기는 신경을 타고 내려가 모든 장기의 순환 및 정화 작용을 하는 기(氣)가 된다. 그러므로 맑은 공기는 맑은 氣가 되어 우리의 몸을 깨끗이 하고, 더러운 공기는 우리 몸에 여려가지 신경 장애를 일으키는 요인이 된다. 2. 다도(茶道) 우리가 마시는 물은 우선 피가 된다. 그 후에 신장과 간장이 더러운 피를 닦는다. 좀 자세히 비교 설명하자면, 우리가 먹는 음식은 소. 대장에서 좋은 영양만 피로 들어가지만, 물은 그대로 피가 된다. 따라서 맑은 물은 곧 맑은 피가 되며, 더러운 물은 더러운 피가 된다. 모든 병은 피가 더러워서 생긴다. 氣(기)와 血(혈)은 맑은 공기와 맑은 물로부터 시작됨을 알아야 한다. 3... 2024. 1. 31.
세탁소에서 알려주지 않는 세탁꿀팁 총정리 (feat. 세탁소 가지 마세요.. 집에서 가능해요) 1. 셔츠 깃의 찌든 때 셔츠를 자주 입지 않았는데도 얼마 지나고 보면 옷깃에 누렇게 물든 걸 많이 보셨을 텐데요. 찌든 셔츠에 샴푸를 바른 후 손세탁이나 세탁기에 넣어서 세탁을 하면 됩니다. 비비지 않아도 찌든 때가 사라져서 편하게 세탁할 수 있습니다. 2. 색이 바랜 검은색 옷 색깔이 바랜 검은색의 면 종류 옷이면 빨래를 할 때 맥주 한 컵을 넣어서 헹구면 됩니다. 그중에서 모 성분의 옷은 시금치 삶은 물에 세탁을 하면 검은색이 선명하게 나타나 새 옷처럼 입을 수 있습니다. 3. 아기 기저귀 깨끗하게 세탁하는 법 마지막에 식초를 한 컵 한 컵 넣어주세요. 갓난아이의 기저귀를 세탁할 때 잘 헹궈도 세제가루나 암모니아 성분이 그대로 남아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기저귀를 마지막으로 헹구는 단계에서 식초 한 .. 2024. 1. 11.
마늘을 꼭 먹어야 하는 10가지 이유 (feat. 기력회복과 면역증가) 1. 마늘과 위장병 마늘 알리신은 위와 장의 점막을 자극, 소화효소의 분비를 촉진하므로 위 점막의 저항력과 소화능력을 제고 시 키고 대장의 정장작용을 합니다. 2. 마늘과 감기 감기는 바이러스에 의하여 발생하는 데 평소 대기 중에 부유하던 바이러스가 겨울의 춥고 건조한 공기 때문에 코 점막의 저항력이 약화됐을 때 바이러스의 침입이 용이하기 때문입니다. 마늘은 체력강화와 피로해소기능을 하므로 매일 마늘 2-3쪽 분량을 상복하면 감기는 예방할 수 있습니다. 3. 마늘과 변비/설사 쾌변, 쾌식, 쾌면의 3쾌는 건강의 바로미터입니다. 마늘을 상식하면 알리신이 대장을 자극하여 대장의 연동운동이 촉진되기 때문에 배변이 규칙화됩니다.. 또 마늘의 성분 이 대장 활동의 정상화와 몸을 덥게 하는 상승작용을 하므로 설사를.. 2023. 12. 30.
자신의 마음을 다스리는 10가지 지혜 (feat. 건강해야 행복하다.) 1. 운을 자신의 것으로 하는 사고방식 스스로 운이 좋다고 생각하면 그 사람은 운이 좋아진다. 반면에 운이 나쁘다고 생각하면 그렇게 된다. 운을 바라보는 시각에는 두 가지가 있다. 즉, 스스로 운이 좋다고 생각하는 것, 나쁘다고 생각하는 것, 중요한 것은 운이 나쁠 때도 좋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그런 자신감이 진짜로 운을 자신의 것으로 이끌 수 있다. 성공하는 사람의 공통된 사고방식은 바로 이런 긍정적 사고이다. 2. 운을 부르는 생활 태도. 자신의 운을 좋게 하고 싶다면 운이 좋은 사람과 사귀도록 하라. 또 이기주의를 없애고, 긍정적 사고가 되도록 노력하고, 남을 긍정적으로 바라보고, 보다 거시적인 방향을 지향하여, 자주 반성을 하며 모든 일에 감사하라. 그리고 열심히 배우고 일하라. 이것이 운을 부르.. 2023. 12. 25.
신데렐라에게 배우는 인간관계 법칙 10가지 (feat. 스무 살이 넘어 다시 읽는 동화) 1. 자신이 아무리 어려운 환경에 처해 있더라도 스스로를 하찮게 여기지 마라. 2. 불행에 익숙해지지 마라. 불행을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이기 시작하면 좀처럼 헤어 나오기 힘들다. 3. 기회가 왔을 때 도망가지 마라. 행운은 스스로 누릴 자격이 있는 사람에게만 뒤따른다. 4. 혼자서 파티에 가는 것을 두려워하지 마라. 혼자서 나서길 두려워하면 스스로 해낼 수 있는 일은 아무것도 없다. 5. 스타일은 당신을 대변한다. 자신을 꾸미는 과정을 절대 과소평가하지 마라. 6. 과거에 모욕당한 일을 복수하기 위해 이를 갈기보다는 현재 당신에게 주어진 상황 안에서 행복을 찾는 데 집중하라. 7. 자신에 대한 불안감과 불만 때문에 공연히 다른 사람을 비난하지 마라. 자격지심은 호의를 가지고 다가오는 사람들까지 가로막는다.. 2023. 12. 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