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실패14

흡연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금연방법 (feat. 금단증상) 매번 금연을 선언하지만 성공했다는 사람은 찾아보기 힘들다. 금연이 의지력에 달린 문제라 생각하기 쉽지만 전문가들은 그저 인내하는 것만으로는 금연에 성공하기 어렵다고 한다. 건강에 대한 우려 때문에 많은 흡연자들이 금연을 시도하고 있지만, 자신의 의지로 담배를 끊을 확률은 1년에 3~5%에 불과할 정도로 낮다. 또한 2018년 시행된 연구에 따르면 국내에서 궐련형 전자담배 사용 경험이 있는 청소년 중 81.3%는 일반담배, 액상형 전자담배, 궐련형 전자담배 3종 모두 사용한 경험이 있었고, 흡연량을 줄이기 위한 궐련형 전자담배의 사용이 오히려 일반담배와 액상형 전자담배까지 중복 사용하는 다중담배 사용자가 될 가능성을 높이고 금연 성공률은 떨어진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금연의 날은 전 세계 흡연자들이 금연의 .. 2024. 6. 29.
실패에 대한 책임을 지는 것까지가 도전의 완성 (feat. 책임감) 실패에 대한 책임을 지는 것까지가 도전의 완성이다. “나는 정말 열심히 도전하며 변화를 추구하고 있는데, 왜 일이 뜻대로 되지 않는 걸까?” “세상에 나처럼 의욕적으로 사는 사람이 또 있을까? 그런데 왜 마음처럼 되지 않는 걸까? “ 이런 이유로 고민하는 사람이 참 많다. 만약 당신도 비슷한 일로 고민하고 있다면, 이 질문에 한번 진지하게 답할 필요가 있다. ”나는 내가 책임질 일에 언제나 최선을 다해 책임을 지고 있는가?” 도전과 변화의 밀도를 확인하려면 실수와 실패에 대한 책임을 지고 있는지, 아니면 떠넘기며 외면하고 있는지를 파악하는 게 우선이다. 당신이 무엇을 선택해서 반복하든 그건 어디까지나 당신 자신의 몫이다. 그러나 실수와 실패에 대한 책임은 자신을 버린 자에게 성공이나 성장의 기회를 허락하.. 2024. 4. 20.
실행이 답일까? (feat. 프로젝트의 성공과 실패) 실행이 답일까?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가 재밌는 연구를 했다. 프로젝트를 진행하는데 과업을 정보탐색, 방법탐색, 결정, 실행, 기타 5가지로 나누었다. 그다음 프로젝트의 성공과 실패에 따라 그 비중이 다른지를 분석하였다. 재미있게도 성공하는 프로젝트일수록 정보탐색에 시간을 더 많이 썼다. 정보탐색은 이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탐색하거나 공유하고 공부하고 탐구하는 과업들을 말한다. 우리는 가끔 실행이 반이라느니 무조건 돌격해야 하느니 하지만 맨땅에 헤딩하면 머리만 깨진다. 이는 여러 연구에서 통계적으로 반복적으로 증명된 사실이다. 조망하는데 직감보다 더 많은 시간을 보내야 최종적인 성공 확률을 높일 수 있다. 작년에는 무지성 실행을 표방하면서 많은 시간을 보냈다. 그런데 의도한 것은 아니었지만.. 2024. 3. 18.
사업을 하면서 잘 못했던 일과 실패한 의사결정 (feat. 교훈과 성장) 1. 1인 미디어 시절 갑자기 주목받으면서 생긴 후광 효과, 타인의 기대에 맞추려는 노력 예를 들어 갑자기 등장한 사람이 실리콘밸리에 있는 훌륭하신 분들을 만나고 다니고 수조~수십조의 CEO들을 구독자가 10,000명도 안 될 때부터 만나고 인터뷰하고 다니니까 많은 사람들이 나름대로 나에 대해 생각하고 대했다. 예를 들어서 내가 분명히 유학생 출신일 것이다라고 생각하면서 강연장에서 만나서 갑자기 한국말로 대화하다가 영어로 말을 하는 분들이 여럿 계셨고, 특히 2018년에 블록체인 분야에서 일어나는 모든 일들에 대해 내가 당연히 알고 있을 거라고 생각하고 어젯밤에 일어난 트윗, 하드포크 등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냐고 묻는 사람들이 있었다. 그냥 모르는 걸 모른다고 했으면 될 걸 몇 번 정도는 아는 척을 하면.. 2024. 3. 14.
사업을 하면서 느낀 점 5가지 (feat. 고민보다는 실행) 1. 개인 미디어에서 미디어 브랜드로 바꾼 것 유튜브 시작하고 1년 정도 지나서 혼자서 다양한 산업을 공부하고 기술 트렌드 쫓아가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느꼈고, 구독자들이 나보다 가방끈 길고 똑똑한 사람들임을 깨달았음. 결국 팀으로 일해야 하는데 뛰어난 인재들이 한 사람의 유명세 확장에 기여하는 삶을 살 리가 없다고 생각했고, 개인으로 얼굴을 팔면 빨리 신뢰를 살 수 있지만 스케일이 나오기 어렵다고 생각했음. 대부분의 큰 미디어들은 창업주, CEO가 누구인지도 알기 어렵고 그게 오디언스한테 중요하지도 않아서 스케일이 나온다는 걸 알게 됨. 개인 브랜드는 로컬과 개인의 시간, 역량에 성장 한계가 어느 정도 정해져 있음. 미스터비스트 같은 사람도 있지만 난 그렇게 될 수 없음을 일찍 깨달음. 회사의 성장과 개.. 2024. 3. 2.
