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관리/음식

당근 섭취 통한 당뇨병 혈당 조절 효과 가능성 확인

by 트렌디한 건강 상식 2025. 1. 27.
반응형

당근 섭취 통한 당뇨병 혈당 조절 효과 가능성 확인
당근 섭취 통한 당뇨병 혈당 조절 효과 가능성 확인

 

덴마크 오덴세 대학교 병원(Odense University Hospital)과 남덴마크 대학교(University of Southern Denmark) 연구팀은 제2형 당뇨병(T2D)에 걸린 쥐 실험을 통해 당근 섭취가 혈당 조절 및 장내 미생물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연구 결과, 고지방 식이(HFD)에 10%의 당근 가루를 추가한 그룹에서 혈당 조절 능력이 개선되고 장내 미생물총의 다양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는 16주간 진행됐으며, 수컷 쥐를 대상으로 저지방 식이(LFD), 고지방 식이(HFD), 고지방 식이에 10% 당근 가루를 추가한 식이를 제공했다.

 

연구팀은 실험 종료 후 구강 내 포도당 부하 검사(OGTT), 장내 미생물총 분석, 조직 샘플의 유전자 발현 검사를 진행했는데, 연구 결과, 고지방에 당근 가루를 추가한 집단은 시행 30분 후 혈당 수치가 유의미하게 낮았으며, 초기 혈당 상승폭 또한 완화되었다.

 

장내 미생물총 분석 결과에서는 고지방 식이에 당근 가루를 추가한 그룹에서 유익균의 다양성이 증가했으며, 단쇄지방산(SCFA) 생성 균주(Anaerostipes, Ruminococcus, Eubacterium 등)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장내 염증 완화 및 인슐린 감수성 개선과 관련된 결과로 해석된다.

 

반면, 근육 및 지방 조직에서 주요 혈당 관리 관련 인자(GLUT4, TNF-α, PPARγ, UCP1 등)의 유전자 발현에는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반응형

연구를 주도한 모르텐 코벡-라르센(Morten Kobaek-Larsen) 박사는 "이번 연구를 통해 당근 섭취가 혈당 조절 및 장내 미생물총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확인되었다"라고 밝혔다. 그는 "특히 당근에 포함된 생리활성 화합물이 장내 미생물총을 조절해 혈당 항상성 유지에 기여할 가능성이 있다"며, "향후 인체 대상 연구를 통해 효과를 보다 명확히 검증할 필요가 있다"라고 설명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제2형 당뇨병 마우스 모델에서 당근 섭취가 포도당 내성, 미생물군 및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arrot intake on glucose tolerance, microbiota, and gene expression in a type 2 diabetes mouse model)는 미국 과학 저널 '임상 및 중개 과학(Clinical and Translational Science)'에 게재되었다.


 

 

다이어트 중 먹을 수 있는 7가지 디저트

다이어트 중에도 고칼로리의 달콤한 디저트를 즐기고 싶은 욕구를 완전히 무시하기란 쉽지 않다. 그러나 달고 칼로리가 높은 식품을 자주 섭취하다 보면 다이어트라는 목표 달성에 방해가 될

mkpark02.tistory.com

 

 

설연휴에 건강을 지켜줄 4가지 1월 제철 음식

농림축산식품부와 해양수산부가 1월 제철 농수산물 일곱 가지를 선정했다. 이에 설 연휴에 술을 마시거나 탄수화물, 지방 함량이 높은 음식을 섭취할 예정이라면 참고할 가치가 있는 네 가지 농

mkpark02.tistory.com

 

 

손가락 관절통 유발하는 4가지 질환 (feat. 쑤시고 뻐근한 손마디)

현대인들은 컴퓨터와 스마트폰 사용, 가사 노동 등으로 생활 속에서 손을 끊임없이 사용하곤 한다. 그 탓에 손 주변의 통증을 흔히 경험하곤 하는데, 특히 손가락 관절이 쑤시듯 불편한 느낌이

mkpark02.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