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가공식품3 완벽한 단백질 식품인 콩의 종류 (feat. 미국 농무부, “육류 대신 콩류 섭취 권장”) 미국 농무부(USDA) 자문위원회에서 콩, 렌틸콩, 그리고 완두콩이 붉은 육류를 대체할 수 있는 완벽한 단백질 식품이라는 내용을 골자로 하는 식단 지침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번 지침에서는 그간 ‘단백질이 많은 식품 순위’에서 뒤로 밀려나 있던 콩이 가장 상위권에 배치됐다. 붉은 육류와 가공육 등을 대신해 콩류를 주요 단백질 공급원으로 선택하면 많은 건강상 이점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연구에 참여한 코넬대(Cornell University) 안젤라 오돔스 영(Angela Odoms-Young) 영양학 교수는 "콩, 완두콩, 렌틸콩을 포함한 식단은 만성질환의 위험을 낮춘다는 여러 연구 결과가 제시돼 왔다"라면서 "육류를 줄이고 콩류 소비를 늘리는 것이 건강에 도움이 된다"라고 설명했다. 영양상담 임상영양.. 2024. 12. 22. 심장외과 의사가 경고하는 건강에 나쁜 습관 4가지 26일 미국 일간지 뉴욕포스트는 조지아주 사바나(Savannah Georgia)의 심장흉부외과 의사인 제레미 런던 박사(Dr. Jeremy London)의 건강 조언 영상 내용을 실었다. 제레미 박사는 틱톡(Tik Tok) 영상에서 "25년간 의사로 일하면서 배운 것은 금연하는 것, 알코올 기반 구강 청정제를 사용하지 않는 것, 가공식품을 섭취하지 않는 것, 술을 마시지 않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해당 영상은 조회수 130만을 기록하며 많은 관심을 얻고 있다. 제레미 박사는 영상 말미에서 "당신의 몸, 당신의 규칙, 당신의 선택"이라며 건강을 위해 올바른 생활 습관을 지닐 것을 강조했다. 1. 흡연, 폐암 발생률 3배 이상 높인다담배 한 개비에는 수십 가지의 발암물질과 수천 가지의 화합물이 들어 있기 때.. 2024. 9. 29. 식이섬유가 몸에 가져다주는 이점과 섭취 시 주의사항 식이섬유는 장 건강을 개선해 소화를 돕고, 혈액을 깨끗하게 하는 데에 좋은 영양소라고 잘 알려져 있다. 그 때문에 채소나 과일, 통곡물, 견과류 등에 포함된 식이섬유는 많이 먹을수록 몸에 좋고, 많이 먹어도 해롭지는 않을 것이라 생각되는 경향이 있다. 그런데 간혹 식이섬유가 풍부한 채소나 잡곡 위주의 식사를 한 후, 오히려 배가 아프고 소화가 잘되지 않는다는 사람들도 있다. 분명 식이섬유를 많이 먹었으니 소화가 잘돼야 할 텐데, 반대로 복통이나 소화불량을 겪게 되는 이유가 뭘까? 식이섬유가 몸에 가져다주는 이점과 섭취 시 주의사항을 자세히 알아봤다. 1. 수용성 식이섬유와 불용성 식이섬유, 차이는?식이섬유는 크게 수용성 식이섬유와 불용성 식이섬유로 구분할 수 있으며, 그 특징도 각기 다르다. 수용성 식이.. 2024. 9. 22.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