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한계2

LeCun 교수님 지적한 LLM의 한계에 대한 의견 LeCun 교수님이 LLM의 한계를 지적한 데 대해 의견이 분분하다. AI의 미래에 대한 정답은? 아무도 아는 사람이 없다. 서로 모르는 것을 필요 이상으로 주장하지 말고 그냥 하던 대로 연구하면 된다. LLM이 AI의 미래라는 의견도, LLM은 미래가 없다는 의견도 자신의 지식과 경험에 기반한 믿음에 불과하다. 과학기술의 발전이 그러했듯이 과거의 유산을 계승 발전시켜 좀 더 똑똑하고 경제적인 AI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면 된다. LLM에 대한 지나친 추종자나 비판자가 되는 것은 하이브-민희진 사건에 과몰입하는 것만큼 무가치하다. Transformer는 현존 최강의 building block이며 경험 많은 전문가들만 인지할 수 있는 비밀 ingredient들이 많이 들어가 있다. 아주 잘 만들어진 buil.. 2024. 8. 1.
어릴 적 자주 듣던 말 (feat. 쓸데없는 짓 좀 하지 말고 차분히 공부 좀 하라) 쓸데없는 일이라고? 어릴 적 자주 듣던 말 중 하나가 ‘쓸데없는 짓’ 좀 하지 말고 차분히 공부 좀 하라는 말이었다. 태생적으로 시시껄렁한 얘기를 하며 노는 걸 좋아했는데 어른들은 그걸 싫어했다. 왜 남자가 체신 없이 그러냐는 것이다. 난 그걸 이해할 수 없었다. 그렇다면 공부는 쓸데 있는 일이고, 나머지 것들은 다 쓸데없는 일일까? 사실 둘을 구분하는 건 쉽지 않다. 때로는 쓸데없는 일이 쓸데 있는 일보다 쓸데 있는 경우도 많다. 사업상 얘기를 할 때도 그렇다. 어떻게 처음부터 쓸데 있는 말만 할 수 있겠는가? 잡담 등으로 시작해 본론으로 들어가는 게 맞지 않을까? 조이오브워크 란 책에 내 생각과 비슷한 부분이 있어 인용한다. 혼자만의 공간에서 일하는 것은 집중력에는 좋지만 한계가 있다. 사회적 동물인.. 2024. 1. 2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