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학생3 등교 거부하는 아이, 새학기증후군의 대처방법 새 학기가 되면, 이전과는 다른 새로운 환경에서 새로운 친구를 사귀면서 들뜬 아이들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그런가 하면, 어떤 아이들은 낯선 환경에서 부담을 느끼면서 학교에 가는 것을 불안해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이처럼 개학이나 입학과 함께 아이들에게 스트레스와 정서적 어려움이 함께 덮치는 것을 두고 ‘새학기증후군’이라고 하는데, 보호자의 적절한 대응이 없다면 학기 전체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만큼 주의해야 한다. 새학기증후군이란 무엇인지,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알아보자. 1. 새학기증후군, 심리적 변화뿐만 아니라 신체 증상도 동반새학기증후군은 아이가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과도한 스트레스를 받으며 발생하는 신체적·정신적 증상으로, 일종의 적응장애에 해당한다. 정신건강의학과 상담의사.. 2025. 3. 30. 엉덩이 싸움은 그만, 전략적 수능 준비 (feat. 집중력 있게, 컨디션을 챙기며 효율적) 2025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하 수능)이 다가오고 있다. 이번 수능은 재수생을 비롯한 ‘N수생’이 21년 만에 가장 많고, 의대 증원 정책 등의 영향으로 상위권 N수생이 몰릴 것으로 예상된다. 이맘때면 수험생들은 막판 스퍼트에 집중한다. 공부는 엉덩이 싸움이라는 말에 평소보다 무리하는 경우도 적지 않은데, 절대적인 시간에 매몰되기보다 학습의 질을 챙길 필요가 있다. 이제 중요한 것은 얼마나 오래 했느냐 보다 얼마나 집중력 있게, 컨디션을 챙기며 효율적으로 했느냐다. 1. 코앞으로 다가온 수능, 집중력 떨어뜨리는 요인은?오래 앉아 있다 보면 자세가 망가지며 허리와 목, 어깨 등에 통증이 생기기 쉽다. 통증은 그 자체로도 주의력을 떨어뜨리는 요인이며, 수면의 질을 저하시켜 집중력에 악영향을 준다. 따라서 .. 2024. 9. 28. 3권의 책과 교원의 정치기본권에 대하여 (feat. 죽은 교사의 사회) 존경하는 차승민 선생님의 책 '죽은 교사의 사회'를 읽고 있습니다. 학교 교사들은 애들 대충 가르치잖아, 애들한테 무관심하잖아, 학교폭력이 일어나도 은폐하려 들잖아 등등의 사회적 기대에 부응이라도 하듯이 받은 만큼만 가르치자는 분위기가 교직 사회에 널리 퍼지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타인이 기대가 개인을 비롯한 집단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데이비드 롭슨 David Robson이라는 과학전문 저널리스트가 The Expectation Effect라는 책으로 잘 설명하고 있습니다. 교직에 종사하는 교사들이 처한 깊고 깊은 절망적인 현실을 만든 개인과 사회적 요인이 무엇인지를 차승민 선생님은 25편의 영화 이야기를 빌려서 소개하고 있습니다. 날마다 교실에서 아이들을 만나는 교사들이 이야기가 널리 알려진 영화와 비.. 2024. 4. 4.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