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일잘러4 "사회생활 진짜 잘한다.", 칭찬받는 사람의 특징 (feat. 일잘러) 1. 모르면 열심히 따라 하고 배운다. 2. 질문해야 할 때, 농담해야 할 때 등 치고 빠지는 타이밍을 안다. 3. 늘 청결하고 단정하다. 4. 시간 약속을 칼같이 지켜서 다른 사람에게 민폐 끼치지 않는다. 5. 개떡같이 말해도 찰떡같이 알아듣는다. 6. 표정이 밝고 긍정적이다. 7. 생일, 진급 등 무심히 지나칠 수 있는 기념일에 축하의 마음을 전한다. 8. 우유부단하지 않고 추진력 있다. “사회생활 진짜 잘한다.” “역시 일류는 다르네.” 감탄하게 만드는 사람들이 있다. 무슨 일이든 알아서 척척 잘 쳐내고 누구와도 물 흐르듯 어우러지는 사람. 그래서 가끔은 질투가 날 정도로 단연 돋보이는 사람 말이다. 일명 '넘사벽'이라고 불리는 캐릭터. 그렇다면 유능한 일머리는 물론, 서글서글한 인간관계 스킬까지 .. 2024. 4. 21. 업무를 몇 배는 잘 해내면서, 항상 시간적 여유도 있는 사람들의 특징 업무를 일반인보다 몇 배는 잘 해내면서, 항상 시간적 여유도 있는 사람들의 특징을 보면 이런 사람들은 세 가지를 더 잘합니다. 업무의 자동화, 제거 및 위임. (Automate, Eliminate, Delegate). 이 세 가지를 잘 다룬다면, '시스템 화'를 잘한다고 할 수 있죠. 1. 위임 (Delegate) 위임은 남에게 업무의 일부를 주는 거죠. 물론 위임할 사람이 있는, 즉 어느 정도 권한이 있는 시니어의 영역으로 보입니다. 내가 일을 붙잡고 있는 것보다, 팀원이나, 혹은 외부의 서비스에 위임을 잘하는 것으로 내가 책임지는 부서의 생산성이 실로 천차만별로 변하기 때문에, 위임은 곧 능력입니다. 내가 일하는 시간의 질보다 타인이 일을 잘하는 능력 (위임)이 성공에 더 결정적입니다. 그럼 일반 직.. 2024. 2. 25. 일을 잘하는 사람들의 행동은 무엇이 어떻게 다를까? (feat. 일잘러의 고찰) 탁월한 성과를 내는 사람들은 머릿속에 특별히 다른 무언가가 있어서가 아니라, 다르게 행동하기 때문에 더 나은 성과를 만들어냅니다. 즉, 그들은 재능을 ‘높은 생산성’으로 전환하는 행동 방법을 익혔기 때문에 더 탁월한 성과를 냅니다. 바꿔 말해, 이들은 측정 불가능한 영역에 있는 ‘타고난 재능의 유무’에 집착하는 것이 아니라, 측정 가능한 ‘생산성’과 ‘생산성 향상’에 집중합니다. 그러면 탁월한 성과를 내는 사람들은 생산성을 끌어올리기 위해 어떻게 행동할까요? 첫째, 주도적으로 움직입니다. 즉, 자신이 기꺼이 하고 싶은 일을 합니다. 그리고 이건 생산성을 끌어올리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입니다. 둘째, 지식 네트워크를 구축합니다. 즉, 더 나은 행동을 하기 위해 필요한 지식과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지적 네트워.. 2023. 8. 3. 일을 잘하는 사람들의 다르게 행동하는 7가지 방식 탁월한 성과를 내는 사람들은 머릿속에 특별히 다른 무언가가 있어서가 아니라, 다르게 행동하기 때문에 더 나은 성과를 만들어냅니다. 즉, 그들은 재능을 ‘높은 생산성’으로 전환하는 행동 방법을 익혔기 때문에 더 탁월한 성과를 냅니다. 바꿔 말해, 이들은 측정 불가능한 영역에 있는 ‘타고난 재능의 유무’에 집착하는 것이 아니라, 측정 가능한 ‘생산성’과 ‘생산성 향상’에 집중합니다. 그러면 탁월한 성과를 내는 사람들은 생산성을 끌어올리기 위해 어떻게 행동할까요? 첫째, 주도적으로 움직입니다. 즉, 자신이 기꺼이 하고 싶은 일을 합니다. 그리고 이건 생산성을 끌어올리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입니다. 둘째, 지식 네트워크를 구축합니다. 즉, 더 나은 행동을 하기 위해 필요한 지식과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지적 네트워.. 2023. 7. 30.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