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질병18 아침에 나타나는 증상으로 알아보는 신체 건강 상태 하루가 시작되는 아침에 몸이 보내는 S.O.S 신호가 가장 뚜렷하게 나타난다고 한다. 과연 어떤 증상과 어떤 질병이 연관이 있을지 알아보자. 1. 잠자리에서 일어나기가 힘들다. 아침에 유난히 잠자리를 떨치고 일어나기가 힘들다고 말하는 사람들이 있다. 단순히 아침잠이 많아서라고 가볍게 치부할 수 없다면 만성피로를 의심해 볼 것. 평소에 풀지 못한 피로가 누적되어 면역기능에 이상을 일으키고 이 때문에 몸이 천근만근 무겁게 느껴지는 경우가 많다. 누적된 피로 때문에 몸의 면역기능이 떨어지면 각종 균이 침입하기 좋은 상태가 되므로 쌓인 피로는 가능한 한 빨리 수면과 휴식, 적절한 영양공급 및 규칙적인 운동으로 풀어주는 습관을 기르도록 하자. 2. 뒷목이 뻣뻣하게 당긴다. 잘 자고 일어났음에도 아침에 뒷목이 뻣뻣.. 2024. 4. 4. 통풍에 좋은 음식 8가지 (feat. 바람만 불어도 아프다는 질병) 통풍이란 바람만 불어도 아프다는 뜻에서 이름이 붙여진 질병으로 몸속에 요산이 쌓여 발병되게 됩니다. 통풍은 그 이름값을 하는 질병으로 한 번 발병하게 되면 큰 고통을 주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통풍 진단을 받거나 몸속 요산 수치에 이상이 생겼을 때는 즉각 즉각 관리를 해 주셔야 합니다. 통풍을 관리하는 데는 여러 방법이 있는데 오늘은 그중 하나인 통풍에 좋은 음식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1. 메밀 메밀 잎에는 쿠에르치트린, 꽃과 열매에는 이소쿠에르치트린 이라고 하는 프라보노이드류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프라보노이드류는 이뇨 작용을 하여 체내의 수분 대사를 도와주며 오줌과 함께 쌓인 요산을 체외로 배출합니다. 또한 메밀은 소염 작용도 합니다. 2. 초란 초란이 요산염을 녹여 혈중의 요산 치를 내리.. 2024. 2. 26. 약이 되는 바다 음식 41가지 (feat. 질병별 먹어야 하는 음식) 01. 가다랑어 : 스트레스 02. 가리비 : 고혈압, 동맥경화, 간장병 03. 가자미 : 스트레스 04. 게 : 동맥경화, 뇌졸중, 시력감퇴, 미각장애 05. 고등어 : 고혈압, 뇌졸중, 간장병, 골연화증, 빈혈, 감기 06. 굴 : 동맥경화, 간장병, 미각장애, 스태미나 부족 07. 김 : 고혈압, 변비, 체력저하 08. 꽁치 : 고혈압, 동맥경화, 뇌졸중, 골연화증, 감기, 구내염 09. 농어 : 구내염, 구각염 10. 다시마 : 고혈압, 변비, 체력저하 11. 대합 : 동맥경화, 간장병, 시력감퇴, 빈혈, 미각장애 12. 도미 : 고혈압, 스트레스 13. 멍게 : 스태미나 부족 14. 멸치 : 고혈압, 골다공증, 빈혈 15. 명란 : 노화, 피부질환, 스트레스 16. 모시조개 : 동맥경화, 간장병.. 2024. 2. 25. 탄산음료가 불러오는 질병 7가지 (feat. 건강관리를 위해 멀리 해야 하는 음료) 1. 천식 탄산음료에 들어있는 벤조산나트륨은 발진과 습진, 천식 발병과 관련이 있다고 합니다. 방부제로 쓰이는 이 성분은 유통기한 때문에 더 첨가되기도 합니다. 통계에 따르면, 매일 11명의 미국인이 천식으로 사망한다고 하네요. 2. 신장결석 탄산음료를 즐기는 과체중의 백인들은 신장결석(콩팥돌증)에 걸릴 가능성이 크다고 합니다. 음료에 들어 있는 높은 수치의 인산이 결석과 관련이 깊다고 합니다. 3. 당뇨병 탄산음료를 즐겨 마시는 사람은 2형 당뇨병에 걸릴 위험이 80%나 증가한다는 연구결과가 있습니다. 주로 성인에게서 일어나는 2형 당뇨병이 최근 어린이들 사이에서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는 어린이 비만과도 연관성이 깊습니다. 4. 비만 탄산음료 섭취량과 체중 증가 사이에는 분명한 연관성이 있습니다. 탄.. 2023. 12. 21. 소변으로 알아보는 질병 (feat. 색깔과 냄새로 알아보는 건강상태) 1. 지린내(암모니아 냄새) 폐쇄성 방광염이나 신우염 같은 세균의 염증으로 인한 것일 수 있습니다. 2. 신내(사과향) 당뇨환자의 경우 당뇨가 조절이 되지 않을 경우 요중에 아세톤 등 기타 케톤이란 물질이 배설되기 때문에 신내가 날 수 있습니다. 3. 구린내 장과 방광사이에 누공이 생겨 소변에서 구린내와 같은 냄새가 나기도 합니다. 4. 