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산업4 지각변동이 시작된 실리콘밸리 (feat. AI 엔지니어의 기본소양) 실리콘밸리에 지각변동이 시작되었다. 모든 큰 변화는 구성원들에게는 재앙이다. 실리콘밸리에 새로운 시대가 시작되고 있다. 실리콘밸리의 역사는 몇 번의 큰 변화를 거쳤다. 70년대 반도체로 시작된 실리콘밸리는 90년대 PC의 시장을 거쳐 2000년대 웹의 시대, 그리고 2010년대 모바일 시대를 거쳐왔다. 그리고 2023년 AI 혁명을 맞이했다. 각 시대를 거치면서 실리콘밸리는 거대한 발전을 이루었고 세계의 돈이 모이는 곳이 되었다. 지금도 모든 세계의 모든 곳이 엔비디아, 테슬라,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오픈 AI로 쏠리고 있다. 전 세계적인 저성장에도 미국은 엄청난 성장을 보이고 있고 주식시장과 코인 마켓 또한 어마어마한 성장을 보이고 있다. 분명히 엄청난 성장이고 기회이고 변화이다. 큰 지각 변동인 만.. 2024. 3. 22. 실패한 스타트업의 패턴과 통계 (feat. 스타트업이 실패하는 이유) 1. 스타트업 실패 통계 - 10개 중 9개의 스타트업이 실패. - VC 펀딩 스타트업 10개 중 7.5개 실패. - 10개 중 2개의 신규 사업이 운영 첫 해에 실패. - 스타트업 중 단 1%만이 Uber, Airbnb, Slack, Stripe, Docker와 같은 유니콘 기업으로. (미국의 경우) - 첫 창업자의 성공률은 18%. 2. 스타트업의 정의 - 스타트업은 혁신과 지수함수적 성장의 잠재력이라는 두 가지 중요한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전통적인 신규 사업과 구별됨. 3. 실패율 - 모든 신규 사업의 실패율과 혁신적이고 확장 가능한 스타트업의 실패율이 다름. - 참고로, Shark Tank라는 공개 핏칭 프로그램에서 펀딩 받은 사업의 경우 6%만 실패. 4. 모든 신규 사업 - Bureau.. 2024. 2. 26. 삼성전자의 초격차 (feat. 옛날의 영광만 남은 반도체 시장의 선두자) 삼성전자는 불과 6-7년 전만 해도 이른바 '초격차'라는 수식어의 사용권을 독점해도 된다고 자부할 정도로 기술력에서든, 원가 경쟁력에서든, 어쨌든 반도체 제조업에서만큼은 한국은 물론, 세계적으로도 타의 추종을 불허할 정도로 독보적인 회사였다. 물론 그 당시에도 삼성전자 내부에서는 늘 위기론을 외치는 목소리가 있었고, 혁신에 대한 목소리도 컸었다. 삼성전자 관련 취재를 하고 있을 때부터 뭔가 안 좋은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는데, 그 안 좋은 이야기도 사실 파운드리 vs 메모리 구도에 대한 것이었지, 메모리 자체에 대한 것은 아니었다. 그렇지만 삼성에 있던 분들이나 삼성전자 사정을 잘 아는 분들은 삼성이 메모리를 바라보는 관점을 빨리 바꿔야 한다는 이야기를 했던 기억이 난다. 2018-2019년 당시만 해도.. 2024. 2. 1. 2024년 로봇 산업의 5가지 주요 트렌드 1. Generative AI가 로봇을 더 똑똑하고 사회적으로 만들 것 Generative AI는 로봇이 언어를 이해하고, 빠르게 배우며, 복잡한 조작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해 줄 것이다. 2. 로봇이 창고에서 나와 새로운 역할로 확장 로봇은 자동차 제조에서 벗어나 이제 창고, 식료품점, 패스트푸드, 병원 등에서 다양한 역할을 하고 있다. Generative AI를 통해 더 자연스럽게 사람과 상호작용할 수 있게 될 것이다. 3. 자율 이동 로봇(AMRs)의 사용 사례가 확장될 것 AMRs는 창고 내에서 물품 이동을 주로 수행했지만, 2024년에는 공항, 야외 환경 등 더 다양한 곳에서 사용될 것이다. 4. 휴머노이드 로봇은 계속해서 화제를 모으지만, 대규모 배치는 드물 것 개발자들은 휴머노이드 로봇을 .. 2024. 1. 29.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