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칫솔4

매일 쓰는 생필품의 교체 주기 (feat. 베개, 이불 및 칫솔) 우리가 집에서 매일 사용하는 생필품은 사실 권장 교체 주기가 있는 소모품이다. 아무리 겉으로 보기엔 멀쩡해 보여도 오래 쓰게 되면 균이 증식하기 쉬워지고, 건강에도 좋지 않다. 사용 환경과 습도 등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평균적으로 권장되는 생필품의 교체 주기에 대해 알아봤다. 1. 베개, 1~3년마다 교체베개는 머리와 얼굴을 직접 대기 때문에 잘 때 흘린 땀이나 각질, 세균 등이 쌓이기 쉽다. 이 때문에 알레르기 질환이 생기거나 여드름 등 피부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때문에 권장 교체 주기는 1~3년이다. 특히, 베개가 합성 폴리에스테르섬유로 만든 제품이라면 매년 교체하는 것이 좋다. 사용하는 동안은 1~2달에 한 번씩 세탁하는 것이 좋다. 2. 이불, 5년마다 교체베개와 마찬가지로 이불에도 각질과 .. 2024. 10. 9.
혀를 닦을 때마다 헛구역질을 하는 이들 (feat. 소화기 건강에 악영향) 혀를 닦을 때마다 헛구역질을 하는 이들이 있다. 혹자는 칫솔을 깊숙이 넣어 헛구역질이 나와야 꼼꼼하게 닦은 것 같고 시원하다고 하기도 한다. 그러나 반복적인 헛구역질은 소화기 건강에 악영향을 줄 수 있어 지양하는 것이 좋다. 1. 혀를 닦으면 왜 헛구역질이 나올까?양치질을 할 때, 특히 칫솔이 혀 깊숙이 들어갔을 때 헛구역질이 나오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이는 구역반사에 의한 것으로, 음식이나 각종 이물질 등이 기도로 넘어가지 않도록 몸이 반응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역반사는 대개 혀 뒤쪽 3분의 1에 해당하는 부위를 건드리면 나타난다. 구역반사로 헛구역질을 하는 것은 우리 몸이 외부 자극에 건강하게 잘 반응하고 있다는 신호지만, 반복될 경우 문제가 된다. 대표적인 문제가 역류성 식도염이다. 역류성 .. 2024. 7. 12.
필수로 알아야 하는 생필품 교체 주기 (feat. 수건, 칫솔, 샤워타월 및 수세미) 수건, 샤워타월, 칫솔 등. 우리 몸에 직접 닿는 것은 적정 주기로 교체해야 한다. 제 기능을 하지 못할뿐더러 건강에도 적신호가 켜질 수 있어서다. 생필품의 적절한 교체 주기와 올바른 사용법을 알아본다. 1. 건강을 위한 생필품 교체 주기1) 칫솔칫솔은 3개월마다 교체해 주는 것이 좋다. 칫솔을 오래 사용하면 칫솔모가 휘어지고 벌어져 플라그와 찌꺼기를 제대로 제거하지 못하기 때문. 또 잇몸이 손상될 위험도 높아진다. 따라서, 3개월마다 교체하는 것이 좋으며, 3개월이 되지 않았더라도 칫솔모가 마모되고 휘어져 있다면 교체가 필요하다. 아울러, 이는 칫솔질의 강도가 너무 강하다는 신호이므로 칫솔질 강도에 대한 점검도 필요하다. 2) 샤워타월샤워타월에는 피부의 묵은 각질과 세균이 그대로 남아 있는 경우가 많다.. 2024. 6. 7.
칫솔, 세균 없이 깨끗하게 관리하는 방법 (feat. 올바른 보관 방법) 올바른 칫솔질의 중요성은 많은 이들이 알고 있다. 그런데 올바른 칫솔질만큼 중요하지만, 많은 이들이 놓치는 하나가 있다. 바로 '칫솔을 올바르게 보관하는 방법'이다. 1. 칫솔을 올바르게 보관하는 방법칫솔을 사용한 후 올바르게 보관해야 칫솔에 세균이 번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세균 번식을 최소화하고 칫솔을 깨끗하게 유지하는 방법을 알아본다. 1) 흐르는 물에 깨끗이 씻기양치를 끝낸 후에는 칫솔을 흐르는 물에 깨끗이 씻어야 한다. 칫솔에 음식 찌꺼기나 치약이 남았는지 확인하고, 만약 남아 있다면 이를 꼼꼼하게 닦아준다. 2) 건조한 장소에 보관하기칫솔을 사용한 후에는 충분히 건조해야 한다. 젖은 상태는 세균이 번식하기 쉽기 때문이다. 따라서 습도가 높은 화장실에 보다는 통풍이 잘되는 다른 곳에 보관하.. 2024. 4. 3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