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관리/생활습관

신체 활동과 암 발병 간의 연관성 (feat. 강도보다 총량이 중요)

by 트렌디한 건강 상식 2025. 4. 29.
반응형

신체 활동과 암 발병 간의 연관성 (feat. 강도보다 총량이 중요)
신체 활동과 암 발병 간의 연관성 (feat. 강도보다 총량이 중요)

 

일상 속 신체 활동량과 걸음 수가 많을수록 암 발생 위험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국립보건원(NIH) 산하 국립암연구소(National Cancer Institute)와 영국 옥스퍼드 대학 공동 연구팀은 UK 바이오뱅크에 참가한 성인 8만 5,394명을 대상으로 신체 활동과 암 발병 간의 연관성을 분석했다.

 

참가자들은 손목에 착용하는 가속도계를 7일간 착용해 하루 동안의 전체 신체 활동량, 좌식 행동(SB), 저강도 신체 활동(LIPA), 중・고강도 신체 활동(MVPA), 하루 걸음 수 등을 측정했다. 이후 평균 5.8년간 암 발생 여부를 추적 관찰했다.

 

연구진은 이전 연구에서 신체 활동 부족과 관련이 있다고 알려진 13종의 암(대장암, 유방암 등)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분석 결과, 하루 총 신체 활동량이 가장 높은 집단은 가장 낮은 집단에 비해 암 발생 위험이 26% 낮았다(HR=0.74, 95% CI 0.65~0.84).

 

특히 저강도(LIPA, HR=0.94) 및 중・고강도(MVPA, HR=0.87) 신체 활동 모두 암 위험을 낮추는 데 효과가 있었지만, 좌식 행동(SB)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연관이 없었다. 좌식 시간을 줄이고 같은 시간만큼 가벼운 활동이나 중강도 활동으로 대체할 경우 암 예방 효과가 더욱 커지는 것으로 분석됐다.

 

하루 걸음 수도 암 위험과 유의한 관련이 있었다. 하루 7 천보를 걷는 사람은 5 천보 대비 암 위험이 11% 낮았고(HR=0.89), 9 천보를 걷는 사람은 16% 낮았다(HR=0.84). 다만, 걸음의 ‘강도’(예: 분당 걸음 수 최고값)는 전체 걸음 수를 보정한 후에는 암 발생과 유의미한 관련이 없었다.

 

반응형

연구의 감독을 맡은 옥스포드 대학의 에이든 도허티(Aiden Doherty) 교수는 “이번 연구는 신체 활동량과 암 예방 사이의 연관성을 가속도계라는 객관적인 장비로 확인한 첫 대규모 연구”라며 “강도 높은 운동이 아니더라도, 단순히 더 많이 움직이는 것만으로도 암 위험을 낮출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특히 하루 9 천보 수준까지는 걸음 수가 늘어날수록 암 예방 효과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라고 강조했다.

 

이 연구 결과(일일 총 신체 활동량과 강도, 걸음 수와 암 발생 위험 간의 연관성: UK 바이오뱅크 자료 기반 분석, Amount and intensity of daily total physical activity, step count and risk of incident cancer in the UK Biobank)는 지난 26일 국제학술지 ‘영국 스포츠 의학 저널(British Journal of Sports Medicine)’에 게재됐다.


 

 

환절기 목 통증과 고열, 감기 아닌 급성 편도염이 원인

꽃샘추위가 찾아오는 봄 환절기에는 큰 일교차와 면역력 저하로 인해 각종 감염병에 쉽게 노출된다. 특히 기온 변화로 인해 호흡기 점막이 약해지면 바이러스나 세균이 침투하기 쉬워 목 통증

mkpark02.tistory.com

 

 

강박적 체중 감량이 낳은 뼈말라와 프로아나 (feat. 다이어트)

다이어트는 평생의 숙제라고 불릴 정도로 수많은 이들의 관심사다. 사실 BMI 지수가 정상 범위이고 체지방량도 정상이라면 다이어트가 꼭 필요한 상태는 아니지만, 더 예뻐 보이고자 하는 마음

mkpark02.tistory.com

 

 

환절기에 심해지는 질염의 원인과 유형, 주요 증상 및 예방법

일교차가 커지는 환절기에는 면역력이 쉽게 저하되면서 여성의 질 건강에 적신호가 켜지기 쉽다. 특히 '여성의 감기'라 불리는 질염은 흔히 발생하는 질환으로, 성인 여성의 50% 이상이 평생에

mkpark02.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