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우리2

우리가 인생에서 자발적으로 뭔가를 한다는 것의 의미 자발적인 움직임, 자발적 참여는 어떻게 생기는 걸까? 어느 정도는 결핍에서 비롯되는 게 아닐까 짐작해 본다. 필요하고 원하지만 그럴 수 없을 때 사람은 간절해지고 몸과 마음을 움직여 찾는다. 반대로 원하는 것이 웬만큼 갖춰지면 동력이 떨어진다. 그런데 지금은 3만 달러 시대. 우리의 젊은 시대는 앞선 세대보다 많은 것이 갖춰진 상태에서 태어나고 자랐다. 절실하게 원하는 게 많지 않다. 그래서일까? 그들은 이런 질문을 한다. 자신도 원하는 걸 하면서 살고 싶은데 그게 뭔지 모르겠다, 어떻게 하면 알 수 있느냐는. 요즘 기업들은 수평적인 조직문화를 만들기 위해 직급을 단순화하고 있다. 호칭도 직급을 빼고 부른다. 가령 ‘홍길동 부장님’은 ‘홍길동 님’이나 ‘홍길동 프로님’으로 바꾸는 식이다. 프로란 어떤 존.. 2023. 8. 2.
법정스님의 8가지 명언 (feat. 인생의 길목에서..) 1. 나는 누구인가? 스스로 물으라. 자신의 속 얼굴이 드러나 보일 때까지 묻고, 묻고, 또 물어야 한다. 건성으로 묻지 말고, 목소리 속의 목소리로 귓속의 귀에 대고 간절하게 물어야 한다. 해답은 그 물음 속에 있다. 2. 무소유란 아무것도 갖지 않는다는 것이 아니라, 불필요한 것을 갖지 않는다는 뜻이다. 우리가 선택한 맑은 가난은 부보다 훨씬 값지고 고귀한 것이다. 3. 우리가 지금 이 순간 전 존재를 기울여 누군가를 사랑하고 있다면, 이다음에는 더욱 많은 이웃들을 사랑할 수 있다. 다음 순간은 지금 이 순간에서 태어나기 때문이다. 지금이 바로 그때이지 시절이 따로 있는 것이 아니다. 4. 버리고 비우는 일은 결코 소극적인 삶이 아니라 지혜로운 삶의 선택이다. 버리고 비우지 않고는 새것이 들어설 수 .. 2023. 6. 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