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교육3

학업성취도 미달 급증에 비인지적 역량 강화 주목 (feat. 교육 격차 해소) 지난 6월 발표된 교육부의 국가 수준 학업성취도평가에 따르면, 중고등학생들의 학업성취도 미달 비율이 10년 전에 비해 대폭 상승한 것으로 확인됐다. 2013년 1.3%에 머물던 중학생의 국어 과목 미달률은 2023년 9.1%로 7배나 상승했고, 수학과 영어 과목의 미달 비율도 각각 2013년 5.2%에서 2023년 13.0%, 과거 2.8%에서 현재 6.0%로 두 배 이상씩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고등학생의 경우 국어 미달 비율은 2.9%에서 8.6%로 증가했고, 수학 과목은 4.5%에서 무려 16.6%까지 상승하며 전국 고등학생 6명 중 1명은 ‘수포자(수학을 포기한 사람)’임이 드러났다. 영어 과목의 미달 학생도 2013년 2.8%에서 8.7%로 늘어나며 3배가 넘는 증가율을 보였다. 경기도.. 2024. 9. 20.
3권의 책과 교원의 정치기본권에 대하여 (feat. 죽은 교사의 사회) 존경하는 차승민 선생님의 책 '죽은 교사의 사회'를 읽고 있습니다. 학교 교사들은 애들 대충 가르치잖아, 애들한테 무관심하잖아, 학교폭력이 일어나도 은폐하려 들잖아 등등의 사회적 기대에 부응이라도 하듯이 받은 만큼만 가르치자는 분위기가 교직 사회에 널리 퍼지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타인이 기대가 개인을 비롯한 집단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데이비드 롭슨 David Robson이라는 과학전문 저널리스트가 The Expectation Effect라는 책으로 잘 설명하고 있습니다. 교직에 종사하는 교사들이 처한 깊고 깊은 절망적인 현실을 만든 개인과 사회적 요인이 무엇인지를 차승민 선생님은 25편의 영화 이야기를 빌려서 소개하고 있습니다. 날마다 교실에서 아이들을 만나는 교사들이 이야기가 널리 알려진 영화와 비.. 2024. 4. 4.
교육은 실행을 위해 필요한 것 (feat. 성장을 위한 교육공학적 이론) 내가 수영을 잘하고 싶다고 해보자. 아래 두 가지 옵션 중 무엇부터 시작해야 할까? 1. 수영의 역사와 철학에 대해 공부한다. 2. 일단 물에 들어간다. 당연히 2번인데 1번부터 시작하는 경우가 부지기수다. 예를 들어 재테크를 배우고 싶다고 해보자. 1. 재테크 관련 강의를 듣고 책을 읽어 본다 2. 10만 원만 들고 일단 시작해 본다. 교육학적으로 보자면 일단 시작한 뒤 그 시행착오를 보완해 가며 학습을 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인 방법이다. 주입식이 익숙하고 편한 방법이기에 우리는 그걸 통해 성장한다고 믿고 싶어 하지만 가장 효과가 낮은 방법이다. 결핍이 가득한 사회이기에 성장에 갈증이 있는 사람들이 많다. 자격증이나 교육을 통해 성장할 것이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그것들은 수단이지 목적이 아니.. 2024. 2. 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