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한자어2

나이별로 다르게 부르는 한자어 (feat. 살아온 년수를 지칭하는 나이) 나이를 물을 때 '너 몇 살이지?' '살'은 '살다'에서 그 어원을 찾을 수 있겠네요. 살아온 연수(년수)를 지칭하는 우리말은 '나이'입니다. '나이'와 같은 평어(일반어)로는 '연령(年齡), 연식(年食)'등이 있네요. '나이'의 높임말은 '연세(年世), 춘추(春秋), 연치(年齒)'등 한자어가 대부분입니다. 자기 '나이'를 낮추어 겸손하게 부르는 '견마지년(犬馬之年 개나 말의 나이)'라는 말이 있어요. 나이별로 다르게 부르는 한자어를 알아볼까요? 1. 0~1세 (갓 태어난 아이) 득남(得男), 득녀(得女)​라는 말은 처음에 태어날 때 남자아이와 여자아이를 부르는 말 농장(弄璋) : 아들은 옥구슬(璋)을 가지고 놀기에 붙여진 이름 농와(弄瓦) : 딸은 기와(瓦)를 깨어 공기놀이 하는 것을 상상하면 될까요?.. 2023. 9. 20.
웃음이 건강에 미치는 의학적 효과 5가지 (feat. 한자 웃음 이야기) 1. 웃음이 건가에 미치는 의학적 효과 5가지 웃음이 보약이라는 의학적인 증거 5가지와 함께 웃음이 건강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서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웃을 때 복부에 자극 자지러질 듯 웃을 때 우리는 '배가 아프다.'라는 표현을 사용하는 것인데 이것은 실제 웃음을 통해 복부에 자극이 갔다는 증거입니다. 격렬한 웃음은 복근을 포함한 몸의 중심 부위를 자극해, 칼로리를 연소시켜 줍니다. 이로 인해 여러분의 허리 사이즈가 줄어들 수 있게 됩니다. 2) 혈액 순환 증진 웃음은 심장의 움직임을 평소보다 격렬하게 만들어, 혈액 순환을 증진시키고 심근 강화에 도움이 되며, 이런 심장운동은 심혈관 질환 예방에도 효과가 있습니다. 3) 면역 시스템 증강 웃음은 면역력을 담당하는 세포들을 자극해, 면역 시스템을 .. 2023. 7. 1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