소변이 붉은색일 때 피가 섞여 나오는 혈뇨가 의심되는 것으로 콩팥이나 방광의 출혈성 질환이 있거나 혹은 콩팥이나 방광에 돌이 있는 경우 혈액이 섞여 적색뇨가 나오게 됩니다. 5. 소변이 황갈색일 때 간 및 담도의 질환을 의심해 볼 수 있고 대표적으로 담관석, 담관암, 간염, 간경화, 간암 등에서 나타나는 증상으로 볼 수 있습니다. 6. 소변이 탁한 노란색일 때 비뇨기계통.. 2023. 11. 27. 질병 예방을 위해 한국인이 꼭 먹어야 할 건강밥상 (feat. 밥심) 1. 질병예방 위험성을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은 질병. 우리나라 사망원인 1위의 암! 뇌졸중, 심장병, 실명 등 각종 합병증을 일으키며 인류의 새로운 재앙으로 떠오른 당뇨. 그리고 돌연사의 주범인 심장병까지. 그러나 이런 무서운 질환들도 올바른 식습관으로 예방할 수 있다. 1) 암 예방: 마늘 마늘의 강렬한 냄새는 바로 알리신 성분 때문. 이 성분은 강력한 살균작용을 할 뿐만 아니라 암예방에도 놀라운 효과가 있다. 특히 마늘은 소화기계통의 암에 그 효과가 더 크다고 한다. 마늘을 많이 먹는 사람은 위암 50%, 결장암 30%를 예방할 수 있었다고 한다. 마늘은 익혀서 먹어도 그 성분의 차이가 크지 않고, 자른 뒤 10분 정도 두었다가 요리하면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항암예방에 더 효과가 크다는 연구결.. 2023. 10. 30. 모든 질병은 마음과 생각에서 온다 (feat. 보화탕의 30가지 재료) 세상에 이런 명약이 있을까요? 구선자의 처방은 보화탕(保和湯)이란 것인데 30가지 재료로 되어 있다. 그 30가지의 약재료의 처방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사무사(思無邪): 나쁜 생각을 하지 말라. 2. 행호사(行好事): 착한 일을 행하라. 3. 막기심(莫其心): 속이는 마음을 갖지 말라. 4. 행방편(行方便): 사람을 좋은 길로 이끌라. 5. 수본분(守本分): 자기의 분수를 지켜라. 6. 막질투(莫嫉妬): 샘내거나 시기하지 말라. 7. 제교사(除狡詐): 간사하고 교활한 마음을 버리라. 8. 무성실(無誠實): 모든 일에 성실하게 힘쓰라. 9. 순천도(順天道): 항상 옳은 길을 따르라. 10. 지명한(知命限): 수명의 한도를 알라. 11. 청심(淸心): 마음을 깨끗이 하라. 12. 과욕(寡慾): 욕심을 부.. 2023. 10. 25. 세계가 깜짝 놀란 의학의 발견 (feat. 물 치료의 최고의 권위자 바트만 게리지 박사) 최근 들어 의학계에서는 인간이 갈증을 느끼고 있는 것을 통증을 참는 것과 조기에 사망되는 것과 관련이 있다는 점을 발견했다. 바트만 게리지 박사는 페니실린의 발견자이며 노벨 의학상 수상자인 플레밍의 학생이다. 그는 런던대학의 세인트메리병원 의과대학 졸업 후 인생을 " 물의 의학적 약용연구 " 에 바쳤는데 세계 의학계를 뒤흔든 의학저서로 정평이 나있다. 그는 자신의 수많은 임상과정을 통해 많은 만성질환의 빌미가 질병환자의 체내에 물이 부족하다는 점을 세계에서 처음 발견했다. 그는 이 원리로 약을 쓰지 않고 물로 근 3,000여 명의 환자를 치유했다. 1. 바트만 게리지 박사가 발견한 물로 치료할 수 있는 질환 바트만 게리지 박사는 물로 아래와 같은 질환을 치료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첫째, 심장병과 .. 2023. 9. 17. 건강하고 활기찬 삶을 위한 대장 관리 방법 (feat. 대장암 예방수칙) 대장이 건강하지 못하면 삶의 질에 여러 영향을 끼치고 당뇨, 만성 두통 등 특정 질병까지 불러올 수 있다. 대장을 청소하고 건강을 전반적으로 강화하자. 대부분의 사람들이 모르는 사실이지만, 체중 증가와 관련된 질병의 90%는 건강하지 못한 대장과 관련이 있다고 한다. 대장은 우리의 전반적인 건강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며, 독소와 필요 없는 부산물들을 배출한다. 장기적으로 보면 이러한 물질들은 우리 건강을 악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소화 능력이 좋지 못한 사람들의 대장에는 많은 양의 음식물 쓰레기가 쌓이고, 몸의 온도로 인해 발효되거나 부패되기도 한다. 장에 쌓이는 독소는 대동맥을 통해 간으로 전달된 후, 혈액을 타고 온몸으로 퍼지게 된다. 그리고 이는 피부 트러블이나 여러 만성 질병의 원인이 된다. 1.. 2023. 7. 9.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