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파2

멈추지 않는 기침, 125만 명 목숨 앗아간 결핵 일교차가 커지면서 기침하는 이들이 늘고 있다. 면역력이 떨어져 감기에 걸린 것이 원인인 경우가 많지만, 2~3주 이상 기침이 지속된다면 결핵을 의심해 봐야 한다. 결핵은 주로 개발 도상국에서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우리나라는 2023년 기준 OECD 회원국 중 결핵 발생률 2위, 사망률 4위에 머물러 있어 안심할 수 없다. 이에 더해 최근 전 세계적으로 결핵 환자 수가 늘었다는 보고서가 나오면서 결핵 예방 및 치료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1. 여전히 위협적인 결핵, 방심 말아야세계보건기구(WHO)가 29일(현지 시각)에 발표한 ‘2024년 세계 결핵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125만 명이 결핵으로 사망하면서, 결핵이 코로나19를 제치고 다시 한번 전염병 사망 원인 1위로 복귀했다. 환.. 2024. 11. 2.
과학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단상 (feat. 좋은 콘텐츠로 대중의 과학화) 최근부터 애매한 문제의 소지가 커지고 있다고 보고 있는 것이 과학 커뮤니케이션이다. 당연히 기본적으로 과학이든 어떤 분야든, 그것을 업으로 삼고 있지 않은 사람들 중, 그것에 대해 알고자 하는 사람들이 있다면 그들을 대상으로 커뮤니케이션이라는 중간다리 역할은 늘 필요하고, 실제로 사회에서도 그러한 수요가 시장을 만들어낸다고 생각한다. 과학의 경우 과학 커뮤니케이션의 역사는 영국의 크리스마스 강연 같은 행사로까지 올라갈 것이고, 그 이후에도 근대과학의 전통이 일찍 정착된 서구권에서는 과학자들이 자신의 전문적 연구뿐만 아니라, 톤 다운된 내용으로 책은 물론, TV 다큐멘터리든, 영화에서 짤막하게 출연하는 과학자 역할이든, 다양한 형식으로 대중과 소통하는 것은 쉽게 찾아볼 수 있는 문화의 일부가 되었다. 근대.. 2024. 5. 3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