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레버리지3 투자자가 알아야 할 3가지 (feat. 명심, 금지 및 조심) 1. 투자자가 명심하거나 해야 할 것 - 회사의 사업보고서와 친해져라. 그 속에 많은 투자힌트들이 있는 경우가 많다. - 기업의 BM에 집중하되 자산가치, 수익가치, 성장가치를 종합적으로 판단하는 능력을 길러라. 가치는 동종업계와 비교하되 동종업계의 시장평가가 적정한지 항상 고민하라. - 상장기업들의 분기실적을 열심히 확인하는 것을 게을리하지 마라. 이를 반복하는 것만으로도 남들보다 빨리 좋은 투자 기회를 얻을 수 있다. - 열심히 산업을 공부하라. 장기적으로 투자실력을 높이는 좋은 방법이다. 특히 성장하는 산업에서 적당한 가격의 좋은 회사를 발굴한다면 좋은 투자기회이다. - 투자는 스스로 주도할 수 있어야 한다. 투자아이디 어디로 회사가 잘 운영되고 있는지 항상 모니터링하고 심각한 훼손이 있다면 과감히.. 2024. 4. 13. 자본으로 자본을 불리는 것의 두 가지 한계 (feat. 시간으로 자본을 불리는 방법) 자본으로 자본을 불리는 것은 두 가지 한계가 있다. 1. 꾸준히 불어나는 방법을 선택하면 급격히 불어나지 않으며, 급격히 불어나는 방법을 선택하면 급격히 쪼그라들 수 있다. (예외 케이스: 시장이 미친 급등이나 급락하는 경우 급격히 불어나는 방법으로 급격히 불릴 아주 작은 시간창이 생김 -> 바꾸어 말하면 이 시간 창을 보는 눈이 있다 하더라도 대부분의 시간을 재미없게 지루하게 자본이 급격하게 불어나지 않는 상태로 보내야 함을 의미) 2. 자본으로 자본을 불리는 것은 내 자본이 불어나는 것 외에 딱히 세상에 가치를 만들지 못한다. 열심히 공부하고 일해서 내 돈만 불리는 거 참 허무한 일이다. 그래서 시간으로 자본을 불리는 게 두 가지 측면에서 아주 재미난데, 1. 급격히 불어나는 방법을 선택해도 꽤 괜찮.. 2024. 3. 21. 배움을 레버리지하라 (feat. 배움의 3단계) 1. 가르칠 때 나의 지식이 정리되고 더 많은 공부를 실행 한 분을 만났다. 해당 분야에 전문성과 풍부한 경험을 가진 분이었다. 내가 "파트라도 강의를 하시면서 후학을 가르쳐보시면 어떨까요? 글이나 책도 쓰실 수 있고요. 새로운 비즈니스도 실험해 보시고요. 그러면 더 확장될 듯하네요"라고 했더니 그분 왈. "어휴 저보다 더 지식과 경험이 많은 분들이 있는데 제가 어찌 감히.. 저는 아직 더 배워야 합니다" 몇 달 전, 한 코치를 만났다. 책 '일의 격'의 한 에피소드에 등장했던 코치다. 지금은 매우 훌륭한 코치로 다양한 역할을 하고 있다. 몇 년 전 처음 만났을 때 그녀는 내게 이런 말을 했다. "저는 신입코치라서 아직도 배울게 많습니다. 더 배워야 하고 본격적인 코칭은 내공이 쌓아진 다음에 하려 합니다.. 2024. 1. 28.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