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중성2

중성지방 수치를 낮추기 위한 3가지 생활습관 LDL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은 혈관 건강을 해치는 주원인으로 지목되곤 한다. 이 중에서도 중성지방은 식습관과 운동 등 생활습관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는 만큼, 평상시 꾸준한 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하게 꼽힌다. 중성지방 수치는 150mg/dL 미만일 때 정상으로 보며, 200mg/dL 이상인 경우라면 혈중 지질 수치에 이상이 있음을 의미하는 ‘이상지질혈증’ 중에서도 ‘고중성지방혈증’으로 진단할 수 있다. 그렇다면 혈중 중성지방 수치를 조절하지 않으면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중성지방 수치를 낮추기 위해서는 어떤 생활습관을 실천해야 하는지 자세히 알아보자. 1. 높은 중성지방 수치는 복부비만의 주범… 심혈관질환, 급성 췌장염까지 불러중성지방은 체지방의 약 90%를 이루고 있는 지방의 종류로, 체내에서 자연스럽게.. 2025. 2. 11.
의대 및 간호대생, 과민성 대장 증후군 유병률 2배 증가, 증상과 관리법 의과대학과 간호대학 학생들의 과민성 대장 증후군(IBS irritable bowel syndrome) 발병률이 일반인보다 더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최근 국제 학술지 'JNM(Journal of Neurogastroenterology and Motility)'에 게재된 인제대학교 부산 백병원 이홍섭 교수 연구팀 자료에 따르면, 의대생과 간호대생 440명을 대상으로 과민성 대장 증후군의 2가지 진단 기준을 적용해 조사한 결과 이들은 만성 복통이나 불편감을 느끼는 경우가 일반인에 비해 2배가량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들은 이에 대해 과도한 학업량과 심리적 부담감, 수면 부족 등 다양한 스트레스 요인으로 인해 과민성 대장 증후군이 일반인보다 더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과민성 대.. 2024. 11. 1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