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한국37 일본에 이어 국내에서도 매독 주의보 발령 (feat. 감염 경로와 치료법) 일본에서 매독 감염 환자가 급증한 데 이어, 국내 매독 환자도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질병관리청에서 발표한 성매개감염병 신고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성매개 감염병은 전년 동월 대비 22% 증가했으며 그중 매독 신고 수는 15% 증가(222건) 한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청은 증가세에 대한 대응 및 모니터링을 강화하기 위해 2024년 1월 1일부터 매독을 전수감시 대상인 3급 감염병으로 지정했다. 감염내과 교수는 “매독의 경우 감염 위험을 간과하다가 3기 매독이나 신경매독, 안구 매독 등으로 진행하는 경우가 있어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라고 설명했다. 1. 매독은 성관계로만 감염?... “안구표면·상처·수혈도 감염의 원인”성매개감염병 중 하나인 매독은 나선상세균인 트레포네마 팔리듐(Trep.. 2025. 2. 20. 위고비가 몰고 온 글로벌 비만 치료제 열풍 전 세계적으로 비만 인구가 급증함에 따라, 이를 해결하기 위한 비만 치료제 시장도 확대일로다. 탁월한 체중 감소 효과를 인정받은 노보노디스크사의 비만 치료제 '위고비'가 마침내 국내에 출시되며 국내 시장도 술렁이고 있다. 1. 비만 위기 시대, 비만 치료제가 게임체인저 될까?최근 몇 년 간 비만은 전 세계에서 심각한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의 발표에 따르면, 전 세계 비만 인구는 10억 명 이상으로 1990년 이후 2배 넘게 증가했다. 비만은 단순한 미용적 문제가 아니라, 심혈관 질환, 당뇨병, 일부 암 등 다양한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어 공중보건에 미치는 영향이 막대하다. 한국도 예외는 아니다. 대한비만학회가 발표한 ‘비만 팩트시트 2024’에 따르면, 최근 10년간 비만 유병률은 .. 2024. 12. 12. 요즘 핫한 비만치료제 위고비의 효과와 부작용 지난 15일 국내 정식 출시된 '위고비(Wegovy)'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위고비는 덴마크 제약사인 노보노디스크가 당뇨 치료를 목적으로 개발한 약이지만, 체중 감량 효과가 알려지면서 비만 치료제로 세계적인 주목을 받고 있다. 위고비의 주성분은 세마글루타이드로, 혈당 및 식욕 조절에 관여하는 GLP-1(Glucagon-like Peptide-1) 호르몬과 유사한 작용을 해 식욕을 억제하고 체중 감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각종 부작용과 오남용에 대한 우려도 이어지고 있다. 품귀 현상이 생길 정도로 인기를 끌고 있는 위고비의 다양한 효과와 부작용, 주의할 사항들을 짚어봤다. 1. 위고비, 어떤 효과 있길래?위고비 열풍에 영향을 미친 대표적 유명인으로는 테슬라 CEO 일론 머스크, 할리우드 스타 .. 2024. 10. 23. 나트륨 줄이는 3가지 조리법 (feat. 짠 음식을 선호하는 식습관이 건강을 해치는 주범) 나트륨은 체내에서 수분을 유지하고 전해질 균형을 맞추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나트륨을 과도하게 많이 섭취할 경우 신장과 혈관에 과부하가 걸리고, 비만과 각종 만성질환을 유발하기도 한다. 짠 음식을 선호하는 식습관이 건강을 해치는 주범으로 지목되는 이유다. 1. 여전히 짜게 먹는 한국인… 나트륨 권고량 대비 1.5배 많이 섭취사실 한국인의 나트륨 섭취량은 매년 줄어드는 편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처가 2018~2022년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를 토대로 한국인의 하루 평균 나트륨 섭취량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2022년 기준 우리 국민의 하루 평균 나트륨 섭취량은 3,074mg으로 나타났다. 2018년에는 3,274mg 정도의 나트륨을 섭취한 것에 비해 6.1% 감소한 것이다. 그럼에도 여전히 나트륨 섭.. 2024. 10. 2. 나라별 대표적인 발효식품 (feat. 한국, 이탈리아 그리고 프랑스) 곰팡이나 효모 등 미생물이 성장하고 대사 과정을 거치면서 만든 발효식품. 발효식품에는 이로운 미생물이 풍부하고, 특유의 풍미와 식감을 가지고 있다. 나라별 대표적인 발효식품에는 어떤 것들 것 있는지 알아본다. 1. 한국의 ‘김치’배추와 고춧가루, 마늘, 젓갈 등을 버무린 뒤 발효시키면, 매콤하고 감칠맛 나는 김치가 완성된다. 