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재발3

티눈 제거를 위해 꼭 피해야 하는 잘못된 선택 (feat. 손톱깎이로 제거) 어느 날 발바닥을 만지다가 '티눈'을 발견하는 경우가 있다. 존재하는지도 몰랐던 티눈이지만, 한 번 발견한 뒤로는 계속 만져지고, 거슬려서 없애 버리고 싶은 생각이 든다. 이에 참지 못하고, 손톱깎이로 제거하려는 경우도 있는데 이는 꼭 피해야 하는 잘못된 선택이다. 1. 거슬리는 티눈, 신발이 원인일 수도티눈은 마찰과 압력이 반복적으로 피부에 가해져 피부 각질층이 원뿔모양으로 두꺼워진 상태를 말한다. 굳은살과 혼동하는 경우가 많은데 티눈은 위에서 누르면 굳은살과 달리 통증이 생기는 것이 특징이다. 또, 티눈은 중심핵이 관찰된다는 특징도 있다. 간혹 티눈을 사마귀로 오해하는 경우도 있는데, 사마귀는 각질을 깎아 냈을 때 작은 크기의 까만 점들이 다수 관찰된다. 티눈은 발에 맞지 않는 작은 신발을 신거나 하.. 2024. 10. 6.
넘어져 성장판 다친 아이, 키 안클까 걱정인 분들 위한 3가지 대처 방법 선선한 바람이 불기 시작하며 가을로 넘어온 것을 실감한다. 가을은 야외활동이 잦은 계절인 만큼 급작스러운 사고를 당할 위험도 커진다. 특히 아이들은 작은 타박상도 관절에 충격을 받을 수 있고 성장판까지 다칠 가능성이 있어 가볍게 넘겨서는 안 된다. 아이가 다쳤을 때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1. 성장판 손상 땐 '주기적 추적관찰'성장판 손상 중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것은 바로 성장판 골절이다. 성장판이 골절됐다고 해서 무조건 후유증이 생기진 않고 정도가 심하지 않는다면 별다른 치료 없이 지내기도 한다. 다만 5~10%는 영구적인 성장 장애로 이어질 수 있다. 성장판이 손상되면 '골교'라는 딱딱한 뼈조직이 성장을 방해한다. 이에 따라 뼈가 곧게 자라지 못하고 휘게 된다. 시간이 지날수록 휘거나 짧아지는 정도.. 2024. 9. 25.
식도이완불능증, 역류성 식도염과 비슷하며 식도암 발전이 가능한 위험 질환 식도와 위를 연결하는 ‘하부식도 괄약근(식도조임근)’은 평소에는 닫혀 있다가, 음식물이 식도에 도달하면 자연스럽게 열리면서 위로 음식물을 내려보내는 역할을 한다. 그런데 이 괄약근이 제대로 열리지 않으면 음식물이 위에 도달하지 못하고 식도에 정체되는데, 이러한 질환이 바로 ‘식도이완불능증’이다. 일부 증상이 역류성 식도염과 비슷해 오인하기도 쉬운 데다, 식도암으로 발전하는 경우까지 있어 더욱 주의가 필요한 질환이기도 하다. 식도이완불능증이란 어떤 질환일까? 1. 삼킴 곤란으로 음식물 잘 못 넘겨… 흉통, 구토 등 증상 가져와‘식도이완불능증’은 음식물을 삼킬 때 식도와 위의 경계 부위인 하부식도 괄약근이 손상되어 불완전하게 이완되고, 연동 운동이 원활하게 되지 않는 질환을 의미한다. 연간 약 10만 명당 .. 2024. 8. 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