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항생제4

감기인 줄 알았는데 감염성 심내막염 (feat. 고령일수록 주의) 몸이 으슬으슬하고 열이 난다면 일반적인 감기를 떠올리기 쉽다. 그런데 판막 질환이 있거나 류마티스열을 앓은 경험이 있는 고령층이라면, 감기 증상이 나타날 때 감염성 심내막염을 의심해 볼 수 있다. 감염성 심내막염은 심장의 내막에 들어온 세균이 염증을 일으키는 병으로, 고령환자의 비율이 높고 전체 환자 수도 증가하는 추세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2023년 급성 및 아급성 감염성 심내막염 환자 중 61.3%가 60세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환자 수는 2013년 약 1,400명에서 2023년 2,500 여 명으로 약 75% 늘었다. 감염성 심내막염은 치료 시기를 놓치면 여러 합병증을 유발하고 방치 시 사망에 이를 수 있는 질환이므로, 증상과 경과를 미리 알아두는 것이 좋다. 1. 열나고 입맛 떨어져….. 2025. 1. 3.
겨울 불청객 부비동염 증상 확인 방법 (feat. 코막힘에 누런 콧물 지속) 춥고 건조해지는 겨울에는 코막힘, 콧물 등 코 관련 질환으로 답답함을 호소하는 이들이 늘어난다. 일반적으로 기온이 낮아지는 계절에 흔히 겪는 감기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증상이 4주 이상 지속된다면 부비동염을 의심해 볼 수 있다.  부비동염은 특히 소아 및 아동에게서 흔하게 나타난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자료에 따르면 2022년 기준 급성 및 만성 부비동염 전체 환자 수는 393만 6,499명이었으며, 이 중 9세 이하 소아 및 아동은 121만 5,861명으로 전체 환자 수의 약 31%를 차지했다. 무엇보다 부비동염은 감기나 비염으로 혼동되어 진단이 늦어지는 경우가 많은데, 적절히 치료하지 않으면 만성화되거나 눈 주위 감염, 중이염, 뇌수막염 등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치료와 관리를 통해 회.. 2024. 12. 2.
항생제 복용하는 방법 (feat.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수많은 생명 살린 기적의 약) 항생제는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수많은 생명을 구하며 '기적의 약'이라고 불렸다. 지금도 항생제는 인류의 건강에 큰 공헌을 하고 있지만 무분별한 항생제 사용은 오히려 심각한 문제를 일으켜 인류를 위협하고 있다. 그렇다면 항생제는 어떻게 사용해야 할까? 1. 항생제를 주의해서 써야 하는 이유항생제는 미생물이 생성한 물질로 다른 미생물의 성장을 저해하여 항균작용을 나타내며 인체에 침입한 세균의 감염을 치료한다. 그러나 무분별한 항생제 사용은 내성 문제를 일으킨다. 항생제의 내성이 확산되면 작은 상처로 생긴 염증에 생명을 잃을 수 있으며, 암 치료, 수술과 같은 의료 행위나 폐렴과 중이염 같은 질병들도 치료할 수 없게 된다. 2. 올바른 항생제 사용법항생제 복용 후 증상이 나아졌다고 해서 임의로 복용을 끊어서는.. 2024. 9. 2.
방귀를 자꾸 뀌는 사람들의 특징 10가지 1. 배추과의 채소를 먹을 때 브로콜리, 케일, 방울 양배추, 양배추 등과 같은 배추과의 채소류는 방귀를 유발하는데, 이 채소류는 우리가 자체적으로 소화하지 못하고 내장에 있는 박테리아가 소화를 시킨다. 이 과정에서 부산물로 가스가 발생한다. 2. 유당불내증이 있을 때 많은 사람들이 유제품을 소화하지 못하는 유당불내증을 갖고 있다. 나이가 들수록 유당 소화를 돕는 효소를 잃는다. 한 주 동안 치즈를 끊었다가 먹기 시작했을 때 지독한 방귀가 나온다면 당신은 유당불내증일 확률이 높다. 3. 음식 알레르기가 있을 때 글루텐에 민감한 사람들은 배가 부풀어 오르고 끊임없이 방귀를 뀌는 등의 증상을 보인다. 또 과일에 들어있는 천연 당분이 또 다른 가스 촉매제가 될 수 있다. 4. 인공 감미료를 먹을 때 당신이 칼.. 2023. 6. 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