실패한 스타트업의 패턴과 통계 (feat. 스타트업이 실패하는 이유) 1. 스타트업 실패 통계 - 10개 중 9개의 스타트업이 실패. - VC 펀딩 스타트업 10개 중 7.5개 실패. - 10개 중 2개의 신규 사업이 운영 첫 해에 실패. - 스타트업 중 단 1%만이 Uber, Airbnb, Slack, Stripe, Docker와 같은 유니콘 기업으로. (미국의 경우) - 첫 창업자의 성공률은 18%. 2. 스타트업의 정의 - 스타트업은 혁신과 지수함수적 성장의 잠재력이라는 두 가지 중요한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전통적인 신규 사업과 구별됨. 3. 실패율 - 모든 신규 사업의 실패율과 혁신적이고 확장 가능한 스타트업의 실패율이 다름. - 참고로, Shark Tank라는 공개 핏칭 프로그램에서 펀딩 받은 사업의 경우 6%만 실패. 4. 모든 신규 사업 - Bureau.. 2024. 2. 26.
운이 폭발하기 전에 나타나는 공통적인 현상 10가지 (feat. 한 번 사는 인생,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당신은 꼭 잘 됩니다. 지금까지 잘했고, 지금도 잘하고 있고, 앞으로도 멋지게 해낼 겁니다. 당신은 정말, 꼭 잘 됩니다. 다음은 운이 대폭발 하기 직전 나타나는 공통적인 현상 10가지입니다. 1. 불면증을 겪는다. 2. 건강상태가 변화한다. 3. 이사, 퇴직, 결혼등 환경이 바뀐다. 4. 관심 없던 분야에 관심이 생긴다. 5. 취향이나 습관이 바뀐다. 6. 인간관계가 저절로 정리된다. 7. 가치관이 바뀐다. 8. 안 좋은 일이 계속 온다. 9. 감정 기복이 심해진다. 10. 무기력하고 잠이 온다 당신 삶이 힘들어졌다면, 당신 운은 새롭게 바뀌고, 이전과는 다른 삶을 살게 될 거다. 힘들더라도 아직 포기하지 말자. 아니, 절대로 포기해선 안 된다. 힘들다고 포기하기엔 당신에게 다가올 좋을 날들이 너무 아.. 2024. 2. 13.
단독자로 자기 삶의 중심에 서는 7가지 방법 단독자로 자기 삶의 중심에 선 사람들을 매우 오랫동안 관찰했으며, 나 자신도 그렇게 살며 경험으로 깨달은 7가지 방법이 있다. 글은 짧으나 그 시간과 깊이는 측정할 수 없을 정도로 아득하니, 낭독하듯 읽고 자신의 언어로 만들어보라. 1. 남이 좋아한다고 어쩔 수 없이 호응하지 말라. 2. 모두 달려갈 때, 혼자 남을 용기를 내라. 3. 늘 마음의 소리를 듣고 자신 있게 실천하라. 4. 절대로 모두를 만족시키려고 하지 말자. 5. 나와 마음의 결이 맞는 소수와 함께 성장하자. 6. 경쟁하지 말라, 언제나 온리 원을 추구하라. 7. 세상에 내 글과 언어가 최고라고 외쳐라. 실패는 누구에게나 힘들고 두려운 존재다. 하지만 인생을 살면서 피하지 못하는 것 또한 실패일 것이다. 실패를 극복하는 것은 힘들고 어렵다.. 2024. 1. 19.
세렌디피티의 법칙(Serendipity’s Law) (feat. 운도 실력이다) 세렌디피티의 법칙(Serendipity’s Law)이란? 노력한 끝에 찾아온 우연한 행운을 말합니다. 18세기 영국 작가 호레이스 월폴이 페르시아 동화 ‘세렌디프의 세 왕자’라는 내용에서 처음 유래된 이론입니다. 동화 속 왕자들이 생각지 못한 행운으로 어려움을 이겨내는 이야기에서 그 의미가 생겨난 것인데 왕자들은 전설의 보물을 찾아 떠나지만 보물을 찾지 못하고 그 대신 계속되는 우연으로 지혜와 용기를 얻는다는 내용입니다. 사과가 떨어지는 것을 보고 중력의 법칙을 발견하거나, 모래 위에 불을 피우다 유리를 개발하거나, 목욕탕에서 넘치는 물을 보고 부력의 원리를 알아내는 것이 해당됩니다. 사무공간에서 흔히 사용되는 ‘포스트잇’도 비슷한 상황에서 만들어졌습니다. 스펜서 실버란 연구원이 강력접착제를 개발하려다가.. 2024. 1. 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