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일본4

일본에 이어 국내에서도 매독 주의보 발령 (feat. 감염 경로와 치료법) 일본에서 매독 감염 환자가 급증한 데 이어, 국내 매독 환자도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질병관리청에서 발표한 성매개감염병 신고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성매개 감염병은 전년 동월 대비 22% 증가했으며 그중 매독 신고 수는 15% 증가(222건) 한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청은 증가세에 대한 대응 및 모니터링을 강화하기 위해 2024년 1월 1일부터 매독을 전수감시 대상인 3급 감염병으로 지정했다. 감염내과 교수는 “매독의 경우 감염 위험을 간과하다가 3기 매독이나 신경매독, 안구 매독 등으로 진행하는 경우가 있어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라고 설명했다. 1. 매독은 성관계로만 감염?... “안구표면·상처·수혈도 감염의 원인”성매개감염병 중 하나인 매독은 나선상세균인 트레포네마 팔리듐(Trep.. 2025. 2. 20.
일본에서 4년만에 유행하는 감염성 홍반 (feat. 임산부라면 각별히 주의) 최근 일본 도쿄를 중심으로 ‘감염성 홍반’이 유행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일본 NHK의 보도에 따르면 지난 2주 연속 감염성 홍반 환자 수가 경보 기준을 초과했으며, 2020년 이후 4년 만에 유행 조짐을 보이는 상황이다. 여행 시에도 감염에 주의가 필요할 전망인데, 감염성 홍반이란 어떤 질환인지 자세히 알아보자. 1. 얼굴 붉어지고 팔다리에 발진 생기는 것이 특징감염성 홍반, 혹은 전염성 홍반은 호흡기를 통해 전파되는 ‘파보바이러스 B19(parvovirus B19)’에 감염되었을 때 발생하는 질환이다. 주로 겨울철과 봄철에 발생하며, 특히 2세에서 15세 사이의 유아와 청소년에게서 자주 발생하는 편이다. 다만 성인도 바이러스에 감염될 수 있기 때문에 연령에 관계없이 주의가 필요하다. 감염성 홍반의.. 2024. 12. 4.
구매하는 모든 식료품의 라벨 확인 필수 (feat. 제품의 원산지 확인 방법) 구매하는 모든 식료품의 라벨을 꼭 확인하라. 전 세계는 지금 중국산 "검은마음상품"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 따라서, 중국 사업가들은 소비자들이 가능한 "MADE IN CHINA" 제품을 구매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에, 많은 제품들은 생산지를 최대한 감추고 유통업체만 알려준다. 상자나 패키지의 앞면이 뭐라고 쓰여있든, 상품 뒷면을 읽고 조심하라. 현재 식료품점과 마트 등에서 모든 식료품과 애완동물 제품을 살 때 중국산인지 라벨. 바코드를 확인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바코드 읽는 방법, 특히 식료품을 구매할 때 중국산이 아닌 제품을 구매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은, 바코드의 처음 3자리가 690, 691, 692라면, 그 제품은 중국산이다. 471은 대만산이다. 이것은 우리의 알 권리이지만, 정부와.. 2023. 12. 13.
알아두면 쓸데 있을까 하는.. 신박한 잡학사전: 3탄 1. 첫 번째 이야기 오늘부터 전기요금은 ㎾h당 8원, 가스요금은 MJ당 1.04원 인상된다. 이번 에너지요금 인상으로 4인가구의 월 전기·가스요금은 각각 3000원, 4400원 증가할 전망이다. 한전은 2021~2022년 2년간 38조 5000억 원의 누적 영업적자에 낸데이어 금년 1분기에도 6조 2000억 원의 영업적자를 기록했다. 가스공사의 미수금은 지난해말 8조 6000억 원이었는데 올 1분기에 3조 원이 더 늘어났다. 2. 두 번째 이야기 코나 커피는 요즘 인기 있는 하와이 커피다. 가격도 비싸다 하지만 자세히 보고 구매해야 한다. 왜냐하면 하와이 주정부가 1991년 코나 지역에서 생산한 커피가 10% 이상 들어가면 ‘하와이 코나’라 표기하고 팔 수 있게 한 ‘하와이 코나 커피 보호법’이 악용되.. 2023. 5. 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