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위기4

톨스토이의 인생이란 무엇인가? (feat. 위기와 기회) 어떤 젊은이가 길을 가다가 숲 속에서 뛰어나온 사자를 만났습니다. 갑자기 피할 길이 없자 젊은이는 우물을 발견하고 우물 벽에 자라고 있는 칡덩굴을 잡고 우물 속으로 몸을 피했습니다. 우물에 중간에 매달려 아래를 보니 우물은 메말라 있었습니다. 그런데 우물 바닥에는 독사들이 떼를 지어 우굴거리고 있는 것이 아니겠어요? 위에서는 사자가 내려다보고 으르렁거리고 아래는 독사가 우굴거리는 절박한 상황에서 가는 칡덩굴에 의지해 매달려 있는 젊은이... 아! 그런데 젊은이가 잡고 있는 칡덩굴을 무엇인가 갉아먹고 있는 것이 아닌가? 그것은 우물벽에서 나온 흰쥐와 검은 쥐였습니다. 바로 밤과 낮을 의미하는 흰쥐와 검은 쥐가 나타나 젊은이가 매달려 있는 생명줄을 갉아먹고 있는 절명의 위기 상황...... 그런데 이야기는 .. 2024. 2. 3.
심리학 분야에서 연구재현성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미국의 자정작용 사회과학, 특히 심리학 분야에서 지난 10여 년 간 연구재현성 위기 (reproducibility crisis)를 극복하기 위해 미국 학계에서 어떠한 자정작용이 벌어지고 있는지 요약한 시리즈 글이다. 흥미진진하면서 동시에 위기의식이 느껴진다. 재현성 위기는 사실 학문의 분야를 가리지 않는 산불의 불씨가 되고 있다. 자연과학이나 공학 분야라고 해서 사회과학보다 훨씬 낫다고 장담할 수 없다. 그나마 생명이 관여되지 않는 시스템이나 소재, 소자, 시뮬레이션 등이라면 불확실성이 덜하니까 그나마 재현율이 높긴 한데, 생명과학 분야는 연구자의 의도와 상관없이 생명 현상 자체의 intrinsic uncertainty가 있다는 것을 감안해야 한다. 자연과학이나 공학 분야에서의 재현성도 점점 위기라고 보이는데, 여전히 .. 2024. 1. 21.
인생을 살면서 다가오는 위기들을 대처하는 방법 (feat. 3개의 통) 인생을 살면서 다가오는 위기들을 대처하는 방법 (feat. 3개의 통) 다음과 같은 3개의 '통'을 가지고 인생을 살면서 다가오는 위기들은 결국 자신이 고민하고, 자신이 스스로 답을 찾아야 한다. 1) 공자의 '궁즉통': 힘든 일이 닥치면 한 판 붙는다. 2) 노자의 '허즉통': 자신을 비운다. 3) 손자의 '변즉통': 시대에 맞게 변한다. 좀 더 자세하게 말하면, 물질문명의 발달에 따른 풍요로운 생활 속에서 정신을 맑게 하고, 마음 씀씀이도 깊고, 넓게 그리고 높게 하는 삶의 지혜가 '3통'이다 1) 공자의 '궁즉통' 궁하면 통한다. 역경이 닥치면 바닥을 치고 올라온다. 군자고궁'(논어): 군자는 어렵고 궁할수록 더욱 강해지고 단단해진다. 2) 노자의 '무위자연'(도덕경) 인간은 자연에 순응하면서 자연.. 2023. 12. 1.
위기를 기회로 바꾸는 방법 10가지 (feat. 당황하지 말고 침착하게) 1. 원망하지 말라. 손해를 원망하기 시작하면 끝이 없다. 원망은 마음을 상하게 하고 결국은 자기만 남게 된다. 모든 결과를 받아들이는 마음의 준비가 반드시 필요하다. 2. 자책하지 말라. 후회와 반성은 지독하게 하되 한 번으로 족하다. 중요한 사실은 보란 듯이 다시 일어서는 일이기 때문이다. 괴로워하고 있을 시간이 없다. 3. 상황을 인정하라. 변명만 늘어놓는 것은 재기에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다. 과거는 이미 흘러갔다. 냉정하게 현실을 인정하라. 4. 궁상을 부리지 말라. 궁상을 부리는 것은 적극성이 아니다. 죽겠다는 소리는 입 밖에도 내지 말라. 아직 건재하다는 믿음이 있을 때 누구든지 지원하고 싶은 마음이 생기는 것이다. 5. 조급해하지 말라. 조급해봐야 실수만 늘어난다. 아예 이 기회에 못다 .. 2023. 11. 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