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정리3

상황별 몸이 아플 때 먹으면 좋은 음식들 총정리 1. 머리가 아플 때 1) 국화차 시들지 않은 국화 5송이를 골라 꽃잎만 따서 흐르는 물에 깨끗이 씻은 뒤 물기를 뺀다. 냄비에 물을 붓고 팔팔 끓인 후 소금을 조금 넣고 꽃잎을 데치듯이 삶아낸 뒤 체에 밭쳐 물기를 뺀 뒤소쿠리에 펼쳐서 그늘에 말린다. 말린 국화잎은 뚜껑이 있는 그릇에 보관하고 녹차처럼 마신다. 2) 두릅 뿌리 달인 즙 말린 두릅뿌리 10g과 물 3컵을 냄비에 넣고 물의 양이 반이 될 때까지 달인 뒤 거즈에 받쳐 물만 받아서 3번에 나눠서 식사 전후에 마신다. 2. 목이 쉬었을 때 1) 꿀 매실탕 매실 6~8개 정도를 골라 씨를 빼내고 햇볕에 말린 뒤절구에 넣고 찧어 고운 가루로 만든다. 가루로 만든 매실 1g에 꿀 30g을 넣고 뜨거운 물을 1컵 부어 식기 전에 마신다. 2) 배 우린.. 2024. 2. 17.
빌게이츠와 샘알트먼의 대화 (feat. Unconfuse Me) 제가 이번 주에 가장 감명 깊게 본 것은 바로 세대를 넘어 가장 영향력 있는 IT리더인 빌 게이츠와 샘 알트먼의 약 30분짜리 인터뷰 팟캐스트와 영상이었습니다. 여러 번 반복해서 듣고 보고, 중요 부분을 노트로 남길 만큼 감명을 주는 대화 내용이었기에 혼자만 알고 있기엔 너무 아까워서 다음과 같은 중요 질문 8가지를 뽑아 브런치에 내용을 정리를 해 보았습니다. 1. 부족함에 중점을 둔 사고방식의 변화 2. AGI, AGI+가 개발될 경우의 우려 3. AI가 현대 문제를 해결할까? 4. AI가 적용되어 가장 기대되는 분야 5. 정보 체계를 이해할 수 있을까? 6. AI와 로봇이 만드는 노동시장의 변화 7. AI의 규제 방법 8. AI의 차기 마일스톤 주로 빌 게이츠가 질문을 하고, 샘 알트먼이 답을 하는 .. 2024. 2. 14.
헷갈리는 법률용어 한방에 해결 (feat. 해제와 해지, 보상과 배상 그리고 통보, 통지와 통고) 1. 해제(解除)와 해지(解止) 해제는 유효하게 성립한 계약을 소급하여 소멸시키는 의사표시이고, 해지는 이미 진행 중인 계속적 계약관계를 장래를 향해서 해소시키는 것입니다. 현실에서 가계약금(계약금의 일부)을 입금하게 한 후, 이쪽저쪽으로 위약에 대하여 보내는 문자로 '매도인(임대인)이 계약을 해지하는 경우 배액을 배상하고, 매수인(임차인)이 해지하는 경우 계약금을 포기하는 조건'이라는 아주 잘못 사용하는 전형적인 예입니다. 이 경우 ‘해제’라고 해야 합니다. 또 '임대차계약을 중도해제'하는 경우로 사용해서는 안 되고 '중도해지'로 표현되어야 합니다. 2. 보상(報償)과 배상(賠償) 보상은 국가나 지자체가 위법한 행위가 아닌 적법한 행위에 의하여 국민이나 주민에게 피해가 발생된 재산상의 손실을 보충해 주.. 2024. 2. 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