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관리/의학상식

HIV 백신 반복 접종, 항체끼리 공격으로 효과 저하 우려

by 트렌디한 건강 상식 2025. 2. 7.
반응형

HIV 백신 반복 접종, 항체끼리 공격으로 효과 저하 우려
HIV 백신 반복 접종, 항체끼리 공격으로 효과 저하 우려

 

미국 스크립스 연구소(Scripps Research)와 국제 연구진은 뉴질랜드 흰 토끼와 붉은 털원숭이를 대상으로 HIV 백신을 반복 접종한 후 항체 반응을 분석했다. 연구 결과, 반복적인 면역 과정에서 기존의 HIV 항체 외에도 새로운 항체가 생성되었으며, 이 항체는 기존 항체와 결합해 면역 반응을 변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전자현미경 기반 다클론성 항원 결정기 매핑(EMPEM) 기법을 이용해 백신 접종 후 형성된 항체들의 구조를 분석했다. 그 결과, 기존 항체와 결합하는 ‘항 면역복합체 항체(anti-immune complex antibodies, anti-IC antibodies)’가 형성되었으며, 이는 면역 체계가 바이러스를 직접 표적으로 삼기보다 항체-항원 복합체를 인식하는 방식으로 반응하게 만들었다.

 

또한, 냉동 전자현미경(cryo-EM) 분석 결과, 항 면역복합체 항체는 기존 HIV 항체의 특정 구조적 요소와 결합하는 경향이 확인되었다. 연구팀은 이러한 항체 간 상호작용이 면역 반응의 방향을 바꾸어 바이러스 중화 효과를 저하시킬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러한 현상은 반복 접종이 필요한 다른 백신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날 수 있어 백신 설계 시 고려해야 할 요소로 보인다.

 

반응형

연구를 주도한 샤리단 브라운(Sharidan Brown) 박사는 “반복적인 백신 접종 과정에서 예상치 못한 항체 반응이 발생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며 “이러한 항체 간 상호작용이 면역 체계의 작용 방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더 깊이 연구할 필요가 있다”라고 밝혔다.

 

앤드류 워드(Andrew B. Ward) 교수는 “이 연구 결과는 HIV뿐만 아니라 반복 접종이 필요한 백신 설계에도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며 “향후 백신 개발에서는 항체 간 불필요한 상호작용을 줄이고 면역 반응을 최적화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 결과(HIV 백신 반복 접종 후 면역 복합체 항체 형성 및 면역 반응 변화, Anti–immune complex antibodies are elicited during repeated immunization with HIV Env immunogens)는 2025년 1월 17일 자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면역학(Science Immunology)'에 게재되었다.


 

 

기도 막혔을 때, 올바른 대처 방법 (feat. 하임리히법)

설을 맞아 쫄깃한 떡국을 비롯해 다양한 명절 음식을 차려먹는 이들이 많다. 그런데 아무리 맛있는 명절 음식이라고 해도, 충분히 씹지 않은 채 급하게 삼키는 것은 금물이다. 음식을 잘못 삼켜

mkpark02.tistory.com

 

 

여행 떠나는 만성질환자를 위한 3가지 꿀팁

일상에서 벗어나 휴식을 취하기 위해 해외여행을 떠나는 사람들이 적지 않다. 즐거운 마음으로 여행을 떠나는 대부분의 사람들과는 달리, 만성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들은 ‘멀리 여행을 떠나도

mkpark02.tistory.com

 

 

건선 피부염, 겨울철에 심해지는 이유와 관리법

겨울철이 되면 아토피, 건선, 지루성피부염, 습진, 두드러기 등 다양한 피부 질환이 특히 심해진다. 차가운 바람과 건조한 실내 환경은 피부를 쉽게 건조하게 만들어 피부 장벽을 약화시키고, 그

mkpark02.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