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미디어2 뉴미디어, 과학기술 정책에서 반드시 고려해야 할 문제 (feat. 미디어 리터러시) 위르겐 하버마스가 "현대에 들어서 다시 공론장의 민주주의가 퇴화한다"는 내용의 '공론장의 재봉건화' 개념을 말했었다. 그게 매스미디어를 두고 한 말이다. 인터넷 보급 초창기(90년대 후반~2000년대 초반)에 진보넷을 비롯한 진보좌파 진영, 그리고 문화정책 학계에서는 "인터넷이 공론장 재봉건화의 대안"이라고들 말했는데 시간이 지나고 보니 진보좌파들의 믿음과는 다르게 인터넷도 재봉건화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는 것이 밝혀지고 있다. 이걸 로이드 모리셋이라는 학자가 밝혔었다. 모리셋은 인터넷 뉴미디어에서 민주주의 토론문화가 잘 이뤄지지 않고 재봉건화 같은 현상이 뉴미디어에서도 나나 타는 이유가 매스미디디어적 '접근, 액세스'의 문제가 아니라 '숙의 구조'의 문제라고 주장했다. 맞는 말이다. 이 문제는 미디어에.. 2024. 5. 16. AI 기반 뉴스 시대 본격화 (feat. 시그널 뉴스 큐레이션 서비스)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와 세마포(Semafor)가 손잡고 ‘시그널’이란 뉴스 큐레이션 서비스를 론칭했습니다. AI를 도구로 사용해 다양한 소스로부터, 정확하고 빠르게, 인사이트 있게 전달한다는 계획입니다. 현재 시각 주요 뉴스(The News)를 피드 형태로 제공하고, 바로 밑에 해당 뉴스와 관련한 해설(Signals)을 제시한다는 점이 특징입니다. The News는 요약(시간 절약 및 그날의 주요 이슈 확인), Signals는 관점(뉴스 해석 및 전망)을 제시하는 역할입니다. 시간을 절약하되 주요 이슈 놓치기 싫고, 뉴스 이면의 의미, 인사이트까지 얻고 싶다면 세마포 시그널을 보란 얘기입니다. Signals 파트는 뉴욕타임스, BBC 등 기존 주요 미디어 기사를 인용, 요약해 제시하고 하이퍼.. 2024. 2. 25.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