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보상2 진정한 친구에게 해서는 안되는 행동 10가지 1. 뒤에서 몰래 험담하지 않는다. 험담하는 사실을 알게 되는 순간 우정은 끝장난다. 험담은 소문을 낳고 삽시간에 주변으로 퍼져 나가는 법이다. 2. 인신공격하지 않는다. 친구의 관계는 상사와 부하거나 선배와 후배 같은 수직 관계가 아니다. 인신공격은 우정을 망치는 지름길이다. 3. 무의미한 논쟁은 하지 않는다. 진실한 친구는 어떤 주제에 대해 친구가 자신의 의견에 동의하거나 그렇지 않더라도 있는 그대로 그 의견을 존중하려고 노력한다. 섣불리 시작한 논쟁이 ‘절교’로 끝나는 유치한 상황만큼은 만들지 말자. 4. 말을 끊지 않는다. 다른 사람들과는 그렇지 않으면서도 친구들 하고만 있으면 유독 말을 끊는 사람들이 있다. 편한 마음에 무심코 튀어나오는 행동일지 몰라도 당하는 상대방은 상당히 기분이 나쁘다는 것.. 2024. 3. 17. 헷갈리는 법률용어 한방에 해결 (feat. 해제와 해지, 보상과 배상 그리고 통보, 통지와 통고) 1. 해제(解除)와 해지(解止) 해제는 유효하게 성립한 계약을 소급하여 소멸시키는 의사표시이고, 해지는 이미 진행 중인 계속적 계약관계를 장래를 향해서 해소시키는 것입니다. 현실에서 가계약금(계약금의 일부)을 입금하게 한 후, 이쪽저쪽으로 위약에 대하여 보내는 문자로 '매도인(임대인)이 계약을 해지하는 경우 배액을 배상하고, 매수인(임차인)이 해지하는 경우 계약금을 포기하는 조건'이라는 아주 잘못 사용하는 전형적인 예입니다. 이 경우 ‘해제’라고 해야 합니다. 또 '임대차계약을 중도해제'하는 경우로 사용해서는 안 되고 '중도해지'로 표현되어야 합니다. 2. 보상(報償)과 배상(賠償) 보상은 국가나 지자체가 위법한 행위가 아닌 적법한 행위에 의하여 국민이나 주민에게 피해가 발생된 재산상의 손실을 보충해 주.. 2024. 2. 3.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