김치 속에 풍부한 유산균은 음식물의 소화와 흡수를 도와 장 내 환경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김치는 훌륭한 다이어트 식품으로도 꼽힌다. 주재료인 배추는 식이섬유가 풍부해 포만감을 주고, 고추의 캡사이신 성분과 마늘의 알리신 성분은 신진대사를 활발하게 해 지방을 연소시키는 효과가 있기 때문. 이 밖에도 부원료인 파, 생강 등에는 알리신, 진저롤 등의 생리활성 물질이 들어 있어 면역력 .. 2024. 9. 22. 성묘나 벌초 작업 중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 주의사항과 대처법 민족의 대명절 '추석'이 다가오고 있다. 추석을 앞두고 조상의 산소에 우거진 잡초 등을 제거하는 벌초나 일찌감치 성묘를 다녀오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이런 때일수록 성묘나 벌초 작업 중 발생하는 안전사고에 유의해야 한다. 성묘나 벌초 작업 중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 주의사항과 대처법을 소개한다. 1. 성묘·벌초 작업에 필요한 복장산에는 많은 벌레와 진드기가 서식하고 있다. 따라서 피부를 보호할 수 있는 긴 팔과 긴 바지를 입는 것이 좋다. 스카프나 수건으로 목을 감싸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예초기를 사용한다면 보호 안경이나 목이 긴 장화, 무릎 보호대, 마스크 등의 안전 장구를 갖춰 신체를 보호해야 한다. 성묘나 벌초 도중 벌의 접근을 막기 위해 강렬한 색상의 옷이나 진한 향수, 단내 나는 음식 등은 .. 2024. 9. 16. 평소에 몰랐던 향긋한 깻잎의 효능 (feat. 다이어트 효과까지?) 향긋함이 매력적인 깻잎. 깻잎은 예로부터 한국과 중국, 인도를 비롯한 아시아 지역에서 주로 재배했는데요. 식용으로 먹는 것은 우리나라가 유일합니다. 찌개나 탕, 볶음요리에 빠지지 않는 채소고요. 무침이나 장아찌 같은 밥반찬으로 먹기도 하죠. 깻잎 특유의 씁쓸한 듯 산뜻한 향은 음식의 풍미를 한층 높여주는데요. 이 향은 페릴 케톤(Perill keton)이라는 정유 성분에서 나옵니다. 정유 성분이란, 식물 농축액의 일종으로 향을 지닌 방향 화합물인데요. 깻잎의 페릴 케톤은 항염, 항균, 방부제 작용을 해서 식중독을 예방하고요. 음식의 비릿한 맛을 잡아주는 역할도 합니다. 생선회나 고기를 먹을 때 깻잎을 곁들이는 이유죠. 이와 더불어 페릴 케톤은 체중관리에도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식욕을 억제할 뿐만 아니.. 2024. 9. 15. 전자파 노출 줄이는 방법 (feat. 뇌종양 발생 위험 2.5배) 여름철 무더위에 야외에서 휴대용 선풍기를 사용하는 사람들을 흔히 볼 수 있다. 그러나 최근 휴대용 선풍기에서 방출되는 전자파가 허용치를 초과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휴대용 선풍기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가전제품에서 방출되는 ‘전자파’란 무엇이며, 노출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어떤 방법이 있을까? 1. 전자파는 어떻게 발생할까우리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단어인 전자파는 전자기파(Electromagnetic Wave)를 줄여서 부르는 말로, 주기적으로 세기가 변화하는 전자기장(전기장, 자기장)이 전파해 나가는 파동 현상을 의미한다. 전자파는 태양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하기도 하고, 지구의 자기장에서도 생긴다. 인위적으로는 통신망, 전깃줄, 철도, 가전제품, 군사시설 등 일상생활 속 다양한 환경에서 발생한다. 자외.. 2024. 8. 19. 매운 맛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feat. 매운 음식 잘 먹는 사람) K-음식의 대표적인 특징 중 하나는 ‘매운맛’이다. 소셜 미디어에서는 매운 음식을 먹는 챌린지가 유행하면서 전 세계 사람들의 ‘맵부심(매운 것을 잘 먹는 자부심)’을 자극하기도 한다. 국내에서는 매운 음식을 잘 먹는 사람을 ‘맵잘이’, 잘 먹지 못하는 사람은 ‘맵찔이’라고 부르는 신조어까지 탄생했다. 그렇다면 맵잘이와 맵찔이는 왜 나눠질까? 정답은 세포 속에 있다. 세포 속에 존재하며 통증을 관할하는 ‘TRPV1 수용체’의 개수에 따라 매운 음식을 잘 먹는 정도가 달라진다. 매운맛은 사실 ‘맛’이 아닌 ‘통증’이기 때문이다. TRV1 수용체는 매운맛을 내는 성분에 반응하며, 수용체가 자극되면 통증을 느낀다는 신호를 뇌에 전달한다. 따라서 입속 TRPV1 수용체가 많은 사람일수록 매운맛으로 인한 통증을 많.. 2024. 7. 23. 이전 1 2 3 4 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