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거짓말3 왜 허구가 진실을 이기는가? (feat. 유발 노아 하라리) 인류 역사상 허구의 스토리가 늘 진실을 이겼다. 사람들의 합리적 이성의 역량을 비활성화하는 것이 큰 비용이 들더라도, 사회 통합의 이점이 너무나 크기 때문이었다. 수 천 년 간 학자들은 이 사실을 알았다. 그래서 그들은 가끔 진실에 봉사할 것이냐 사회 통합에 봉사할 것이냐를 결정해야만 했다. 모든 사람이 똑같은 허구를 믿게 함으로써 사람들을 통합시킬 것인가, 아니면 분열의 위험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에게 진실을 알려 주어야 할 것인가? 유발 하라리의 이야기입니다. 왜 허구가 진실을 이기는가?[이스라엘의 역사가이며 ‘사피엔스’의 저자인 유발 하라리(Yuval Noah Harari)가 어제 날짜 뉴욕 타임스에 기고한 글의 발췌입니다. 진실보다 거짓말이, 아니 거짓말일수록 더 힘이 있다는, 아이러니한 권력론이 재.. 2024. 6. 1. 칼럼니스트 제이슨 츠바이크(Jason Zwig)의 전업 작가가 걷는 3가지 길 칼럼니스트 제이슨 츠바이크(Jason Zwig)는 전업 작가가 걷는 3가지 길을 이렇게 말한다. 1. 『거짓말』을 듣고 싶은 이들에게 『거짓말』을 하면 큰돈을 벌 수 있다. 2. 『진실』을 듣고 싶은 이들에게 『진실』을 말해주면 먹고살 수는 있다. 3. 『거짓말』을 듣고 싶은 이들에게 『진실』을 말해주면 깡통을 차게 된다. 인센티브의 힘을 깔끔하게 설명해 주는 글이다. [인센티브*Incentive]는 「사람이 어떤 행동을 취하도록 부추기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자극」이다. 사람들은 똑똑하고 정직해 보이지만 에 움직인다고 하는데, 사람을 움직이려면 거짓말을 잘해야 한다는 말이다. 1923년 헨리 루스(Henry Luce)는 [팩트*Facts*사실]라는 잡지를 창간하고 싶었다. 객관적으로 옳은 내용만 싣겠다는.. 2024. 4. 17. 새빨간 거짓말과 하얀 거짓말의 차이 (feat. 선의와 악의) 왕이 한 죄수에게 사형을 언도하자 신하 두 사람이 죄인을 감옥으로 호송하고 있었습니다. 절망감에 사로잡힌 죄수는 감옥으로 끌려가면서 계속 고함을 질러댔습니다. "이 못된 왕아! 지옥 불구덩이에 빠져 평생 허우적거려라." 이때 한 신하가 그를 나무랐습니다. "이 보시게 말이 너무 심하지 않은가?" 하지만 죄수는 더욱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어차피 죽을 목숨인데 무슨 말인들 못하겠소!" 신하들이 궁으로 돌아오자 왕이 물었습니다. "그래, 죄인이 잘못을 뉘우치던가?" 그때 죄수의 말을 가로막던 착한 심성의 신하가 대답했습니다. "예! 자신에게 사형을 내린 폐하를 용서해 달라고 신께 기도했습니다." 신하의 말에 왕은 매우 기뻐하며 그 죄수를 살려주라고 명하려 했습니다. 그때 다른 신하가 말했습니다. "폐하! .. 2023. 12. 18.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