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연령3

기도 막혔을 때, 올바른 대처 방법 (feat. 하임리히법) 설을 맞아 쫄깃한 떡국을 비롯해 다양한 명절 음식을 차려먹는 이들이 많다. 그런데 아무리 맛있는 명절 음식이라고 해도, 충분히 씹지 않은 채 급하게 삼키는 것은 금물이다. 음식을 잘못 삼켜 기도가 막히는 응급상황이 발생할 수 있어서다. 특히 음식을 제대로 씹기 어려운 어린이나 고령자는 삼킴 사고에 더욱 취약할 수밖에 없는 만큼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실제로 소방청에 따르면, 2019~2023년 사이 설 연휴 기간 동안에 떡이나 음식물로 인한 기도 막힘 사고로 병원으로 이송된 사람들은 총 25명인 것으로 확인됐다. 연평균 연휴 기간 중 하루에 한 명 꼴로 응급상황이 발생한 셈이다. 이럴 때를 대비해 알아둬야 하는 응급처치법이 바로 ‘하임리히법’이다. 1. 기침해도 안 빠져나온다면 하임리히법 시행… 성인과.. 2025. 2. 6.
걷기에 따라 달라지는 효능과 연령별로 최적의 걸음 수 걷기가 건강에 좋다는 것은 익히 알려져 있지만, 하루에 얼마나 걸어야 효과가 나타나는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했다. 최근 하루 2,300보 이상만 걸어도 심혈관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 연구 결과(The association between daily step count and all-cause and cardiovascular mortality: a meta-analysis, 하루 걸음 수와 모든 원인 및 심혈관 사망률 간의 연관성: 메타분석)는 유럽 심장학회에서 발간하는 학술지 ‘유럽 예방 심장학 저널(European Journal of Preventive Cardiology)’에 게재됐다. 미국 존스홉킨스 의과대학(Johns Hopkins University S.. 2024. 11. 26.
대표적인 생활체육, 탁구의 4가지 운동 효과와 주의사항 탁구는 시간과 공간 제약이 적고 값비싼 장비가 필요하지 않아 많은 이들에게 사랑을 받는 운동이다. 아울러 탁구 라켓과 공은 노년층도 손쉽게 즐길 수 있을 정도로 가벼워 대표적인 생활체육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여기에 탁구는 운동 효과까지 탁월하다. 탁구의 운동 효과에 대해서 자세히 살펴본다. 1. 근력 및 순발력 강화탁구는 유산소 운동이며 전신 운동이다. 탁구 라켓을 잡은 팔뿐만 아니라 다리와 몸통의 코어 근육을 고루 사용해야 한다. 특히 탁구의 기본자세인 기마 자세를 유지하다 넘어오는 공을 치기 위해서 무게 중심을 재빨리 움직여야 하기 때문에 하체 근력 강화에도 탁월하다. 탁구는 구기 종목 중 공의 크기가 가장 작은 운동이다. 때문에 여러 방향으로 날아오는 공을 치기 위해 순간적인 판단력과 빠른 대응을.. 2024. 5. 15.
반응형