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응급조치2

넘어져 성장판 다친 아이, 키 안클까 걱정인 분들 위한 3가지 대처 방법 선선한 바람이 불기 시작하며 가을로 넘어온 것을 실감한다. 가을은 야외활동이 잦은 계절인 만큼 급작스러운 사고를 당할 위험도 커진다. 특히 아이들은 작은 타박상도 관절에 충격을 받을 수 있고 성장판까지 다칠 가능성이 있어 가볍게 넘겨서는 안 된다. 아이가 다쳤을 때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1. 성장판 손상 땐 '주기적 추적관찰'성장판 손상 중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것은 바로 성장판 골절이다. 성장판이 골절됐다고 해서 무조건 후유증이 생기진 않고 정도가 심하지 않는다면 별다른 치료 없이 지내기도 한다. 다만 5~10%는 영구적인 성장 장애로 이어질 수 있다. 성장판이 손상되면 '골교'라는 딱딱한 뼈조직이 성장을 방해한다. 이에 따라 뼈가 곧게 자라지 못하고 휘게 된다. 시간이 지날수록 휘거나 짧아지는 정도.. 2024. 9. 25.
허리를 삐었을 때 대처요령 (feat. 응급조치 및 요통 유발을 피하는 자세) 1. 허리를 삐었을 때 발을 곧게 뻗거나 똑바로 누우면 큰일 허리를 삐었을 때 발을 곧게 뻗거나 똑바로 누우면 오히려 요통이 증가하고, 발이 마비될 수 있습니다. 또, 이불이 너무 단단하거나 부드러워도 요통을 일으킬 수 있으니 주의합니다. 2. 허리를 삐었을 때는 이렇게 1) 반드시 누울 때는 머리를 높게 한다. 2) 새우등을 하고 옆으로 누워 통증을 완화한다. 3) 누워 안정을 취하도록 하고, 갑자기 움직이지 않도록 조심한다. 4) 반듯이 누울 때 장딴지 밑에 베개나 방석(2~3장)을 포개어 유지한다. 3. 요통 유발 요인 1) 바르지 못한 생활자세 2) 비만 3) 운동부족에 따른 복부 근력의 약화 4) 요추를 지탱해 주고 있는 등배근의 기능 저하와 근력의 약화 5) 각종 스트레스 6) 바이러스나 박테.. 2023. 12. 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